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탈근대ㆍ문학ㆍ윤리 : 문학의 수행성 연구 ― <드라이브 마이카>의 분석과 비판을 중심으로 (Postmodernism, Literature, and Ethics: A Study on the performativity of Literature ― Focusing on the analysis and criticism of )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23.03
30P 미리보기
탈근대ㆍ문학ㆍ윤리 : 문학의 수행성 연구 ― &lt;드라이브 마이카&gt;의 분석과 비판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평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비평문학 / 87호 / 147 ~ 176페이지
    · 저자명 : 박숙자

    초록

    최근 한국 문학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수행성 논의가 부상하고 있다. 수행성의 개념은 말(텍스트)이 텍스트 내부의 지시적 효과를 넘어 텍스트 외부의 관객, 청자에게 행위를 촉발하는 실천적 효과를 가정하는 것이다. 수행성(performance/performativity)은 ‘말’이 ‘―이다’로 그치지 않고 ‘하다’에 초점을 둔다. 문학의 수행성(performance/performativity)은 문학의 스펙트럼을 넓히는 방법론이기도 하고 문학성의 해체, 변용, 갱신을 목적으로 하는 탈구성, 재구성의 기획이기도 하다. 수행성 논의가 요청되는 것은, 첫째 불평등하게 구조화된 언어 자원을 분할하는 문학(성)을 상상하기 때문이다. 문학의 수행성 논의가 1980년대 문학 연구로 집중되는 것은 이런 사정을 반영한다. 다만, 문학의 수행성을 1980년대의 특수성으로 하위 담론화하기 보다 문학 자체의 역할로 사유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원작, 동일성, 이성 등의 근대적 가치보다 변용, 차이, 육체가 촉발하는 탈근대적 원리에 주목하기 때문이다. ‘근대 문학의 종언’이 자명해지면서 근대성의 가치를 반영한 문학(성) 보다 이를 해체하며 새로운 주체 구성의 가능성을 지지하는 논의가 요구되는 것이다. 주디스 버틀러의 논의에 근거해서 젠더 수행성에 초점을 맞추는 연구가 다양하게 탐색되는 것 역시 같은 맥락이다. 그 결과 소수자,난민,프레카리아트 등 다양한 존재들이 공생할 수 있는 방법론으로 논의를 확장해 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마구치 유스케 감독의 <드라이브 마이카>를 분석했다. 이 영화에서는 원작/수행(변용), 남/녀, 동일성/차이, 언어/신체 간의 의미가 동요되면서 지금―여기에 필요한 ‘문학’이 무엇인지 재현한다. 이 과정에서 상징적 질서의 내적 균열을 여성/목소리/신체의 이야기하기를 통해 촉발시켜 내고, 원작의 의미 재현에 초점을 맞추기 보다 인종, 성별, 국적, 장애 등의 차이를 드러내는 재맥락화된 무대에 초점을 맞추면서 고통의 공통성을 집합시켜 내는 탈근대 문학의 역할을 제시한다. 즉 <드라이브 마이카>는 고전 근대 작품을 중심에 놓고 문학의 수행성을 활발하게 시도한다. 하지만 식민/여성/이야기를 방법론적으로 차용할 뿐 일본(제국)/가부장(남성)/고전(문학)의 갱신만을 보여주며 문학(성) 자체의 변용과 재구성까지 나아가지는 못하고 있다.

    영어초록

    Recently, performativity has emerged as a new way to view Korean literature research. Performativity assumes a practical effect in which speech (text) triggers an action to audiences and listeners outside the text beyond the indicative effect inside the text. In other words, performance/performativity focuses on 'doing' rather than 'words' as '―become'. The performativity of literature also asks what literature is considered to do and what literature can do. First, this perspective is needed to think about the role of literature in dividing inefficiently structured language resources. It reflects this situation that the discussion on the performativity of literature is concentrated on literary research in the 1980s. However, it is necessary to think about the performativity of literature as a role of literature itself rather than subdiscussing it with the specificity of the 1980s. Second, the original work. This is because the values triggered by performance, difference, and body are paying attention rather than modern values such as identity and reason. As the term "the end of modern literature" becomes self―evident, discussions are needed to dismantle it and support the possibility of forming a new subject rather than literary (sex) reflecting the value of modernity. It is in the same context that various studies focusing on gender performativity are explored based on Judith Butler's recent discussion. However, it is imperative to expand the discussion of performativity and think in a way that various beings such as gender, refugees, and Precariats can coexist. In this study, we looked at the movie "Drive My Car" by combining these two perspectives. In this film, the meaning confrontation between the original/ performativity , men/women, and identity/difference is dismantled and transformed, and literature and reality pay attention to the pattern of division. For example, performativity that triggers differences in race, gender, nationality, and disability rather than focusing on reproducing the meaning of the original, and finally aggregating the commonality of pain while being involved in other people's wounds shows what literature can do in the postmodern er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평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4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