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동체문화 실천의 역사적 원천과 민속적 의미-무교회주의와 아나키-코뮨의 연관을 중심으로- (A Historical Source and Folkloristic Representation in Practice of Community Culture- Focusing on the Relation of Non-church Movement and Arnachi-commune-)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24.05
30P 미리보기
공동체문화 실천의 역사적 원천과 민속적 의미-무교회주의와 아나키-코뮨의 연관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속학 / 79권 / 7 ~ 36페이지
    · 저자명 : 강석민

    초록

    오늘날 한국사회에서 펼쳐지고 있는 마을/공동체 행동은, 지금껏 전개되어 왔던 풀뿌리 운동 지형의 새로운 재편을 반영하고 있는 것과 동시에, 그동안 혈연 중심의 모둠살이 정도로 여겨져 왔던 마을/공동체의 의미론적ㆍ실천론적 위상의 변곡점 혹은 그 확장성을 포괄하고 있다. 다만 민속학적 입장에서 볼 때, 문제는 여기에 접근하는 경로를 어떻게 설정할 수 있는지에 대한 천착 혹은 그 역사적 탐구와 정립이 필요하다는 점일 수 있다. 이 글은 현재의 시점에서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그 한 가지 경로로서 한반도에서 펼쳐졌던 공동체문화 실천의 어떤 흐름 혹은 사례에 대한 역사적 계열화를 시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이 글은 일제강점기와 해방 직후라는 시기에 걸쳐 출현했던 무교회주의의 흐름을 주요 사례로서 접근한다. 먼저 통시적 관점에서 무교회주의자들의 실천과 사상 및 행적을 추적하고 그 역사적 의미를 탐색함으로써 현재의 공동체문화 실천과의 연관 관계 속에서 분석한다. 그런 다음, 해당 공동체운동의 특이성과 역동성을 검토하기 위해, 현재 한국사회에서 다각화되고 있는 공동체문화 실천과의 연계 속에서 그 역사적 원천성을 논의한다. 기본적으로 무교회주의는 제도적ㆍ의식적 조건을 필요로 하지 않음을 지향하고 형제적 공동체를 강조함으로써 아나키적인 것과 코뮨적인 것이 결합된 성격이 발견된다. 이와 아울러, 국가의 형성ㆍ근대의 도래ㆍ외세의 침입이라는 국면 혹은 정세 속에서 해당 사례는 대안적 흐름을 주조할 수 있었는데, 이때 근대성의 시공간 속에서 마을 혹은 공동체를 거점으로 한 가치실천 양식이 새롭게 고안되었다는 점은 이 글의 관점에서 매우 중요한 대목이라고 할 수 있다.
    민속적 관점에서 이와 같은 흐름은 궁극적으로 민속의 근대적 배치 혹은 그 변환과 생성이라는 생각을 경유하여 정리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특히 공동체문화 실천이 시대의 변화에 조응할 뿐 아니라 체제가 야기한 위기에 대한 대응으로서 대안적 희구와 상상들과 동궤를 이루며 민속의 의미 지평을 확장ㆍ변환시키며 전개되었고, 또 앞으로도 그럴 가능성이 있다고 할 때, 이 글은 역사적인 관점에서 그 초기의 실천 양식이 어떻게 주조 혹은 현실화될 수 있었는지 짚어보고 그 의미를 살펴본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village/community behavior unfolding in Korean society today reflects a new reorganization of the grassroots movement landscape that has been developed so far, and at the same time, it encompasses the inflection point or expandability of the semantic and practical status of the village/community that has been considered to be a family life centered on blood ties. However, from a folk perspective, the problem may be that it is necessary to explore or establish a historical inquiry and establishment of how the path to approach this can be establish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present point of view, this article attempts to historically sequence a certain flow or case of community culture practice on the Korean Peninsula.
    To this end, this article approaches the flow of non-churchism that emerged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and the period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as a major example. First, from a diachronic point of view, the practice, thoughts, and deeds of non-churchists are tracked, and their historical meaning is explored to analyze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practice of current community culture. Then, in order to examine the specificity and dynamics of the community movement, its historical origin is discussed in connection with the practice of community culture that is currently diversifying in Korean society. Basically, non-churchism aims to avoid institutional and conscious conditions, and by emphasizing brotherly communities, a combination of the anarchic and the communic is found. In addition, in the phase or situation of national formation, the advent of modernity, and the invasion of foreign countries, the case could cast an alternative flow, and the fact that a new style of value practice based on a village or community was devised in the space and time of modernity is a very important point from the perspective of this article.
    From a folk point of view, this trend will ultimately need to be organized through the idea of the modern arrangement of folklore or its transformation and creation. In particular, community culture practice was developed by expanding and transforming the meaning horizon of folklore by forming a line with alternative metaphors and imaginations as a response to the crisis caused by the system as well as responding to the changes of the times, and it is possible that this article will secure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n that it examines how the early practice style could be cast or realized from a historical point of view and examines its mean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