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불교의 근대와 탈근대- ‘주체적 근대’ 확립의 과제를 중심으로 - (With the modern and the postmodern of Korean Buddhism- focusing on subject of ‘subjective modern’ establishments -)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19.12
27P 미리보기
한국불교의 근대와 탈근대- ‘주체적 근대’ 확립의 과제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40호 / 625 ~ 651페이지
    · 저자명 : 박병기

    초록

    우리 불교는 개화기 이후 승려의 도성출입 허용으로 상징되는 새로운 기회를 맞았으나, 그 배후에 일본 제국주의의 식민지 전략이 도사리고 있었다는 점에서 근본적으로 왜곡된 근대의 출발일 수밖에 없었다. 3.1운동을 계기로 그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노력이 끊이지 않았고, 일정한 성공을 거두었지만 주류는 이미 친일불교 세력에 장악되어 있었다.
    이 글에서는 3.1운동 100주년을 맞으면서 우리 불교가 서구에 뿌리를 둔 근대와 만나는 과정을 식민지 근대와 모방 근대, 주체적 근대의 세 단계로 나누고, 21세기 초반 현재의 시점은 마지막 단계인 ‘주체적 근대’가 확립되어야 한다는 당위와 마주하고 있다는 판단을 내리고 있다. 식민지 근대는 일제 강점기에서 미군 점령기에 이르는 40여 년 동안 식민지 정책에 부응하는 것을 근대와 동일시하는 시기이고, 모방 근대는 ‘60년대 이후 공업화 과정 속에서 일본과 미국으로 상징되는 이른바 ’선진국‘을 맹목적으로 따라잡고자 하는 시기이다.
    식민지 근대의 시기에 불교는 친일불교로 자리매김되었고, ‘모방 근대’ 시기에 불교는 그리스도교와의 경쟁을 전제로 자본주의 질서로 급속히 편입되는 과정을 거쳤다. 다른 한편 우리는 식민지 근대 시기에 만해와 용성으로 상징되는 저항과 독립의 역사를 함께 이룩했고, 모방 근대 시기에 시민사회 전반의 민주화 움직임에 힘입어 종단의 근대체제를 확립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그 과정에서 생겨난 수많은 문제들이 총체적으로 노출되고 있는 21세기 초반 한국 시민사회 속에서 불교는 한편으로 제도종교의 위기에 함몰되고 있고, 다른 한편으로 우리 상황에 맞는 새로운 정신적 질서를 제시할 수 있기를 요청받고 있다.
    이러한 요청을 ‘주체적 근대 확립의 과제’로 규정지을 수 있고, 서구적 뿌리를 지니는 근대와 탈근대 담론을 넘어서 한국불교의 전통을 이 상황에 맞게 재구성함으로써 서구적 뿌리를 지니는 근대와 탈근대 담론을 극복해야 한다는 시민사회의 요구에 적절한 방식으로 응답할 수 있는 내적 역량을 키우는 일에 집중해야할 시기를 맞고 있다. 그 과제에 적절히 대응하는 과정에서 불교현실을 분석대상으로 삼아 실천적 대안까지 모색하는 한국불교학계의 주체성 또한 필연적으로 요청된다.

    영어초록

    Korean Buddhism was met a new chance after permission on entrance and exit to the capital Seoul toward Buddhist Monks, but it was calming down departure of the modern time which is distorted basically from point only following a colonial strategy of Japanese imperialism on the back. With the 3.1 movement, the effort of overcoming that distortion was done, but the main stream already was seizing in pro-Japanese Buddhism influence.
    At the time of 100 annuals 3.1 movement, I try to focus on the process of the modern where our Buddhist modern puts the root in the Western Europe. I do divide that modern into the three phases; the colonial modern, the imitation modern and the subjective modern. The point of view of 21st centurial opening time, it is a imperative request that we do establish the task of subjective modern. Colonial modern time about 40 years, where it reached to the U.S. army occupied flag was getting over, and imitation modern time which identified from `60's after industrialization process insides is symbolized the fact that it suits in colony policy in Japan and the United States blindly to follow an advanced nation.
    At the time of colonial modern, Buddhism was marked with pro-Japanese Buddhism and in imitation modern time, Buddhism is marked competition with Christ at prerequisite passed by the process which is transferred with capitalistic order. Different one side of colonial modern, we met the resistance of Monk Manhae(萬海) and Yongsung(龍城), and at imitation modern established the modern setup of force putting on vertical in democratization. At 21st centurial opening, Korean civic society insides where the numerous problems are exposed generally Buddhism to one side sinking in crisis of institutional religion, but other side it will be able to present a new mental order that is receiving to our situation.
    Like this request, there is a possibility of making with subject of `subjective modern establishments,' the modern discussion which it passes over re-composes the Western root. It is a time to meet the inner ability answer back in the method which is appropriate in demand of the Korean civic society. From the process which confronts appropriately in the subject, it will be made a Buddhism actually in the analytical object and until practical alternative independence of the Korean Buddhism academic wor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