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성애 정상성을 탈신화화하기 (A Demystification of Heteronormativit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18.10
24P 미리보기
이성애 정상성을 탈신화화하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아시아영화연구 / 11권 / 1호 / 249 ~ 272페이지
    · 저자명 : 이숙희

    초록

    이 연구는 1993년 헐리우드 영화인 <M. 버터플라이>가 백인 남성 신화를 섹슈얼리티의 측면에서 급격히 해체하는 텍스트로 보고 그 구체적 내용을 분석하였다. 백인 남성의 권능은 미국과 백인이라는 국가 및 인종적 범주에서만 나오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해부학적 남성 신체와 이성애자 섹슈얼리티라는 그의 성적 정체성에서도 나오는 것이다. <M. 버터플라이>는 백인 남성이 자신의 권능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으로 어떻게 이성애적 주체로 자신을 구성하며 자신의 팔루스가 되어 줄 성적 타자를 찾아 오이디푸스적 오디세이를 펼쳐가는지를 추적하고 있다. 그러나 이 작품의 주인공 갈리마르는 일반적인 이성애자 오이디푸스와 달리 성적으로 불안정하고 결국 어떤 성규범에도 자신을 귀속시키지를 못한다. 데이비드 황은 이러한 불안정하고 실패로 끝맺음을 하는 갈리마르를 통하여 주류 사회가 가정하는 이성애 질서가 과연 자연스러우며 본질적인 것인가를 심문한다. 작품 전반에 걸쳐 묘사되는 갈리마르의 불안정성과 편집, 그리고 그 어떤 단일한 성적 정체성에도 자신을 완벽하게 맞춰낼 수 없는 갈리마르의 실패는, 이성애법이 가정하는 신체-섹슈얼리티-젠더의 흠없는 일치가 그것이 가정하는 것처럼 자연스럽게 주어진 것이 아니라 법에 의해 강제적으로 부여된 사회적 규범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드러낸다. 이성애법은 단지 섹스, 섹슈얼리티, 젠더의 배열을 특정한 방식으로 배열한다는 점에서만 규범적인 것이 아니다. 그것이 가정하는 특정 섹스, 특정 섹슈얼리티, 특정 젠더 자체도 법이 생산한 인위적 규범으로서 그 속에는 아무런 전담론적 실체가 없는 것이다.

    영어초록

    Heteronormativity assumes that heterosexuality is the only 'natural' sexual orientation and should be set as a social norm. To be regarded as a normal adult, a male should follow this assumption. In this sense heteronormativity is a compulsory social order, not naturally given. For a long time a white male has been given hegemony as a social norm because of his assumed heterosexuality which is natural and healthy. This is the myth of white male heterosexuality, which M. Butterfly attempts to deconstruct.
    This study analyzes how M. Butterfly demystify white male heterosexuality myth on the base of two of Judith Butler's critical terms: 'compulsory heterosexuality' and 'parody of heterosexuality'. According to compulsory heterosexuality a subject does not choose his sexuality with his free will; rather he is constructed by the binary sexual categories such as male/female sex, hetero/homosexuality, and man/woman gender. Gallimard, the protagonist of M. Butterfly, also performs his sexual identity constructed on those given precepts. He eagerly pursuits an ideal image of a male heterosexual to earn social esteem. His desperate efforts reveals that white male heterosexuality is not an essence naturally given but a social norm to be followed consistently. The second work of M. Butterfly to demystify heteronormativity lies in its parodic style to deal with compulsory heterosexual order. Gallimard and his partner, Song, wildly change their sex roles as their reality changes. They keep their heterosexual appearance so smoothly even though both of them are biologically male. The gap between the reality and the appearance shows the limit of heteronormativity and radically weakens its power as the origin of truth. Now heteronormativity is seen as comic and ironic which is full of contradictions and gaps. The final scene of M. Butterfly is a supreme parody that reveals the contradictions and gaps of heteronormativity. In addition, it also reveals in its very parodic way that all discourses of sex, sexuality, and gender are just concepts imagined by a society, which have been so consistently practiced that when or how they were first constructed became hardly recognizab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아시아영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