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피로사회 담론의 주체성과 탈근대적 주체성 분석 (Analysis of fatigue society discourse and postmoderen subjectivity)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17.09
29P 미리보기
피로사회 담론의 주체성과 탈근대적 주체성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시대와 철학 / 28권 / 3호 / 7 ~ 35페이지
    · 저자명 : 강지은

    초록

    본 연구는 피로사회의 주체성과 근대적 주체성이 과연 다른 것인지, 또 어느 지점에서는 동어반복인지에 대하여 밝힘으로써 피로사회를 살고있는 현대인의 주체성을 정립하고자 한다. 이번 연구는 근대적 주체를 넘어서는 니체의 주체를 먼저 분석할 것이다. 흔히 현대성을 징후적으로 보여주는 학자로 마르크스, 니체, 프로이트를 꼽는다. 이들의 공통점은 보편성과 절대성으로서의 주체 개념을 문제시했다는 것이다.
    니체의 주체는 힘에의 의지를 담지하고 권력에 저항하는 자유로운주체이다. 여기에서 논자는 니체의 부정성을 담지한 자유로운 주체와 피로사회의 주체가 한 편으로 교차지점을 갖지만 서로 다른 주체임을 분석할것이다. 여기에서 주목할 것은 피로사회의 주체는 니체의 현대적 주체처럼 단일 권력에 예속되지 않는 자유로운 주체이지만 다른 한편으로 시스템적폭력에 무방비로 노출되어 있는 근대적 주체라는 점이다.
    다음으로 논자는 푸코의 규율사회가 현재의 피로사회를 규정하지 못한다는 한병철의 진단을 분석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감시와 처벌』에 등장하는 근대적 주체성의 계보학적 연구를 논의의 틀로 삼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논자는 이번 기획을 통해서 피로사회의 주체가 피로를벗어던지기 위해서 무엇이 필요한지를 논할 것이다. 피로사회는 결국 인간고유의 주체성을 공중분해시키는 현장이다. 피로사회의 담론이 다양한 담론을 생산, 재생산해 나가는 것은 중요하다. 왜냐하면 지금까지 왜 피로한지도 모르고 살아온 주체가 현대적 주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언제까지 우리가 왜 피로한지에 대해서 성토만 할 수는 없다.
    여기에서 논자가 제시할 대안은 칸트의 미학적 주체이다. 칸트의 미학적주체는 공감하는 주체이다. 생명과 창조의 놀이를 통한 주체상과 한병철이제시하는 미래사회의 ‘피로한’ 주체의 교집합을 통해 새로운 주체성을 형성을 개진해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difference and similarities between the modern concept of identity and the Fatigue Society’s concept of identity, suggested in Byung-Chul Han’s book Fatigue Society. Based on this study, I attempt to define the identity of contemporary individuals. Before comparing these two areas, I will discuss Nietzsche’s concept of identity. With regard to modern identity, Karl Marx, Friedrich Nietzsche, and Sigmund Freud are considered the triumvirate of thinkers. All of these three philosophers have illustrated the concept of identity in terms its entirety and subjectivity.
    Nietzsche’s concept of identity is a liberal one that is independent and resistant to authority. I will suggest how Nietzsche’s concept of identity somewhat aligns with that of Fatigue Society’s but overall differs. While Fatigue Society’s concept of identity is an unbounded one like Nietzsche’, Fatigue Society’s identity is systematically exposed to violences. Afterwards, I will analyze Han’s argument that Michel Foucault’s concept of identity does not apply to current Fatigue Society. I will use the genealogical frame of reference in Discipline and Punish by Michel Foucaul to observe Han’s claim.
    Lastly, through this paper, I will provide solutions to remove the “fatigue” from our Fatigue Society. Eventually, Han’s concept of Fatigue Society is the process of tearing our identity, as humans, apart.
    Especially in our current society where people live without knowing why we feel fatigue, it is important to discuss the ideas behind Fatigue Society and promote the continuation of such discussion.
    Nevertheless, we cannot continue to lament about our insensitivity to our fatigue. In order to resolve this dilemma, I will take a look at the aesthetic identity of Immanuel Kant as the solution. Kant’s concept of aesthetic identity is about compassion. Embracing such aesthetic and recuperative concepts is the means through which we can combat this Fatigue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