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탈점령의 ‘급진적 동시대성’으로써의 재일조선영화인집단의 합작다큐멘터리—미군정 한․일 문화영화의 자유주의 리얼리즘을 넘어서 ('Radical Contemporaneity' as the De-occupation of Co-produced Documentary Film by Zainichi Korean Filmmaker's Collective—Beyond Liberal Realism of Cultural Documentaries of U.S Military Occupation in )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18.02
48P 미리보기
탈점령의 ‘급진적 동시대성’으로써의 재일조선영화인집단의 합작다큐멘터리—미군정 한․일 문화영화의 자유주의 리얼리즘을 넘어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중서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대중서사연구 / 24권 / 1호 / 9 ~ 56페이지
    · 저자명 : 안민화

    초록

    이 글은 한국과 일본의 미군정 시기와 그 직후의 주류영화였던 미군정 문화다큐멘터들과 그와 대척 지점에 있던 비주류 영화, 재일조선영화인집단의 합작다큐멘터리의 대조분석을 통해, 전후 동아시아에서의 미국 헤게모니가 재편되는 양상을 규명함과 동시에 그것에 대한 대안적인 서사를 추적하고자 한다. USIS와 CIE의 영화들은 존 그리어슨(John Greison)식 다큐멘터리 스타일을 통해 “자유주의적 통치성” 체현하는 자유주의적 주체와 국가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럼으로써, 미군정은 경제적 성장과 안보의 기술들의 아이콘으로 각인되어 가는 동안 다양한 식민지적 유산들을 은폐할 수 있었다. 반면에 미군정이 추동한 미학적 궤도 안에서도, 그것에 회의적인 시선을 가진 예외적인 영화들이 한국과 일본에서 동시에 발견되는데, 그것들은 다이렉트 시네마 형식을 삽입함으로써, 문화 다큐멘터리의 자기 반영성을 드러낸다. 나아가, 재일조선영화인집단은 일본인 감독들과 합작 다큐멘터리들을 만들며, 미군정의 문화정치학을 비판한다. 예를 들어, 대표적인 합작 영화, <조선의 아이>는 존 그리어슨의 미학을 20년대 소비에트 영화스타일인, 선동적인 수사적 미학과 시네마 베리테의 조합으로 전치시킴으로써, 미군정의 소수인종에 대한 정책에 저항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미군정의 유사한 역할뿐만 아니라 그에 반대하는 한․일의 공통된 영화미학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제국과 식민지라는 이항대립을 넘어, 조나단 파비언(Johannes Fabian)이 말하는 급진적 동시대성(radical contemporaneity)의 개념을 통한 비교연구를 모색하고자 한다. 즉 급진적 동시대성의 한 예로써, 개인과 국가적 총체성이 상응하는 자유주의 통치성을 넘어선, 개인이 다양한 개별적 다수(singular plural)에 감응할 수 있고, 민족주의를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탈식민적이고 대안적 아시아공동체적인 서사․미학을 조망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rough the contrastive analysis between USIS-Korea or CIE cultural films which were dominant films and documentaries by the Zainichi Korean Filmmaker's Collective which were minor films during and after the U.S occupation period both in South Korea and Japan, this paper examines not only the aspects of U.S. hegemony which was reorganized in East Asia but also traces its alternative narratives to U.S. occupation forces. The USIS and CIE documentaries played a role in forming a postwar liberal nation and subject by embodying 'liberal governmentality' through the style of John Grieson. By doing so, the U.S. occupation forces became the icon of the technologies of security and economic growth, while hiding various colonial legacies.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exceptional documentaries in USIS-Korea and CIE cultural films, which were skeptical toward the narrative and aesthetics of U.S. occupation forces. Namely, these films reveal the self-reflexivity of cultural documentaries by using the form of 'direct cinema.' Furthermore, the Zainichi Korean Filmmaker's Collective makes a critique of the cultural politics of the U.S. military occupation by making co-produced documentaries with Japanese filmmakers. For example, the co-produced documentary, Children of Korea, resists the politics of the U.S. occupation forces toward minorities by deploying John Greison's style into a combination of provocative rhetoric and 'cinema verite' which were the characteristics of Soviet film in the 1920s. Therefore, this paper seeks to use the method of comparative studies through what Johannes Fabian calls 'radical contemporaneity' beyond the dichotomy between empire and colony, by focusing not only on the similar role of the U.S. occupation forces but also the common cinematic aesthetics in Korea and Japan that opposes that. The 'radical contemporaneity' can be one of the examples of postcolonial and alternative Asian communalism that can overcome the limitations of capitalistic nationalism. This communalism enables the individual to respond to the 'singular plural' (Jacques Nancy) beyond liberal governmentality in which the individual is commensurate with the national totality.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중서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