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키워드 분석을 통한 국내 디지털 헤리티지 연구 동향 분석 (Analysis of Domestic Digital Heritage Research Trends Through Keyword Analysis)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24.12
26P 미리보기
키워드 분석을 통한 국내 디지털 헤리티지 연구 동향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문콘텐츠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문콘텐츠 / 75호 / 73 ~ 98페이지
    · 저자명 : 김어진, 강혜리, 이종욱

    초록

    이 연구는 디지털 헤리티지 분야에서 국내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자 키워드 분석을 통해 주요 연구 주제와 발행기관의 변화를 조명하였다. 디지털 헤리티지라는 개념은 유네스코의 2003년 헌장을 기점으로 중요성이 강조되었으며, 현재는아날로그 유산의 디지털 전환과 본 디지털 자원 보존 및 활용에 중점을 둔 광범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 연구는 국내의 디지털 헤리티지의 개념과 유형별, 주제별 분류 연구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용어의 혼재와 분류체계가 일관되지않음을 지적하였다. 연구에서는 1997년부터 2024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논문의 키워드를 분석하여 단어 간 의미 관계나 단어의 연결 중심성을 살펴보고, 연대별 키워드 군집을 추출하여 연구 흐름을 살펴보기 위해 동시출현단어 분석및 시계열 분석을 수행하였다. 논문 발행 경향을 이해하기 위해 발행기관별 발행한 논문 수량을 기반으로 빈도분석 및 시각화를 진행하였다. 국내 학술 논문 중 주제어에 ‘문화유산’과 디지털 기술 관련 키워드가 포함된논문을 분석하였다. 디지털 기술 키워드는 디지털, 정보, 온톨로지, 데이터, 기술, ICT, 3D, BIM, 모델링, 디지털화, 콘텐츠, 가상현실, 가상박물관, 모션캡처, 인공지능, 인터랙티브, 영상, 미디어, 아카이브, 시각화 등 이다. 단어간 의미관계 분석과 연결중심성 분석을 통해 디지털 헤리티지 연구가 ‘디지털화’와 ‘콘텐츠화’에큰 비중을 두고 있으며, 유·무형 문화유산의 보존, 복원, 아카이브, 활용이 연구됨을 알 수 있다. 특히, ‘디지털 헤리티지’ 군집을 중심으로 한 3D 스캔, 증강현실, 가상현실 등의 디지털 기술이 주로 사용되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었다. 디지털 헤리티지 연구는 기술 발전과 사회적 요구, 국가 정책에 맞추어 급속히변화하였다. 특히 최근의 비대면 문화 수요와 디지털 전환 정책은 문화유산 분야에서 새로운 콘텐츠와 체험 방식을 개발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사회적 상황과 정책 변화가 학술연구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앞으로도 기술 변화와 정책적지원에 따라 디지털 헤리티지 연구는 더욱 다양화될 것이다. 디지털 헤리티지가 ‘문화유산’이라는 인문학 분야와 디지털 기술 등의 다양한 분야가 융합된 다학제적 분야인 만큼, 다양한 성격의 발행기관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경향은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관련 연구분야 및 산업의 활성화 뿐만 아니라 향후 디지털 헤리티지 법제화에 기여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identify domestic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digital heritage by analyzing keywords to spotlight key research themes and shifts in publishing organizations.
    Since UNESCO’s 2003 charter, the concept of digital heritage has gained prominence, expanding research topics to include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analog heritage, as well as the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digital resources.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domestic research on the concept and classification of digital heritage by type and topic, highlighting inconsistencies in terminology and classification systems.
    Keywords from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from 1997 to 2024 were analyzed to examine semantic relationships and term centrality, and to trace research trends by identifying keyword clusters over time. Co-occurrence keyword analysis and time-series analysis were applied to track these trends, with frequency analysis and visualization conducted to understand publishing trends based on the number of papers published by each institution.
    Among domestic academic papers, those with keywords related to "cultural heritage" and digital technology were analyzed. Keywords for digital technology included digital, information, ontology, data, technology, ICT, 3D, BIM, modeling, digitization, content, virtual reality, virtual museum, motion capture,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active, video, media, archive, and visualization. Through analyses of semantic relationships and network centrality, it was found that digital heritage research emphasizes “digitization” and “content creation,” focusing on the preservation, restoration, archiving, and utilization of both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dditionally, a prominent “digital heritage” cluster suggests the frequent application of digital technologies like 3D scanning,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Digital heritage research has evolved rapidly in response to technological advancements, societal demands, and national policies. Recent demand for non-contact cultural experiences and digital transformation policies has generated new opportunities for content and experience creation in the cultural heritage sector. Social and policy changes have also influenced academic research, and digital heritage research is anticipated to continue diversifying with ongoing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policy support. As digital heritage spans humanities and digital technologies in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a variety of publishing entities were observed, with this diversity expected to continue. This study contributes not only to advancing research and industry in related fields but also to potential future legislation of digital herit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콘텐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