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쟁기 경북대구 지역 간행 콩소설 -한국전쟁기 정훈문학 연구 3- (A Study on Agitation-Propaganda Literature during the Korean War period 3-Issued on Conte written in GyeongbukㆍDaegu Area)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2 최종저작일 2012.10
37P 미리보기
전쟁기 경북대구 지역 간행 콩소설 -한국전쟁기 정훈문학 연구 3-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의 연구 / 48호 / 215 ~ 251페이지
    · 저자명 : 박태일

    초록

    1950년 전쟁기 세 해에 걸친 한국문학은 앞뒤 시기와 다른 특성을 적지 않게 일궈냈다. 그 가운데 하나가 군을 비롯해 각급 국가 전쟁수행기구에서, 무력을 앞세운 군사전략과 더불어 행한 간접전략인 정훈문학이다. 경북대구 지역은 그러한 정훈문학의 중요 장소였으며, 각별히 콩소설의 발표가 두드러졌던 곳이다. 이 글은 그런 사실을 간추리고, 전쟁기 문학의 외연을 넓히기 위한 목표로 쓰였다.
    콩소설은 꽁트(장편ㆍ엽편)라 부르는 근대 단형 서사를 일컫는 토박이 용어다. 경북대구의 정훈 콩소설은 경상북도 기관지 『도정월보』에 실린 작품과 정비석의 콩소설집 ≪색지풍경≫속의 것이 대표한다. 『도정월보』는 1951년 7월 창간에서부터 1953년 7월까지 14집을 내면서 11편의 콩소설을 실었다. 그들은 본격 정훈소설과 내면소설이라는 서로 맞서는 두 유형을 양 끝으로 삼아 다채로운 세태소설로 그 속을 채웠다. 월남 피란민의 후방 적응 문제, 전시 생활고와 전시 풍속, 공직사회의 인사비리나 내외 갈등과 같은 속살이 그것이다. 『도정공론』 콩소설은 정훈 매체라는 매체 구심성보다는 다양한 작품의 원심적 확산을 보여 준 셈이다.
    1952년에 나온 ≪색지풍경≫의 56편 가운데서 2부 ‘전장점묘’는 제목 그대로 본격 정훈소설 20편으로 이루어졌다. 작품 중심은 13편에 이르는 아방 이야기다. 그들은 전방 국군의 용감한 전투 전력과 투철한 정신 전력을 각인시킨다. 후방 이야기 또한 전방 지원, 후방 보안이라는 책무를 강조한다. 7편에 이르는 적방 이야기는 잔인하고 군기마저 무너졌을 뿐 아니라, 잠재적 투항 가능자인 인민군ㆍ중공군과 후방민을 그린다. 따라서 ‘전장점묘’는 전쟁 승리를 위한 필수 전력과 조건을 갖춘 아방과 그렇지 못한 적방 사이 경계와 대립적 인식으로 한결같다. 대중 매체라는 매체 원심성보다 정훈 주제 구현이라는 구심적 수렴을 보여 준 셈이다.
    전쟁기 경북대구 지역의 정훈 콩소설은 전쟁문학과 지역문학이 하나로 만난 자리다. 전시 의 기동성 있고 압축적인 전황 보고와 세태 인식, 보다 많은 필자 수용과 소형 출판물 시장에 걸맞은 양식이었던 콩소설을 빌려 경북대구 지역문학은 전쟁기 문학의 핵심 장소 가운데 한 곳으로서 역동적인 지역성을 펼쳐 보였다. 앞으로 전쟁기 콩소설의 전모를 밝히는 연구가 바삐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Korean literature during three years at 1950s Korean war period made many characteristics distinct from literature in similar period. One of the literatures is agitation-propaganda literature. Differed from other region, GyeongbukㆍDaegu area wrote and published kong story(conte) remarkably. The purpose of this writing is to summarize and report above fact.
    The kong story is new term originated from modern short narative. Typical examples of agitation-propaganda kong story of GyeongbukㆍDaegu area are 11 novels in Dojeongwolbo(도정월보), that is bulletin of Gyeongbuk and 20 novles of ‘battle sketch’ in Jeong Bi Suk’s Saekgipungkyung(색지풍경). Total 14 collections of Dojeongwolbo, were published form July 1951 to July 1953. Agitation-Propaganda story and the inside story are located at the both ends of kong story and social conditions story is filled up between them. Dojeongwolbo showed centrifugal spread of various literature rather just faithful to centrality as an agitation-propaganda media.
    Jeong Bi Suk’s ‘battle sketch’ in Saekgipungkyung published in 1952 is an example of public discourse war period condensed to kong story. Thirteen volumes of our forces stories are the main contents of it. The stories imprint us with nation’s force of front line that has brave fighting power and tough mental strength. They emphasize security of the rear and support to front line from the rear. Unlike them, cruel and military discipline relaxed North Korean people’s army, the Communist Chinese army and their rear side are shown in 7 volumes of enemy stories. By this oppositive realization between our forces and enemy forces, required military strength and conditions for the victory are clarified.
    Agitation-Propaganda cong story which is unique regionality of GyeongbukㆍDaegu regional literature during war period has both characteristics of War Literature and Regional Literature. The style was very effective to report on the military situation and to recognize social condition with good mobility and compressibility. Based on this style, GyeongbukㆍDaegu regional literature showed dynamism as one of the core of war period litera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학의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