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청준 소설의 윤리학 ―탈근대적 민중공동체 복원을 향한 근원 사유 (Ethics of Lee Chung-jun's Novel ―The Originated Thought about Restoration of Ex-modern People's Community)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13.03
18P 미리보기
이청준 소설의 윤리학 ―탈근대적 민중공동체 복원을 향한 근원 사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현대문학이론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이론연구 / 52호 / 31 ~ 48페이지
    · 저자명 : 김정아

    초록

    이청준 소설은 한국의 소설에서는 드물게 서구의 인식론과 존재론에 고유한 개념과 문제들을 직접 소설의 주제로 끌어들여 천착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질문들 안에서 이청준 소설이 제기하는 근본 질문은 공동체성이 훼손된 사회에서 개인에게 가능한 윤리적 선택에 대한 탐문이었고, 이는 근대적 시민성의 문제와 민중적 공동체 복원의 가능성을 동시에 물으며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탐문은 「이어도」나 「당신들의 천국」에서 특히 분명하게 나타난 것처럼, 종종 아포리아에 처하게 된다. 이러한 아포리아로의 귀결은 존재론적 자유와 사회적 실천의 배리라는 문제가 이청준 소설이 지니는 고유한 난점인 동시에, 이청준이 이 난점 자체를 주제로 삼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청준 소설은 서구 관념론에 결합된 근대적 시민성에 대한 질문을 넘어 민중 공동체 복원의 가능성을 묻는 질문으로 더 많이 향하게 되며, 훼손된 듯 보이는 민중 공동체 안에 여전히 내밀하게 전수되는 시와 노래와 이야기가 지닌 근원적 힘을 공동체 복원의 토대로 제시한다. 이러한 사유는 「인문주의자 무소작씨의 종생기」를 넘어 「신화를 삼킨 섬」에 이르기까지, 점점 신화적 근원 사유로 진전해가고 있는 듯 보인다.
    「신화를 삼킨 섬」에서 이청준은 신화의식을 민중 공동체 복원의 근원적 힘으로 제시하는 동시에 권력이 민중 신화를 전유할 때 시민 사회에 대한 지배의 강력한 도구가 됨을 보여준다. 이 소설에서 이청준은 민중 신화가 가지는 양면의 기능을 병치하여 보여주면서, 여전히 개인의 윤리적 선택 문제를 검토하고 있다. 개인이 자유와 비지배를 자신의 삶의 방식으로 취하는 윤리적 선택은 동시에 정치적 올바름의 실현이다.
    이청준의 소설은 공동체라는 부질없는 환상의 끈덕짐에 대해 끈질기게 의혹과 혐의를 두고 있어 보인다. 그러면도 현실의 지배 질서에 저항하는 유일한 힘의 원천으로서 국가, 사회, 민족 이전에, 배면에, 그러한 이름들에 저항하며 존재하는 공동체 복원에 대한 꿈을 제시한다. 다만 공동체 또한 현실로 나타나거나 가시적이 된다면, 개인의 자유에 가하는 폭력성을 지니게 될 것이기에, 도달될 수 없는 꿈인 한에서만 공동체는 해방적 힘을 간직한다. 도달할 수 없는 꿈인 공동체는 이야기 혹은 미완의 신화를 통해서만 자기의 모습을 간간히, 일부만을 드러낸다. 「신화를 삼킨 섬」은 이러한 이청준의 사유가 집약된 작품이다.

    영어초록

    Lee Chung-jun's Novels often show aporia at endings. It seem that the aporia came from his own problem that his ontological thought is contradictory to his ethics. His early novels presented the thematic problem that one's quest for freedom is unavoidably as oppressive to the other.
    In his late novels, he focused on the matter of restoration of ex-modern people's community. His last novel,『An Island which swallows myth』well demonstrates the originated thought about restoration of ex-modern people's community, with questioning how a folk memory has become a myth, and how the dominant power abuses the myth for its own purpose. Every community has its myth as its origin, and the myth is the center which hopes, dreams, desires and ideals of the community members are gathered around. But the myth is created by associating mythos with logos and the myth itself is a product of a collective will which subordinates the individual will to.
    The myth which an community is founded on, get logic of identification to work and maintains as oppressive to community members. So, 『An Island which swallows myth』 implies an community has its liberating powers only when a dream of it will never be accomplished and it remains incomplete, as an abortive hero motive in folk narratives impl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학이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6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