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탈근대 담론의 ‘차이의 선’에 대한 계보학적 · 윤리적 연구: 크리스토프 멘케의 미학적 담론을 중심으로 (The Genealogical/Ethical Study on the ‘Goodness of Difference’ in Postmodernism)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12.04
30P 미리보기
탈근대 담론의 ‘차이의 선’에 대한 계보학적 · 윤리적 연구: 크리스토프 멘케의 미학적 담론을 중심으로
  • 이 자료를 선택해야 하는 이유
    이 내용은 AI를 통해 자동 생성된 정보로, 참고용으로만 활용해 주세요.
    • 전문성
    • 논리성
    • 명확성
    • 유사도 지수
      참고용 안전
    • 🧠 탈근대 담론의 철학적 깊이 있는 분석
    • 🔍 미학과 철학의 복합적 관계에 대한 통찰
    • 💡 근대와 탈근대의 인간 이해 패러다임 비교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사회와 철학 / 23호 / 27 ~ 56페이지
    · 저자명 : 김동규

    초록

    이 글의 목적은 탈근대 담론의 전제가 되고 있는 ‘차이의 선’의 의미와 타당성을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데 있다. 이 글은 특히 ‘차이의 선’의 확립 과정이 미학의 성립 과정과 연동되어 있다는 테제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이 작업을 통해서 탈근대 담론의 계보학적 뿌리는 물론이거니와 근대 이래로 부단히 지속되어 온 ‘철학의 미학화’ 과정의 의미와 ‘미학의 (윤리/정치) 철학적 의미’를 새로운 반성적 지평에서 조망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차이의 선을 산출하는 원천이 결국 (이성적 주체만이 아닌 감성적 인간의) ‘자유’임을 밝힐 것이다. 추가적으로 ‘차이의 선’의 한계는 바로 ‘자유’ 개념의 ‘서양적 한계’에 있다고 주장할 것이다.
    근대에 이르러 감각적인 것(미학적인 것)은 더 이상 거짓과 오류의 원천이 아니라, ‘또 다른 선’으로 등장한다. 미학적인 것은 규정할 수 없는 어두운 힘이지만 실천적 주체를 변형시키는 위력으로 이해된다. 미학은 이런 위력이 현상하는 장소로 출발한다. 이런 점에서 미학은 근대의 산물이다. 그리고 근대의 미학화의 과정은 선의 분화 과정, ‘선의 차이화’ 과정으로 명명될 수 있다. 그러나 ‘선의 차이’는 한 순간 ‘차이의 선’으로 전도된다. ‘선의 차이’를 ‘차이의 선’으로 전복시킨 사람이 바로 니체다. 선의 차이화로 말미암아 더 이상 통일적인 ‘선’을 말할 수 없게 될 때, 차이의 생성은 일단 조건 없이 긍정될 수밖에 없다. 차이는 “선악의 저편”에서 실천적 주체를 변형시키는 미학적 힘이기 때문이다. 이런 전복적인 변화의 핵심부에는 인간에 대한 상이한 존재이해가 놓여있다. 즉 근대에 인간이 ‘이성적 주체’로 이해되었다면, 탈근대적 인간은 ‘미학적 존재’로 이해된다. 이런 계보학적 탐구를 통해서 볼 때, 탈근대 담론은 이성적 자유만이 아닌 감각의 자유, 미학적 자유를 추구하는 담론이며 그런 담론이기에 ‘차이의 선’을 핵심 모토로 삼을 수 있었다. 하지만 ‘차이의 선’ 역시 서구적 자유개념의 연장선상에 있다. 결국 ‘차이의 선’은 외관상 타자성을 극대화시킨 것처럼 보이지만 실상 서양의 자기-중심-자유론, 그것의 최신 버전일 뿐이다.

    영어초록

    The aim of this investigation is to consider genealogically significances of the goodness of difference, which postmodernism has presupposed. The thesis, that I would like to focus on specially, is that the goodness of difference related to the birth of aesthetics. Through this study, I will analyze a philosophical sense of the autonomic aesthetics as well as a meaning of the inevitable aestheticization of philosophy in postmodernism. Finally I hold that the deepest ground of the goodness of difference is the human’s freedom which belongs to the aesthetic being as well as to the reasonal subject. In addition, I will suggest that the limit of the goodness of difference is that of the occidental freedom concept.
    One didn’t consider the sensible(aesthetic/aisthesis) thing as the other goodness until modern times. Instead it had been regarded as the source of the fallacy and mistake. In the modern age, aesthetic things are understood as the power that can transform practical subject, in despite of their undefined dark force. Aesthetics starts as the place where this force emerges. And the process of the modern aestheticization can be named as the process of the differentiation of the goodness. But the process of the differentiation of the goodness could not be recognized clearly from the beginning, because the aesthetic could not be recognized directly as the ethical/practical goodness. Therefore it was called as autonomy of the aesthetic.
    In postmodernism, the difference of goodness has been transformed dramatically. In a moment, the difference of goodness was reversed as the goodness of difference. Man expected the unified goodness, i.e supreme goodness, but this turned out to be hopeless after Hegel’s philosophy. Nietzsche is the first philosopher who reversed the difference of goodness. After the independence of aesthetics, aesthetic things became not only the other goodness, but man also manifested the sovereignty of the aesthetic.
    The history of aesthetics is the process of differentiation of the practical goodness, and at the same time the process of establishing of the goodness of difference. While human being was understood as a rational subject in modern, it is understood as a aesthetic being in post-modern. But both of them presuppose the freedom, which is the necessary condition of the rational and aesthetic being as well. Postmodernism requests us not only the rational freedom but also the aesthetic freedom. Therefore the goodness of difference is in fact the latest version of the occidental self-centric freedom, although it seems to be no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회와 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