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역사회 공공서비스로써 사회적 처방 디자인의 뮤지엄 프로그램 개발 프로토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Protocol of Museum Programs based on Social Prescribing Design as Public Service for Community)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2 최종저작일 2024.08
12P 미리보기
지역사회 공공서비스로써 사회적 처방 디자인의 뮤지엄 프로그램 개발 프로토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9권 / 5호 / 477 ~ 488페이지
    · 저자명 : 주하나, 김주연

    초록

    (연구 배경 및 목적) 최근 세계는 정신건강 관련 이슈를 정부나 지자체가 적극적으로 다루길 권장하고 있고, 세계보건기구(WHO)는 지역사회 자원 연계형 공공서비스로써 사회적 처방(Social Prescribing) 도입을 권장하고 있다. 점차 공공디자인의 영역이 공공가치 추구로 진화하며 보건 및 복지적 확장을 요하는 이 시기에, 문화체육관광부의 ‘2024 문화로 사회연대 사업’은 국내 사회적 처방 개념의 건강 돌봄 공공서비스 도입 추세임을 나타낸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사회 문화 예술 중심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뮤지엄의 운영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사회적 처방 디자인 방법론을 적용하여 뮤지엄 프로그램 개발 프로토콜을 체계적으로 연구하여 국내 환경에 적합한 건강지원 공공서비스 디자인의 기초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ADDIE 모델의 5단계(분석-설계-개발-수행-평가)를 바탕으로 첫째, 지역사회 공공서비스로서 연구 대상지로 선정된 뮤지엄과 10년간의 프로그램을 조사 및 분석(Analysis)하고, 둘째, 설계(Design) 단계에서 향후 참여자가 될 성인들의 뮤지엄과 공공서비스 관련 인식 및 요구를 파악하고 이를 반영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셋째, 선정된 8개 기관이 제공하는 공공서비스 분석 결과와 설문조사 결과를 참고하여 건강한 사회 지원을 위한 뮤지엄 프로그램을 개발(Development)하였다. 넷째, 개발된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경기도 내 용인의 P 뮤지엄에서 30명의 성인 참여자와 함께 사회적 처방 디자인 뮤지엄 프로그램을 수행(Implementation)하였다. 다섯째, 프로그램 종료 후 참여자의 종합적 만족도 조사와 피드백,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사회적 처방 디자인 프로그램을 다각도로 평가(Evaluation)하였다. (결과) 체계적 절차에 따라 개발된 공공서비스로써 사회적 처방 디자인 프로토콜에 관한 피드백을 받은 결과, 향후 지속적인 서비스 제공이 이어진다면 지역사회 정신건강 돌봄의 역할 가능(86.6%)과 지역사회의 연결과 유대를 도모할 수 있을 것(83.3%)이란 피드백 결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기존 서비스 개선과 시민들의 요구에 적합한 건강지원 공공서비스 디자인 수행의 기초가 될 프로토콜을 제안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론은 첫째, 디자인 기획 단계에서부터 시민들이 요구하는 건강지원형 뮤지엄 프로그램의 공공서비스 도입을 파악하고 적합한 자원을 발굴해야 한다. 둘째, 비임상적 환경인 뮤지엄이 건강하게 심리적, 정서적, 사회적 안녕감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영역과의 협업이 반드시 필요하다. 셋째, 지역사회 공공서비스 프로그램을 질적으로 일관된 운영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프로토콜 운영 체계를 갖추어야 한다. 이를 기반으로 후속 연구에서 사회 실험과 효과성 검증의 근거기반 실증연구로 이어지길 바라며, 실질적인 사회 서비스 제공 기관으로써 뮤지엄의 수행에 본 연구의 프로토콜 체계가 도움이 되길 바란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Contemporary global paradigms advocate for proactive governmental and local authority engagement in addressing mental health-related issues.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recommends the implementation of social prescribing as an integrated community resource-linked public service. As public design evolves towards the pursuit of public value and expands into health and welfare domains, the Korean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s "2024 Social Connectivity by Culture" initiative signifies a pivotal shift towards introducing social prescribing-based public services.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robust foundation for implementing a domestically tailored social prescribing system and health-supporting public service design by developing a systematic protocol centered on museums as community-oriented public service providers. (Method) This study employed the five-stage ADDIE model (Analysis-Design-Development-Implementation-Evaluation). First, the Analysis phase investigated and examined a selected museum and its decade-long programs as community public services. Second, the Design phase conducted surveys to ascertain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potential adult participants regarding museums and public services. Third, the Development phase created museum programs supporting societal health, based on analyses of public services provided by eight selected institutions and survey results. Fourth, the Implementation phase executed a social prescribing design museum program with 30 adult participants at P Museum in Yongin, Gyeonggi-do, utilizing the developed program. Finally, the Evaluation phase comprehensively assessed the social prescribing design program through multifaceted methods, including participants' overall satisfaction surveys, feedback, and expert interviews. This systematic approach ensured a thorough exploration of the potential for museums to serve as effective providers of health-supporting public services within the community context. (Results) Feedback on the systematically developed social prescription design protocol revealed its significant potential to contribute to community mental health care (86.6%) and foster community connections (83.3%) if provided continuously. Consequently, this protocol is expected to serve as a foundational framework for implementing supportive public health service designs that enhance existing services to meet citizens' needs appropriately and effectively. (Conclusion) This study concludes that museums must proactively identify and incorporate health-supporting public services from the initial planning stage, collaborate with multidisciplinary specialists to promote holistic well-being in nonclinical settings, and establish a systematic, evidence-based protocol for sustainable and high-quality community programs. We anticipate that future research will empirically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is innovative approach, and that this comprehensive protocol will aid museums in delivering impactful and transformative community social services, thereby contributing significantly to the broader fields of public health, social welfare, and community well-be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