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키틀러 매체론에서의 ‘지각’의 문제에 관하여 - 기록체계 1800과 1900의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Perception’ in Kittler's Media Theory : A Comparative Study of Aufschreibesysteme 1800, 1900)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15.06
30P 미리보기
키틀러 매체론에서의 ‘지각’의 문제에 관하여 - 기록체계 1800과 1900의 비교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학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미학예술학연구 / 44권 / 81 ~ 110페이지
    · 저자명 : 최소영

    초록

    키틀러는 기술을 중시하는 매체이론가로서 인간의 신체를 매체에서 배제하고 생리학적 지각의 한계와 특성에 대해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한다. 그는 인간의 지각이 기록체계의 결과물로서 그 기술담론적 상황 속에서 새롭게 형성되고 또한 변화되어 나가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 글에서는 키틀러의 기록체계 1800과 1900의 ‘지각’의 특성을 각각 ‘환영성’과 ‘TAM 및 지각의 표준화’로 규정하고 그 형성과정과 특징에 대해 해명하고자 한다. 기록체계 1800의 시대의 경우, 아이들이 어머니의 음성을 통한 문자 교육으로 인해 독특한 생리학적 조건을 갖추게 되었고 이로써 문학 텍스트를 접할 때 ‘환영’의 효과를 보다 강하게 얻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당시의 문학 텍스트는 이러한 환영성을 부각시킬 수 있는 서술 기법이 다양하게 쓰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기록체계 1800의 지각 방식이 문자를 자연의 근원과 연결된 상형성을 가진 것으로 이해하는 당대의 매체기술적 상황 속에서 형성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기록체계 1900은 이와 매우 상반되게 축음기와 영화 등 아날로그 매체의 등장에 따른 새로운 지각 방식을 형성한다. 키틀러가 기술매체의 주요 특징으로 보는 TAM은 이 새로운 지각 방식의 특징이기도 하며, 사람들이 접하는 축음기와 영화 컨텐츠는 모두 TAM의 결과물로 볼 수 있다. TAM은 기술매체의 대량 생산과 보급에 있어 매우 중요한 산업 표준을 결정하는 요소가 된다. 또한 이는 사람들의 지각을 매개된 지각으로 대체하는 효과를 낳는다. 이런 과정은 기술매체가 사람들의 지각에 어떤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보여준다. 매체가 기록한 장면은 실제 움직임의 표준이 되며 이렇게 표준화된 움직임은 곧 자동화되는 효과를 가져 온다. 그리고 이것은 기술매체에 의한 새로운 리듬을 형성한다. 이렇게 두 기록체계의 지각 방식의 특성에 대한 연구를 통해 매체는 우리의 지각을 지배하며 매체가 무언가를 기록하는 방식은 우리 지각의 방식을 구성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키틀러는 지각 방식의 형성과 변화에 있어 인간의 본연의 지각이 갖는 역할이 역사적으로 점점 축소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기술적으로 형성되는 지각 방식과 무관한 순수한 지각의 매커니즘의 역할과 의의에 대해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한다. 키틀러의 지각론은 분명 비판받을 지점과 한계를 갖고 있으나 기술매체의 등장 이후 우리가 세계와 만나는 방식이 근본적으로 매체적이라는 점은 부인할 수 없다. 따라서 키틀러의 ‘지각론’ 연구를 통해 우리는 현재 우리의 기록체계적 상황과 지각방식의 특성에 대해 보다 정확히 접근할 수 있는 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Kittler, a media theorist who puts emphasis on technology, excludes human body from media and raises a fundamental question of the limitation and attributes of physiological perception. He suggests the course that human's perception has been built and changed in the technological-discoursive situation as an output of Aufschreibesystem. This thesis aims to define the attributes of the perception for Aufschreibesystem 1800, 1900 as the ‘illusion’ and ‘TAM and standardization of perception’, and to try to clarify the process of building and the characters. In the case of the Aufschreibesystem 1800, children might be prepared some special perceptive condition by the literal education through mother's voice, then they can get the effect of ‘vision’ stronger when they receive literal text as the result. And what's more, in the literal text of those days might be shown many kinds of narrative techniques to give prominence to the ‘vision’. This result demonstrates the way of perception of Aufschreibesystem 1800 has built in the media technological situation that accepts the letter as hieroglyphic traits linked to the essential part of nature. The way of perception of Aufschreibesystem 1900 is formed newly by the appearance of technological media on the other hand, TAM(Time Axis Manipulation), Kittler refers the important character of media, is the attribute of the new way of perception. And the contents of gramophone and film might be shown as the result of TAM. First, TAM is an major element to decide the industrial standard for the mass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technological media. Then TAM brings effect to replace people's perception as mediated perception. The process shows how the technological media effects to the people's perception consequentially. The scenes reported by media might be the standard for the actual movement, then the standardized movement brings the effect for the automation. And this change forms a new rhythm of technological media. Through the study about the perception way's change, we can confirm the media control our perception and the way for writing of media constitutes the way of perception for us in this way. Kittler suggests the role of human being's natural perception in the formation and change of the way of perception has been reduced historically. And he asks some basic questions about the role and the meaning of the genuine perception's mechanism unrelated to the technological perceptional way. It is an undeniable fact that the way of us to meet the world is mediated fundamentally after the appearance of technological media even though Kittler's perception theory might be criticized on many points. And his perception study can show the method to access our situation and the character of perception's way more accurate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