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제 말기 만주 이주 서사에 나타난 '탈식민 지향' ('Postcolonial Inclination' in Migration Narratives to Manchuria at the End of Japanese Imperialism)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19.05
27P 미리보기
일제 말기 만주 이주 서사에 나타난 '탈식민 지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남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남어문논집 / 1권 / 47호 / 67 ~ 93페이지
    · 저자명 : 차성연

    초록

    이 논문에서는 한설야의 『대륙』과 이기영의 『처녀지』에 나타난 ‘탈식민 지향’을 ‘만주’라는 공간의 가능성에서 찾고자 하였다.
    『국민신보』에 연재된 한설야의 일본어 소설 『대륙』은 남녀 간 사랑이나 전투 장면 묘사, 스파이 조직의 등장 등과 같은 통속적 요소를 의도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오야마가 중심이 된 애정관계 서사와 하야시가 중심이 된 개척 서사가 병렬적으로 진행되는 구조를 지니고 있다. 오야마를 주인공으로 내세워 전자에 더 집중이 되고 있긴 하지만 어린 시절 만주로 이주하여 만주에 대해 누구보다 잘 이해하고 있는 하야시와 그가 기획한 사업의 성격에 더 주목해볼 필요가 있다. 그 성격이란 ‘대륙’에 바탕을 둔 개조를 말하는 것인데, 이는 당시 만주국의 현실적 상황에 기반한 변화가 아니라 기층 중심의 국제적 연대의 가능성에 초점을 둔 변화를 일컫는 것이다. 이러한 변화가 다른 어느 곳이 아닌 만주이기 때문에 가능하다고 보기 때문에 『대륙』 전반은 만주 공간에 대한 긍정의 파토스가 지배적이다. 역경은 좌절의 계기가 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계속해서 시도하고 변화하는 추진력으로 작용한다.
    이기영의 『처녀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탈식민 지향’은 주인공 남표의 행적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는 조선에도, 만주에도, 또 만주의 신경이나 정안둔 그 어디에서도 정주할 수 없는 경계인으로서, 구도자적 행보를 계속하며 자신이 거쳐온 장소와 자신과 관계 맺은 사람들을 원경화(遠景化)한다. 이러한 남표의 행적은 ‘물질’을 거부하는 그의 ‘정신’ 지향을 보여주는 것이며, 동시에 ‘물질’과 단절된 자신의 결백을 주장하는 행로이다. 전향 사회주의자로 추측할 수 있는 인물을 통해 만주에서 펼쳐보이고자 한 이기영의 ‘탈식민 지향’은 이처럼 한 작중 인물의 무의식적 층위에서나 확인할 수 있을 정도이지만 그 파토스는 두 주요 인물을 죽음으로 몰아갈 만큼 비극적이며 강렬하다. 구도자의 비극적 죽음은 강렬한 파토스를 남기며 그가 서 있는 무대의 현실적 시공간성을 무화시킨다. 그렇기 때문에 이기영의 『처녀지』가 만주의 조선인 개척민 마을을 배경으로 하면서 아편중독자나 페스트와 같은 당시 실재했던 소재를 활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실적 생활 공간으로서의 만주는 원경화될 수밖에 없다.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주변부 이주 공간인 만주를 통해 어떠한 층위로든 ‘탈식민 지향’이 표출될 수밖에 없는데, 그 파토스는 『대륙』과 『처녀지』 두 작품에서 정반대의 정조(情調)를 보이고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ed to find out 'Postcolonial Inclination' in 『Continent』 by Han Seol Ya and 『Virgin Soil』 by Lee Ki Yeong from potentials of a space 'Manchuria'. Han Seol Ya's novel 『Continent』 in Japanese serialized in 『Kukmin Shinbo』 uses intentionally conventional elements including description of love between man and woman and of battle scenes, appearance of a spy ring and has a parallel structure of a romantic relational narrative centered on Oyama and a pioneering narrative centered on Hayashi. Though it focuses more on the former since Oyama plays a main character, it is needed to pay more attention to Hayashi who emigrated to Manchuria when young so understands Manchuria better than anyone else and to the character of the undertaking he planned. Such a character refers to reorganization based on the 'Continent', meaning not a change grounded in a realistic situation of those days' Manchukuo but a change focused on potentials for substratum-centered international solidarity. Since such a change is regarded to be possible because it is 'Manchuria, not anywhere else, pathos of positivity for the space of Manchuria is dominant in the first half of 『Continent』. Adversity not presents a possibility of frustration but acts as momentum for making an attempt and changing continually.
    'Postcolonial Inclination' shown from 『Virgin Soil』 by Lee Ki Yeong may be identified from a trace of life of a hero, Nampyo. As a marginal man who can settle down neither in Joseon nor in Manchuria, and also neither in Xinjing nor in Jeongandun of Manchuria, he is constantly walking the path of a truth-seeker and makes places where he has been and people who have a relation with him kind of a distant view. His trace of life is the thing showing his orientation toward 'Soul' which denies 'Material' and at the same time it is a path for protesting his innocence, who was broken off from 'Material'. As such, even though Lee Ki Yeong's 'Postcolonial Orientation' he wanted to spread in Manchuria through the character who can be assumed as a converted socialist may be identified only from unconscious layer of the character, its pathos is tragic and intense enough to lead both main characters to death. The tragic death of the truth-seeker leaves intense pathos and leads realistic space-time of a stage where he is standing to nihility. Hence, though 『Virgin Soil』 by Lee Ki Yeong sets in a Manchurian village of Joseon setters and uses subjects which existed in those days like an opium addict or pest. Manchuria as a realistic space for living is forced to be a distant view.
    Through Manchuria, a marginal migration space, 'Postcolonial Orientation' is forced to be expressed to any layer in a greater or lesser degree and its pathos shows opposing sentiments in both works 『Continent』 and 『Virgin Soi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남어문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