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탈식민주의에서 탈식민 페미니즘까지 : 이론의 쟁점과 프랑스의 수용 양상 (Du postcolonialisme au féminisme postcolonial : les problèmes théoriques et la réception de la France)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20.03
24P 미리보기
탈식민주의에서 탈식민 페미니즘까지 : 이론의 쟁점과 프랑스의 수용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어불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불어불문학연구 / 121호 / 43 ~ 66페이지
    · 저자명 : 김지현

    초록

    본 연구는 20세기 후반에 중요한 비판 담론으로 부상한 탈식민주의 이론과 여기에서 파생된 탈식민 페미니즘 이론의 쟁점을 프랑스 사회의 특징 및 프랑스 학계의 수용 양상을 중심으로 검토한다. 여타 포스트구조주의 이론의 발생과 제도화 과정과는 달리, 프랑스 학계는 수입 이론이었던 탈식민주의에 대해 전반적으로 소극적이거나 심지어 적대적인 반응을 보였다. 그렇지만 2005년을 기점으로 탈식민 연구가 활기를 띠고, 영미 학계의 학문적 성과가 구체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한다. 프랑스의 식민 지배를 정당화하여 논란을 야기했던 2005년 법안의 제정과 철회, 파리 방리외의 소요 사태 등과 같은 일련의 사건은 식민체제와 공화주의의 관계와 프랑스 사회의 이민자 문제에 대한 논의를 촉발했다. 탈식민 페미니즘은 탈식민주의의 한계로 지적되었던 젠더 불감성을 고려하여 식민체제와 섹슈얼리티의 관계, 피식민 여성의 특수한 경험, 식민체제와 민족주의의 여성차별적인 요소를 검토한다. 그리고 ‘성차별 타파’라는 목표를 공유하고 있는 프랑스 및 프랑스어권 페미니즘 연구자들은 탈식민 페미니즘 연구에 적극적인 관심을 보였다. 특히 ‘젠더화된 하위주체’인 피식민 여성들의 재현과 관련하여, 소수자 발화와 ‘여성’ 범주 문제가 탈식민 페미니즘 관점의 문학 텍스트 이해에 직결되며, 이런 맥락에서 대표적인 작가와 작품의 쟁점을 간략히 제시한다.

    영어초록

    Cette étude vise à examiner la théorie postcoloniale et en particulier le féminisme postcolonial, discours critique important à la fin du ⅩⅩe siècle en considérant l’évolution de la société française et la réception du monde académique français. Le postcolonialisme ne connaît pas le même développement que les autres théories poststructuralistes : il s’agit d’une théorie importée en France et généralement ignorée ou méprisée. Néanmoins, les études sur le postcolonialisme s’intensifient depuis 2005 dans l’Hexagone et les résultats des recherches anglo-américaines commencent à être discutés. L’événement comme la promulgation puis le retrait de la législation de 2005 provoque le débat sur le colonialisme. Le féminisme postcolonial examine les problèmes coloniaux en critiquant les liens entre le système colonial et la sexualité, son sexisme et le nationalisme. Les chercheuses féministes françaises et francophones, qui s’accordent sur la discrimination sexuelle, montrent un réel intérêt pour ces recherches. En particulier, la question de la parole des minorités est directement liée à la représentation des femmes colonisées, considérées comme “gendered subaltern”, en littérature. Dans ce contexte, nous abordons brièvement quelques écrivains et les sujets de leurs oeuvr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어불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