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 고마자와(駒澤) 대학 다쿠소쿠(濯足) 문고 소장, 조선전적(朝鮮典籍)과 고소설에 대한 연구 (A Study on Joseon Jeonjeok and Classical Korean Novels Possessed by Dakusoku Bunko at Komazawa University of Japan)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2 최종저작일 2012.09
28P 미리보기
일본 고마자와(駒澤) 대학 다쿠소쿠(濯足) 문고 소장, 조선전적(朝鮮典籍)과 고소설에 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학논집 / 48호 / 299 ~ 326페이지
    · 저자명 : 유춘동

    초록

    이 글은 일본 고마자와(駒澤) 대학 다쿠소쿠(濯足) 문고文庫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전적(朝鮮典籍)을 소개하고, 이 자료들의 수집 과정과 총량總量, 이 중에서 고소설古小說의 성격과 가치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고마자와 대학은 도쿄(東京) 세타가야구(世田谷區)에 있으며, 일본 내에서는 불교 조동종曹洞宗과 선학禪學 연구의 핵심 기관으로 알려져 있다. 이 대학의 중앙도서관에는 여러 개인문고個人文庫가 있는데, 그 중의 하나가 다쿠소쿠(濯足) 문고이다. 이 문고는 언어학자였던 가나자와 쇼사부로(金澤庄三郞, 1872~1967)의 컬렉션으로, 1898년부터 1930년대까지 조선朝鮮에서 수집했던 조선전적이 주를 이룬다. 그가 이처럼 수많은 조선전적을 모은 계기는 언어학적으로 ‘일선동조론日鮮同祖論’를 주장하기 위해서였다.
    그가 수집했던 조선전적을 보면 『훈민정음언해』, 『용비어천가』와 같은 한글 제자원리서製字原理書에서부터, 역사서歷史書, 금석문金石文, 운서韻書, 공구서工具書, 역학서譯學書, 고소설古小說,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에서 발행한 관련 보고서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고마자와 대학에 이처럼 많은 자료가 소장되어 있다는 사실은 국외소재 고문헌 수집 작업과 외국에 소장된 국어사 연구 자료를 소개하면서이다. 그동안 이 자료들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가 최근에 『왜어유해倭語類解』, 『중화정음中華正音』, 『청어노걸대淸語老乞大』와 같은 역학서譯學書 몇 종만이 연구되었다. 다쿠소쿠 문고 컬렉션의 규모와 가치를 생각했을 때, 이곳에 있는 조선전적들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상황이다.
    이 글에서는 다쿠소쿠 문고 컬렉션의 조성 과정을 살펴보고, 실본實本 조사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던 조선전적 152종 624책의 성격과 특징, 그리고 고소설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 경판본 『소대성전』 30장본, 경판본 『조웅전』 27장본, 필사본 『충렬협의전』 10권 20책을 살펴보려 한다. 이 글에서 다루지 못한 자료들은 후속 연구를 통해서 다루기로 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Joseon Jeonjeok(朝鮮典籍) possessed by Dakusoku Bunko(濯足文庫) at Komazawa University(駒澤大學) and to investigate the processes of collecting the materials, their total amount, and the characteristics and value of classic Korean novels among them.
    Komazawa University is located in Setagaya-ku, Tokyo and has been well-known as one of the core institutions for the studies of Buddhist Sōtō Zen(曹洞宗)and Zen Buddhism(禪學) in Japan. There are several private libraries at this university, and one of them is Dakusoku Library. This library consisted of the collections created by the linguist named Kanajawa Shosaburo(金澤庄三郞, 1872~1967) and mainly contained Joseon Jeonjeok collected during the colonial Joseon period from 1898 to the 1930s. The reason for his collecting, such numerous Joseon Jeonjeok, was that he wanted to claim 'Ilseondongjo theory(日鮮同祖論)’ in a linguistic aspect.
    When examining his Joseon Jeonjeok collected, they were varied ranging from the principles of creating Hangeul, such as Hunminjeongeum Eonhae and Yongbieocheonga, to historical books, epigraphs, Unseo, reference books, books on Yi-xue(易學), classic Korean novels, and the relevant reports published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The fact that so many materials have been kept at Komazawa University was known after 'working on collecting ancient writings located abroad' and introducing the research materials for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kept abroad.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n these materials, but there were a few types of research on the translated books, such as Waeŏ yuhae(倭語類解), Zhonghuazhengyin(中華正音), and Qingyulaoqida(淸語老乞大). When considering the scope and value of the collections of ‘Dakusoku Bunko (Library),’ it is urgent to do research on Joseon Jeonjeok kept there.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processes of composing the collections of ‘Dakusoku Bunko’ and the characteristics of 162 types and 624 volumes of Joseon Jeonjeok that could be confirmed through the inspection of their original edition(實本). Furthermore, it was aimed to examine the 30 leaf-edition of Sodaeseongjeon(蘇大成傳) published in Seoul, the 27 leaf-edition of Joungjeon(趙雄傳) published in Seoul, 10 volumes and 20 books of Chungryeolhyeobuijeon(忠烈俠義傳) in transcribed texts that have been considered significant in classic Korean novels. However, further research should be done on the materials that have not been dealt with in this study.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