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데리다의 문자와 여성-진리 : 탈로고스적 수사학과 트랜스 에티카의 연동선 (Derridian Écriture and Woman-truth : Correlation between non Logocentric Rhetoric and Trans Ethica)

5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15.10
53P 미리보기
데리다의 문자와 여성-진리 : 탈로고스적 수사학과 트랜스 에티카의 연동선
  • 이 자료를 선택해야 하는 이유
    이 내용은 AI를 통해 자동 생성된 정보로, 참고용으로만 활용해 주세요.
    • 전문성
    • 논리성
    • 독창성
    • 유사도 지수
      참고용 안전
    • 🧠 철학적 사유의 심층적 탐구와 해체주의적 접근 제공
    • 🌈 기존 로고스 중심 윤리학의 한계를 비판적으로 분석
    • 🔍 데리다와 들뢰즈의 철학적 관점을 심도 있게 비교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하이데거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유럽철학연구 / 39호 / 161 ~ 213페이지
    · 저자명 : 윤지영

    초록

    필자는 본 논문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로고스 중심적 수사학이 여전히 동일성의성좌를 그려낸다고 비판한 후, 급진적 사유의 베틀 안에서 차이의 성좌가 어떻게자아내어질 수 있는가를 면밀히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데리다의 문자가 어떠한 측면에서 로고스와 팔루스의 연계성을 비판할 수 있는가를 『플라톤의 약국』에 대한 다각적 분석을 통해 드러낼 것이다. 그러나 아무리 데리다의 문자가 팔루스의 전복적 서자라 할지라도, 이는 여전히 부계 혈통적 족보학에 의존하는 남근적 은유 방식이라고 필자는 해석한다. 이 한계를 깨뜨리는 것이 데리다의 여성-진리로서 이러한 여성에 대한 은유는 실체에 대한 재인이 아닌 유동성과 변이 역량에 대한 긍정이다. 나아가 여성 은유는 기존의 견고한 부권적 의미 질서와 리비도질서를 탈봉합하는 역설(para-sens)의 장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비진리이자 차이의 운동으로서의 여성-진리에 대한 은유는 인간 형상학적 은유가 지닌 남근성마저도 해체해버리는 계보학(généalogie)적 역학성을 펼쳐낸다. 나아가 아리스토텔레스가 『니코마코스 윤리학』에서 수사학을 정치학으로 분류할 때에, 수사학의 목적은 잘 행동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여기서 잘 행동한다는 것은 로고스와 행위, 즉말과 행동, 표피와 심층부의 일치성을 의미한다. 이러한 일치성의 규범으로서의 수사학은 본질주의적 도덕에 머무르며, 에토스라는 개인의 습속, 성품이나 집단의 관습을 로고스 내적인 양태로 한정해 버리고 만다. 이러한 관점에서 로고스적 에토스는 남근적 의미효과인 신체-기표라는 예측 가능한 동일성의 반복을 재생산해내게 한다고 필자는 분석한다. 그러나 탈로고스적 수사학은 비예측적 차이의 운동을만들어내는 신체 에토스를 생산해내며, 규범적 에토스가 주지하는 한계들을 내파해버린다. 이러한 신체 에토스의 생산 지점으로서의 트랜스 에티카, 이 윤리학적 전회를 위한 개념을 본질주의 윤리학을 넘어서는 변신의 윤리학으로서 제시해 나갈것이다. 또한 트랜스 에티카가 어떠한 측면에서 들뢰즈의 기쁨의 윤리학과 차이점을 지니는가를 논증해나가는 궤적 속에서, 기쁨의 윤리학이 내포한 한계 지평마저 내파해 낼 것이다. 왜냐하면 트랜스 에티카는 새로운 가치들, 아직까지 이름 지워지지 않은 공백으로서의 가치들을 창조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Dans cet article, j’émis un cri audacieux pour formuler une stratégie de constituer la constellation de la difference au lieu de consolider celle de l’identité tissée par la rhétorique logocentrique d’Aristote. Cette constellation de la différence ne peut ê̂tre rendue possible que par la rhétorique non phallogocentrique qui est proposée par l’écriture et la femme-vérité qui sont les concepts derridians. En pratiquant l’analyse critique de La pharmacie de Platon, je tente de montrer l’efficacité de la subversion de l’écriture contre le règne du phallus. Cependant, l’écriture demeure encore calquée sur la fillation patriarchique du Père-Fils qui est une sorte de coupe de lien du fils bâ̂tard par rapport à son père. Cela fait partie de la métaphore phallique. Par contre, la femme-vérité est une non vérité caractérisée par l’indécidabilité et l’ambiguité qui pourrait ê̂tre une déconstruction de cette métaphore phallique et anthropomorphique, dans la mesure où la femme-vérité est une affirmation de la métamorphose et de la multiplicité qui n’est pas une fixation sur l’identité substantielle de la femme. Il en résulterait que la femme-vérité procède à une généalogie critique qui défait toute sorte d’origine et de principe premier pour montrer l’historicité de ce principe d’identité. En outre, la rhétorique d’Aristote détermine l’éthos comme l’intériorisation de logos qui est une sorte de ce qui est à l’intérieur du logos, dans la mesure où l’éthos nous incite à produire une habitude renforçant la normativité pour former un corps réduit à un signifiant qui est soumis à la morale et à la logique de la Loi du Père. Mais l’éthos libéré du logos est une production de l’éthos du corps qui est imprévisible et révolutionnaire qui montre les limites mê̂me de l’éthos logocentrique et conservateur. En ce sens, la trans éthica comme une site de la création de l’éthos du corps est un tournant remarquable de l’éthique qui est une éthique de la métamorphose réfutant l’éthique de la substantialité et de l’essence. Je tente de tisser une structure de l’argumentation subtile pour mettre en relief la différence entre la trans éthica et l’éthique de joie chez Deleuze. La trans éthica qui est la création des valeurs inédites non réductible ni aux valeurs transcendantes ni aux valeurs immanentes, pourrait surmonter les limites de l’éthique deleuzienn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유럽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8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