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탈식민지 시기(1945~1950) 삼팔선 표상의 지정학적 상상력 -해방 후 이태준 소설을 중심으로 (Geopolitical Imagination in the 38-Parallel Symbol in Post-Colonial Period(1945~1950) -Centering on Lee Tae-jun’s Novels after Liberation)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09.10
38P 미리보기
탈식민지 시기(1945~1950) 삼팔선 표상의 지정학적 상상력 -해방 후 이태준 소설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의 연구 / 39호 / 423 ~ 460페이지
    · 저자명 : 정종현

    초록

    해방 이후 이태준의 문학은 식민지 시기 문학과의 ‘연속과 비연속’의 겹눈의 독법(讀法)으로 고찰할 필요가 있다. 해방 이후의 이태준은 식민지 시기 문학이 지니고 있었던 제국적 정체성을 민족적 정체성으로 단선화했다. 신체제기의 국책이었던 과학 이데올로기를 발화한 작품에서 결말의 개작을 통해 민족주의의 서사로 변모한 <사상의 월야>, 식민지 시기 작품인 <聖母>의 서사 모형을 바탕으로 민족주의적 젠더 서사로 변형시키고 있는 <불사조> 등은 과거의 서사모형과 새로운 정치의식의 결합을 보여주는 사례들이다. 또한 '농토‘에 대한 반근대적, 정신주의적 태도와 사회주의적 개혁을 결합시키고 있는 <농토>는 식민지 시기 ’골동‘과 ’농토‘를 핵심으로 하여 제기했던 반근대주의적 태도가 어떻게 반자본주의적 정치의식으로 변환하여 사회주의와 접속할 수 있었는가를 보여주는 사례라고 하겠다. 이상을 전제로 하여 이 글에서 보다 주목한 것은 이태준의 해방 이후 소설이 미소 분할 점령의 편의선으로 그어진 삼팔선을 경계로 남북한 국가가 분절적으로 수립되어 간 과정에 대응하여 삼팔선을 심상의 지리로 구성하는 장소의 정치학을 보여준다는 사실이다. 해방 직후부터 1946년 7월의 월북 직전까지의 세계 인식을 보여주는 <해방전후>에서 ’현‘은 다원적이고 현실적으로 세계를 파악하며 어렴풋이 ‘삼팔선’의 위험을 지각하고 있었다. 월북 이후부터 남북한 단정이 수립되는 두 번째의 시기를 대표하는 <농토>에서는 북한-소련이라는 냉전적 블록에 편제된 삼팔 이북을 국가로 전체화하며 투신하고 있는 양상이 드러나 있다. 남북한이 정식으로 국가를 수립하고 분단이 확정된 이후에 남북한 단정수립 직전을 서사시간으로 하여 전개되고 있는 <먼지>에서는 이전까지 북한에 대해 보여주었던 절대적인 지지를 회의함으로써 <농토>에서 보여주었던 가치의식에 균열을 일으키고 있다. 이후 한국전쟁기의 소설에서는 ‘미국-일본-남한’, ‘소련-중공-북한’의 블록적 인식이 강고하게 자리하며 ‘미군’을 악의 표상으로 제시하는 소품들이 창작된다. 이제 삼팔선은 남북한의 국경이자 냉전의 진영선으로 확고하게 물질화된 것이다.

    영어초록

    Lee Tae-jun’s literature after liberation needs to be considered with the reading of compound eyes in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with the literature in colonial period. Lee Tae-jun after liberation made it single line as racial identity for imperial identity, which had been possessed by literature in the colonial period. A Moonlight Night of an Ideology(思想의月夜) , which was changed into narration of racialism through an adaptation of an end in a piece of work, which uttered scientific ideology that had been the national policy in new-system period, and Phoenix(不死鳥), which is changing it into the racially gender narration based on the narrative model in 「The Holy Mother」 taht is a piece of work in the colonial period, are cases that show combination in the past narrative model and the new political consciousness. Also, Farmland(農土), which combines anti-modern and spiritual attitude toward ‘farmland’ with socialistic reform, can be said to be a case of showing how the anti-modern attitude, which had been proposed with having the core as ‘antique’ and ‘farmland’ in colonial period, can change into anti-capitalistic political consciousness and can connect with socialism. What was paid attention in this writing by having ideal as a proposition is a fact that the Lee Tae-jun’s novels after liberation show politics of a place that forms the 38 parallel as the imaginary topography by corresponding to the process that South-North Korea had been established segmentally with having boundary as the 38 parallel, which was drawn the convenience line of occupation in partition of America and Soviet Union. In Before and After Liberation(解放前後) that shows the global recognition up until right before crossing over North Korea in July of 1946 from right after liberation, ‘Hyeon’ was vaguely perceiving a risk of ‘the 38 parallel’ while grasping the world multi-functionally and realistically. In Farmland(農土) of standing for the second period that is established the independent government in South and North Korea from after crossing over the border into North Korea is being revealed the aspect of carrying on while making it the totality for the north of the 38th parallel, which was formed in the cold-war bloc called North Korea-Soviet Union. In Dust(먼지) of being developed the period right before the establishment in independent government of South and North Korea as the narrative sight after South and North Korea was formally established and after division was confirmed, it is causing a crack in value consciousness, which had been shown in Farmland, by being skeptical about absolute support, which had shown for North Korea until before. In a novel during the period of Korean war after then, the recognition of bloc in ‘US-Japan-South Korea’ and ‘Soviet Union-China-North Korea’ is strongly positioned. Trifling articles, which suggest ‘US army’ as symbol of evil, are created. Now, the 38 parallel was firmly materialized as the border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as the bloc line of cold wa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학의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