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탈주자학을 꿈꾼 학자들의 『중용』 장절체계에 관한 연구 - 윤휴의 『중용』 주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pter system of 『JungYong』 by scholars who wanted to escape from Neo-Confucian - Focusing on YunHyu's Commentary on 『JungYong』 -)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23.03
31P 미리보기
탈주자학을 꿈꾼 학자들의 『중용』 장절체계에 관한 연구 - 윤휴의 『중용』 주석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유교학회
    · 수록지 정보 : 유교사상문화연구 / 91호 / 45 ~ 75페이지
    · 저자명 : 황인옥

    초록

    본 연구는 조선 후기 『중용』을 독자적으로 주석하여 사문난적으로 지탄받았던 백호 윤휴의 『중용』 장절체계에 관한 것이다. 윤휴의 『중용』에 관한 저술에서 장절체계를 고찰하고, 이를 통해 독자적 해석의 특징과 그것이 남긴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윤휴는 『중용』을 다음과 같은 3가지 방법으로 설명하였다. 첫째, 『대학』이 경(經) 1장 전(傳) 10장체계인 것과 같이, 『중용』도 성학(聖學) 1장 석성학(釋聖學) 9장체계라는 것이다. 둘째, 수장(首章)은 5절목으로 나누어지는데, 『중용』 전체는 이러한 5절목을 설명하는 체계라는 것이다. 셋째, 『중용』은 10장 28절로 나눌 수 있다는 것이다.
    윤휴는 이러한 분장절 체계를 통해 『중용』을 일관성 있게 주석하였는데, 다음과 같은 해석의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수장을 성학(聖學)으로 보고 나머지 장은 수장을 설명하는 장으로 보기 때문에, 모든 분장구조에서 수장의 핵심 개념인 천명지성이 중심이 되어 일관성이 있으며 조리와 맥락이 분명하다. 둘째, 『중용』을 해석할 때, 각 장의 중심 주제와 중심 단어 등을 모두 『중용』에 나오는 개념을 통하여 해석하였고, 자신의 설을 뒷받침하기 위해 경전⋅성현의 말씀 등 고전적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주자학적 한계에서 벗어나 유학의 본원을 찾고자 하였다. 셋째, 원두[原頭, 천명]와 지근[至近, 인간의 일상]을 일원(一原)으로 보아 인간이 하늘과 같이 지성(至誠)으로 실천하면 하늘과 짝할 수 있다고 하여 인간의 실천을 매우 중시하였다. 넷째, 『중용』을 본원 유학의 사상인 사천(事天)을 강조한 경전으로 인식하고, 새로운 분장절 체계를 통해 『중용』을 잘 이해하고 실천하여 인간의 본성을 회복하고자 하였다.
    윤휴는 당시 조선이 처한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자학의 이념적 정통성에서 벗어나 새로운 철학적 기반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시도로 경전 해석에서 선구적 역할을 담당할 수 있었으며 조선 후기 실학에도 영향을 주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bout the jangjeol system of 『JungYong』 by Baekho YunHyu, who independently annotated 『JungYo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was criticized as samun-nanjuk. In Yun Hui's writings on 『JungYong』, I would like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independent interpretation and the meaning of it.
    YunHyu divided 『JungYong』 into the following three ways. First, just as 『DaeHak』 is a 10-chapter system of 1 chapter of the sutra, 『Jungyong』 is also It consists of Chapter 1 of saint Studies and Chapter 9 system of explaining saint studies. Second, the first chapter is divided into 5 sections, and 『JungYong』 as a whole is a system that explains these 5 sections. Finally, 『JungYong』 can be divided into 10 chapters and 28 verses.
    YunHyu consistently annotated 『JungYong』 through this divisional system, and foun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since the first chapter is regarded as the saint's sacred studies and the remaining chapters are regarded as the contents explaining the first chapter, the first chapter is the center of all makeup structures, the content is consistent, and the logic and context are clear. Second, when interpreting 『JungYong』, all the central themes and key words of each chapter were interpreted through the concepts in 『JungYong』 and the he tried to recover the origin of Confucianism by presenting classical grounds such as scriptures and words of sage, escaping from the limitations of Neo-Confucianism in order to support his theory. Third, considering Wondu [Cheonmyeong] and Jigeun [human daily life] as one source, he put great importance on human practice, saying that if humans practice with the same sincerity as the heaven, they can be paired with the heaven. Fourth, 『JungYong』 as a scripture that emphasizes Sacheon, the original Confucian ideology, through the newly divided system, we tried to restore human nature by understanding 『JungYong』 well.
    YunHyu tried to find a new philosophical basis, breaking away from the ideological legitimacy of Neo-Confucianism,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reality that Joseon was facing at the time. With this attempt, he was able to play a pioneering role in interpreting the scriptures and influenced Silhak in the late Joseon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교사상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