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독교혐오와 탈기독교 현상에 대한 고찰: 오리게네스의 ‘철학’ 개념을 중심으로 (A Study on Hate Culture and Post-Christianity from the Perspective of Origen’s Notion of ‘Philosophy’)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22.09
24P 미리보기
기독교혐오와 탈기독교 현상에 대한 고찰: 오리게네스의 ‘철학’ 개념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철학연구 / 105호 / 239 ~ 262페이지
    · 저자명 : 양정호

    초록

    이 논문은 기독교인들의 탈기독교현상과 비기독교인들의 기독교혐오 현상을 오리게네스의 ‘철학’개념을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COVID-19로 인한 판데믹 상황에서 더욱 가속화된 기독교인들의 탈기독교 현상과 비기독교인들의 기독교혐오 현상을 초대기독교 박해시대의 기독교혐오 현상 및 탈기독교 현상과 대조하면서, 오늘날 한국 기독교와 기독교인들 그리고 교회가 직면한 문제에 대해 오리게네스의 ‘철학’ 개념을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기독교혐오와 탈기독교현상의 주체와 동기는 각각 다르다고 할지라도 양자 간의 공통분모가 있다고 전제하고, 그 혐오와 분노의 감정을 정면으로 마주대하고 공감하고자 한다면 기독교와 기독교인들, 그리고 교회에 대한 분노와 실망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감정에 대한 공감과 더불어 기독교혐오와 탈기독교 현상이라는 사회 현상을 이해하기 위한 분석이 필요해 보인다. 기독교혐오와 탈기독교 현상의 교집합에 해당되는 부분을 기독교와 기독교인들 그리고 교회에 대한 요구와 기대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 이러한 기대를 가늠해 봄으로써 때 기독교신앙을 떠나는 사람들에게 실망을 안겨준 요인들이 무엇인지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현상에 대한 신학적·철학적 성찰이 가능할 것이다.
    COVID-19로 인한 판데믹 기간 동안 미디어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는 비기독교인들에 의한 기독교 혐오와 판데믹 기간 이전부터 진행되어온 탈기독교현상을 2세기에 있었던 기독교 혐오 및 기독교인들의 교회 이탈 현상에 비추어 다시 짚어 보려고 한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서 기독교혐오 대한 감정 해 하기 위해 보면 기독교와 기독교인들에게 기대하는 바와 요구가 무엇인지를 알아챌 수 있을 것이다. 기독교 혐오와 탈기독교 현상에 대하여 진지하게 고찰하기 위해서 2세기에 기독교에 대한 혐오감정을 드러내며 반대하였던 켈수스의 글에 대한 오리게네스의 반박을 동등하게 병렬로 놓고 양측의 주장이 무엇인지를 확인하면서, 켈수스의 『진리』에 나타난 ‘진리’와 오리게네스의 『켈수스 반박』 및 기타 작품에 나타난 ‘철학’ 개념을 중심으로 혐오현상을 고찰하여 오늘날 기독교에게 요청되는 패러다임의 변화가 무엇인지 제시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at presenting a suggestion on the phenomenon of Post-Christianity and hate culture, which has been becoming severe in the Pandemic situation caused by COVID-19. In order to do so, I will show the expressions of hate culture and disgust toward Christians during the pandemic situation. And then, the hate culture and persecution of Christians in early Christianity will be presented, focusing on Celsus’ True Discourse. Leaving Church and disgusting Christians become a socio-religious phenomenon, so they should be examined for the purpose of searching for the causes and effects. Even if the subjects and motives of hate culture and post-Christianity are different, there seems to be a common ground between the two phenomena. If Christians want to face and empathize with the feelings of hatred and anger, they understand the reason why the hate culture and post-Christianity become social issues. By assessing the common ground in terms of expectations of Christianity, it will be possible not only to examine what factors have disappointed those who leave churches but also to reflect on this phenomenon in theological and philosophical ways.
    I would like to reconsider hating Christians by non-Christians and leaving churches by Christians in light of Origen’s notion of Philosophy, which can be interpreted as ‘Wisdom and Love’ rather than ‘love for wisdom.’ From this point of view, the phenomenon of hate culture and post-Christianity can be interpreted as warnings Christians need to stop ignoring and to emphasize love and wisdo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