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모빌리티’라는 키워드와 새로운 ‘젠더’의 가능성 ― 한국 『고등학교 일본어Ⅰ・Ⅱ』와 일본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 안의 시각텍스트를 중심으로 ― (The Keyword ‘Mobility’ and Possibility of a New ‘Gender’: Through the Comparison of Visual Texts in the Textbook of “High School Japanese I and II” in Korea and the Textbook of “Japanese Language” for)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22.11
17P 미리보기
‘모빌리티’라는 키워드와 새로운 ‘젠더’의 가능성 ― 한국 『고등학교 일본어Ⅰ・Ⅱ』와 일본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 안의 시각텍스트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어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일본어교육연구 / 61호 / 133 ~ 149페이지
    · 저자명 : 이은주

    초록

    본고에서는 ‘모빌리티’라는 키워드를 통해 공적 미디어인 교과서 안에 재편성되는 젠더 이분법적 내용을 추출하여 이를 분석・해체함으로써 새로운 ‘젠더’의 가능성을 조명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교과서 안에 내재된 ‘남성 대 여성’이라는 정치적인 이분법을 해체하고 젠더규범으로부터 탈주하여 ‘공생사회’를 체현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젠더’ 이론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비정치적이고 보편적인 ‘모빌리티’라는 키워드를활용하여 교과서 안에 내포되어 있는 젠더양상을 제시하고 그 젠더의 형성과 해체의 반복이 빚어내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특히 시각텍스트만을 분석범위로 하여 한국의 현행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일본어Ⅰ・Ⅱ』 (총12권)와 저본으로 삼은 일본의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총10권) 합계 22권을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첫 번째작업으로 교과서 안의 커리큘럼에서 남녀에게 다르게 적용되는 모빌리티의 불균형과 젠더규범 중 정형화된 성별역할분업을 추적해보았다. 첫째, 모빌리티 역량의 차이와 모빌리티 공간/장소성이 갖는 의미가 젠더에 미치는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둘째, 모빌리티의 시선이 가진 남녀문화의 정형성을 구축해내는 내용을 파악해보았다. 두 번째 작업으로서 모빌리티라는 렌즈를 통해 새로운 ‘젠더’의 가능성을 진단해보았다. 첫째, 모빌리티를 통해기존 젠더질서에서 탈피할 수 있는 ‘인식의 이동’ 가능성을 분석했다. 둘째, 임모빌리티 장소에서 이루어지는 가사와 육아활동 등은 남녀 한쪽만의 특화된 일이 아니라 모성・부성의 조화, 즉 모성도 부성도 아닌 모친업(母親 業)에서 부모업(親業)이라는 인식으로 전환함으로써 남녀협업의 보편적인 일임을 알아보았다. 셋째, 모빌리티프리를 통해 문화의 혼종성을 추출해보았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a new ‘gender’ by extracting, analyzing, and dismantling the gender binary contents implied in textbooks, which are the public media, through the keyword ‘mobility’. As the first task, the content of gender order embedded in the curriculum hidden in the textbook was traced through the imbalance of mobility applied differently to the male and female, and the set pattern of role allocation between them. First, the categorization/standardization of mobility space and disciplining of bodies were examined. Second, the content of mobility perspective that established the set pattern of culture of male and female or traditional culture was identified. For the second task, the possibility of a new gender was identified through the lens of mobility. To this end, first, the possibility of motility and the possibility of the existing gender order to be overthrown were analyzed. Second, in relation to mobility, it was found that housework and child-rearing activities were not a task only specialized for either male or female, but rather, it is a universal task based on the cooperation between two people, as the recognition is transitioning from motherhood to parenthood through the nature of love. Third, the cultural hybridity was extracted through mobility-free. In other words, the gender reorganization through the transition from building the boundaries of the gender concept to breaking up the boundaries and the convergence of gender from ‘denial of others’ to ‘recognition of others’ in gender culture and traditional culture were revealed by disclosing the division within the subjec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본어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