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칸트에서 이념의 인식론적 역할: ‘칸트의 이념’에 대한 방법론적 독해는 이념의 객관성을 부정하는가? - 폴 아벨라와 필립 키쳐의 논의를 중심으로 - (The epistemological role of Idea in Kant: Does the methodological reading about ‘Kant's Idea’ deny the objectivity of Idea? - focused on Paul Abela and Philip Kitcher's discussions -)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08.02
27P 미리보기
칸트에서 이념의 인식론적 역할: ‘칸트의 이념’에 대한 방법론적 독해는 이념의 객관성을 부정하는가? - 폴 아벨라와 필립 키쳐의 논의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철학논집 / 15권 / 119 ~ 145페이지
    · 저자명 : 박경남

    초록

    폴 아벨라(Paul Abela)는 그의 “The Demands of
    Systematicity: Rational Judgment and the Structure of
    Nature”(2006)에서 칸트의 이념에 대한 주관적이고 발견적인 성격
    을 강조하는 입장과 그것의 객관적 성격을 강조하는 입장의 대립을
    논의 틀로 제시한다. 거기에서 그는 이념을 방법론적 원리로 독해하
    는 필립 키쳐(Philip Kitcher)가 이념의 주관적이고 발견적인 성격
    을 강조하면서 그것의 객관적 성격을 무시한 것으로 이해하고, 그러
    한 입장이 이성을 경험 대상에 대한 객관적 인식에서 역할이 없는
    것으로 배제하는 잘못된 경험론적 편견에 근거한 것으로 비판한다.
    본 논문은 관련된 칸트의 문헌과 키쳐의 두 논문 “Projecting
    the order of Nature”(1986)와 “The Unity of Science and the
    Unity of Nature”(1994)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이것이 부당한 평가
    라는 것을 주장한다. 키쳐는 오히려 이념이라는 방법론적 원리의
    객관성을 적극적으로 옹호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그는 칸트가 경험주의적 전제를 뒷받침하는 것이 아니라 전통적 실재론자와 흄
    계열의 경험론자 사이의 대립에 중도적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이 때문에 나는 아벨라가 제시하는 대립 틀을 통해서 칸
    트의 이념을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문제는 이
    념의 주관적이고 발견적 성격을 강조할 것인지 아니면 그것의 객관
    적 성격을 강조할 것인지에 관한 것이 아니라 그 두 측면을 칸트
    철학 내에서 어떻게 조화시킬 수 있는지, 그리고 각각의 입장에서
    모두 보존되는 객관성의 의미를 어떻게 해석할 것인지에 관한 것으
    로 정립되어야 한다.

    영어초록

    Paul Abela's recent paper, "The Demands of Systematicity: Rational
    Judgment and the Structure of Nature"(2006), presents a contrast
    between subjectively oriented heuristic reading and a stronger
    objective characterization about Kant's Idea as the framework of
    discussion. He argues that Philip Kitcher's methodological approach
    emphasizes the subjective and heuristic characteristic of Idea and
    neglects its objectivity. Abela criticizes that Kitcher's stance is based
    on the false empiricist bias that separates the space of reason from
    the cognitive activity responsible for object and event discrimination.
    I claim in this paper that this criticism is unreasonable through
    in-depth reading of Kitcher's two papers, "Projecting the Order of
    Nature"(1986) and "The Unity of Science and the Unity of
    Nature"(1994). Kitcher defends the objectivity of the methodological
    principle of Idea rather than neglects it. He also suggests Kant's
    remarks on the methodology of science as a via media between
    traditional realists and their Duhemian rivals, not as a form of support
    for the empiricist assertion. For this reason, I think it is unjust to understand Kant's Idea through contrasts as suggested by Abela. The
    problem should not be about choosing either the subjective and
    heuristic characteristic or objective characteristic of Idea. Rather, the
    issue is how those two characteristics can be successfully connected
    within Kant's philosophy and how to interpret and evaluate the
    objectivity that is preserved in each sta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