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TV 드라마에 나타난 노인 이미지와 노년에 대한 인식 —시트콤 <거침없이 하이킥>을 중심으로— (The awareness of old age and the image of aged people appeared in television drama —with sitcom “Geochimeopsi Haikik” as the center)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11.12
32P 미리보기
TV 드라마에 나타난 노인 이미지와 노년에 대한 인식 —시트콤 &lt;거침없이 하이킥&gt;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드라마학회
    · 수록지 정보 : 드라마 연구 / 35호 / 55 ~ 86페이지
    · 저자명 : 전성희

    초록

    본 연구는 노인 인구의 급격한 증가로 인한 노인의 이미지와 노년에 대한 인식을 T.V. 드라마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T.V. 드라마는 대중매체가 갖고 있는 특성상 일반 대중들의 공유된 경험을 제공하는 중요한 매개체로 사람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치며 사람들의 생각이나 이미지가 담겨있다. 이 시대 노인에 대한 연구를 위해 시트콤을 선택한 것은 시트콤이 다른 장르의 드라마에 비해 30분 내외의 짧은 시간 동안 극 진행을 위해 정형화 된 인물에 의존하기 때문에 노인의 역할과 비중이 일반 드라마에 비해 높다. 그래서 2006년 11월부터 2007년 7월까지 방영되었던 <거침없이 하이킥>을 그 대상으로 삼았다.
    <거침없이 하이킥>은 시청률이 20%에 이르는 인기 시트콤으로서 이혼, 취업난, 나이듦 같은 우리의 일상이 잘 담겨있다. 특히 순재와 문희로 대표되는 이 시대 남녀 노인들의 모습을 개성적으로 그려냈다. 순재는 한의사로 현업에 종사하고 있지만 같은 일을 하는 며느리에게 밀려 겨우 자리만 유지하고 있다. 문희도 육아와 가사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데 며느리는 신지식을 내세워 자존심을 건드린다, 그런데 큰 아들은 직장이 없고 작은 아들은 이혼하고 그래서 모두 함께 살고 있어 두 노인 모두 일을 해야 한다. 게다가 이들 노인 세대는 일하는 것을 삶의 중요한 가치로 알고 살아왔기 때문에 일을 하지 않는다는 것은 자신이 쓸모없다는 의미로 받아들여 온갖 수모를 당하면서도 일을 포기하지 않는다.
    우리는 전통적으로 노인은 일정한 시기에 이르면 일에서 물러나 쉼을 갖는 것을 당연시했으나 오늘날의 노인들은 일에서 놓여날 수가 없다. 그리고 시대가 노인의 노동력을 요구하기 때문에 더군다나 은퇴를 할 수 없는 것이다. 암묵적으로 은퇴를 강요하는 사회와 은퇴를 할 수 없는 상황 사이에서 일하는 노인의 딜레마가 있다.
    세상이 빠른 속도로 변하면서 문명과 기술의 발전 속도는 놀랍다. 새로운 문명과 기술에 적응하지 못하는 노인들은 소외감으로 인해 폭력적으로 변해간다. 그래서 새로운 개념인 폭주노인이 등장하고 사회적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e point of the study was to observe the image and awareness of senior citizens due to a sharp increase in numbers of ageing population through television drama. The television drama plays an important role that has characteristic of mass media, which is providing shared experiences of public, and has people's thoughts and images. The reason to choose a sitcom to study the senior citizens of this time period is because the sitcom usually depends on a standardized character to finish the story in short time period, usually little less and more than 30 minutes. So it has more importance of the senior citizens than other standard drama. Therefore, a sitcom named "High Kick"(Geochimeopsi Haikik) which aired from November 2006 to July 2007 was chosen to be the example of the study. The "High Kick" was popular sitcom with high viewer ratings of 20% and has story line that includes our ordinary life issues, for example,divorce, unemployment crisis and getting old.
    Especially characters named Soon-Jae and Moon-Hee, who represent aged man and women of this time period, were expressed as full portrayed characters. Soon-Jae is working as an oriental doctor, but he barely has that position just out of respect for his seniority. Moon-Hee is a woman who is tied up with household chores and infant care and her daughter-in-law is keep hurting Moon-Hee's pride with her up-to-date knowledge. But Moon-Hee's elder son is jobless and her second son is divorced.
    Soon-Jae, Moon-Hee and everyone else is living together, so the two old man and women had to work. And the generation of Soon-Jae and Moon-Hee believed that the idea of working for their life is valuable, and not working means becoming useless. Even though they had been humiliated by many other factors, they can't give up their work.
    Traditionally, we thought it is perfectly normal for old people to step back from their work to have a recess at some point of time, old people of this time period can't step back from their work. And in this era, the society asks for old people's workforce. The old people can not be retired from their work.
    The speed of advances in civilization and technology is amazing as the world changes at a fast pace. The old people who can not get use to the new civilization and technology become outrageous because of a sense of alienation. So the new idea of outrageous old people appears in this society and we can find that it leads to social issu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드라마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