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시대 청석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lue-stone(slate) Stupa of the Goryeo Dynast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16.10
34P 미리보기
고려시대 청석탑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불교미술사학 / 22권 / 97 ~ 130페이지
    · 저자명 : 전민숙

    초록

    고려시대는 다양한 석탑 유형이 출현하는 시대이다. 이러한 사회적인 분위기를 기반으로 석질이 다른 석탑의 건립이 이루어지며 그 중심에 청석탑이 있다. 청석은 점판암(粘板岩)으로 검은 빛을 띠며, 결대로 잘라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이전 시대와는 다른 건립기법과 장엄이 시도된다.
    청석탑은 지금까지의 현황을 토대로 새롭게 발견된 청석탑과 사료(史料), 사지(寺址)출토부재를 통해서 30기 이상이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현재 탑의 분포지역을 통해서 전국적으로 건립이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청석(靑石)이 없는 제주도의 수정사지에도 청석탑이 건립되어, 고려시대 청석탑의 유행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청석탑의 구성은 화강암제 판석을 3단으로 쌓아 계단식 기단을 만들고 그 위쪽으로 불상대좌식기단을 다시 올려놓는 구성이다. 불상대좌식기단은 우주와 면석을 별석 또는 한 돌로 제작하는데 별석으로 제작할 때에는 우주석은 백색의 다른 재질을 사용한다. 탑신부의 초층탑신 높이는 불상대좌식기단의 면석의 높이와 같이 하며, 사지출토부재를 통해서 상륜부의 부재인 복발과 보륜, 수연을 확인 할 수 있어 일반형석탑의 상륜부 구성과 거의 같을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청석탑의 건립기법은 기본적으로 결구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기단부의 결구기법은 우주와 면석을 별석으로 하는 기법과 우주와 면석을 한 돌로 하는 두 가지 기법으로 나눌 수 있다. 탑신부의 결구방법은 별석형결구, 판석형결구, 괴체석형결구Ⅰ, 괴체석형결구Ⅱ로 4가지가 있다. 별석형결구는 우주와 면석을 별석으로 제작하며, 판석형결구는 판석 4장으로 결구하여 제작한다. 괴체석형결구Ⅰ은 탑신석과 옥개석은 한 돌로 하고 옥개석의 상,하면을 파서 끼워 넣는 방법으로 제작하며, 괴체석형결구Ⅱ는 탑신석과 옥개석은 한 돌로 하고 괴체석형결구Ⅰ과 달리 파진 않는다. 이러한 건립기법을 통해서 유형은 Ⅰ유형에서 Ⅳ유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2가지의 결구기법이 같이 나타나는 복합적 유형까지 살펴 볼 수 있다. Ⅰ유형의 기단부는 우주와 면석을 별석으로 결구하고 탑신부 또한 별석형결구로 건립하는 유형이다. Ⅱ유형의 기단부는 우주와 면석을 한 돌로 제작하고 탑신부 또한 판석형결구로 건립하는 유형이다. Ⅲ유형의 기단부는 우주와 면석을 한 돌로 제작하고 탑신부는 괴체석형결구Ⅰ로 건립하는 유형이다. Ⅳ유형의 기단부는 우주와 면석을 한 돌로 제작하고 탑신부는 괴체석형결구Ⅱ로 건립하는 유형이다. Ⅰ유형에서 Ⅳ유형은 부재의 개별화에서 단일화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러한 유형 이외에 혼합식 유형이 존재하여 청석탑의 건립이 자유롭게 이루어졌다는 점도 시사해주고 있다.
    고려시대 석탑은 유형 간의 교류가 활발하였으며, 청석탑 또한 그러한 환경 속에서 탄생하였다고 할 수 있다. 청석탑의 불상대좌식기단은 다각형석탑과 일반형석탑, 옥개받침의 사면형(斜面形)은 백제계석탑과의 양식적인 교류를 토대로 건립되었다. 청석은 청석탑뿐만아니라 탑비의 비신, 석관(石棺)등도 청석으로 만들어 진 예가 있으며, 대체적으로 11세기에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다. 청석탑의 표면장엄은 탑신부의 전면에 여래 또는 범자문을 새겼을 가능성이 있으며, 초층탑신에는 문비 또는 광창(光窓)을 중심으로 인왕상, 사천왕, 제석천과 범천이 새겨져 장엄이 화려하게 들어간 탑도 존재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기단부에는 선각으로 사자가 새겨진 예를 통해서 고려시대 석탑의 몇 기에만 남아있는 사자의 장엄이 청석탑에도 표현되었을 가능성도 엿 볼 수 있다.
    청석탑은 고려시대에 부재를 개별화하면서 전국적으로 건립되기 시작한다. 외부 환경에 취약한 석재임에도 불구하고 전국적인 건립이 이루어진 점을 고려하면 화강암 보다 단단하지 않은 점과 청석의 독특한 색깔이 선호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청석탑은 고려시대 전반적으로 건립이 이루어졌으며, 중, 후기에는 일반형석탑과 함께 중심이 되는 유형의 석탑이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In terms of stupa, Goryeo could be identified as the period of diversity in forms and types. Accordingly, some new material was attempted to build stupas, and so called 'blue stone stupa' was one of key category to explain the trend. Blue stone is a kind of clay slate with dark blue color, can be divided into parts along with its layers, so that blue stone stupa acquired its own type of building and decoration on the social environment and physical property.
    More than thirty blue stone stupas have been reported from acual existence, historical records and excavated fragments. They were established in national wide range and the trend was prevalent in the era, as a example, a blue stone stupa was built in Sujeong Temple-site, the Jeju islands where the raw material was produced within the district. The stylobate of blue stone stupas consist of parts the base of three tiers granite slates and a pedestal as a upper part similar to those for the statue of the Buddha. The pedestals were carved as a whole or assembled in parts, in this case other stone with white color replace some parts instead of using blue stone. The first layer of stupa body has the same height to plate stone of the pedestal, it is assumed the finial of stupa of blue stone stupas shares more or less same types and patterns to those of general type of stupa on the basis of information from excavated splinters like bokbal(anda), boryoon(chattra), suyeon(amalaka) and so on.
    Types of stone stupas in Goryeo shares developed and shared a lot of typical similarity in common, it leads to raise blue stone stupa. Its pedestal which the same type as those for statue of the Buddha is assumed to be influenced from classic style and polygon style stupas. Its another typical characteristic, oblique support of roof, is considered to be based on forms of Baekje style assembling. Blue stone was used to manufacture monuments and stone coffins, prevalent from and in the eleventh century. It includes much possibility that images of Buddha and letters of Sanskrit were carved in the body of the stupas, in some cases, the Deva Kings, Brahma and Indra were also splendidly decorated in intaglio of door and intaglio of window of the first layer of the stupa. It has to be pointed out that hull processing design of lion is found in some instances of pedestal, which are very rare finding in other types of stupa in the era.
    The blue stone stupas were raised along with the technique of parts assembling in Goryeo. In spite of its weakness, fragile to outside environment, they fascinated people by its color. As a result, they were distributed throughout the country, so that they became a main trend of stupas, as important trend as a classical form, in mid-late Goryeo er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