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어느 귀환여성의 식민지 조선 회고 ‒『월간동화(月刊同和)』의 미즈이 레이코(水井れい子)를 중심으로‒ (A Repatriated Woman’s Recollections of Colonial Chosun -Focusing on Reiko Mizui of Monthly Dongwa-)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2 최종저작일 2024.05
16P 미리보기
어느 귀환여성의 식민지 조선 회고 ‒『월간동화(月刊同和)』의 미즈이 레이코(水井れい子)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본근대학회
    · 수록지 정보 : 일본근대학연구 / 84호 / 51 ~ 66페이지
    · 저자명 : 송혜경

    초록

    본 연구는 식민지 조선에서 활동한 일본인 여성을 발굴하여 그녀의 전전과 전후를 패전으로 인한 단절이 아니라, 하나의 연속성 속에서 파악하려는 시도이다. 귀환 후 자신이 살았던 지역에 대한 역사관이나 국가관이 전전의 그곳에서의 경험이나 인식과 무관하게 전개되지 않기 때문이다.
    총독부 관료 출신자를 중심으로 하는 귀환단체 동화협회(1947설립)의 기관지 『월간동화』에는 여성으로서는 드물게 많은 지면을 할애하여 미즈이 레이(코)를 필명으로 하는 수필형식의 글이 연재(1953.11.1.∼1955.6.1.)된다. 필명 미즈이 레이는 미즈이 레이코와 동일인물로, 조선에서 활발하게 활동했던 일본인 영화 전문기자였다. 그녀는 조선에서 상영하는 영화의 평을 집필하거나 조선 영화계의 상황을 식민지 조선 내의 일본어 매체뿐 아니라 만주나 식민지 본국 일본에 발신하는 역할을 했다. 또한 총독부령으로서 발포한 조선측 영화관에서의 일본영화 강제상영에 적극 찬동하여 영화를 통한 내선일체의 실현에 만족을 표하기도 했다.
    전후가 되어 미즈이 레이코는 한국전쟁 발발을 계기로 조선인, 지역, 조선의 생활을 상기한다. 그녀는 피식민자가 모국어의 단절이나 민족적 차별에 의한 고통이 있었을 것이라는 것은 인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동감의 형태로 나아가지는 않는다. 단지 식민지 조선을 회고하여 평화롭고 좋았던 시절로 인식할 뿐이다. 여기에 식민지 정책이나 피식민자에 대한 시선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땐 좋았지’, ‘그리운’ 경성 등 식민자로서 우월한 위치에서 누렸던 것을 좋았던 시절로 회고하는 귀환자의 인식을 보여주고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n attempt to discover a Japanese woman who worked in colonial Chosun and understand her pre-war and post-war periods in one continuity. This is because the history view or national view of the area where she lives after returning did not develop regardless of her experience or perception.
    In Monthly Dongwa (1947.11.30.~1968.2.28.) published by the Donghwa Association (established in 1947), a series of essay-style articles under the pen name Mizui Rei (Ko) were devoted to a large amount of space, which is unusual for a woman.
    The pen name Rei Mizui is the same person as Reiko Mizui, a Japanese film journalist who was active in Chosun. She wrote reviews of films shown in Chosun or relayed the situation of the Chosun film industry to Manchuria and Japan. In addition, she also actively supported the forced screening of Japanese films in Colonial Chosun movie theaters and expressed satisfaction with Japan-Chosun Integraion through movies.
    After repatriation, Reiko Mizui recalls the Chosun’s people, region, and life in Chosun, taking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as an opportunity. She was aware that the Chosun people had suffered from the language eradication policy or ethnic discrimination. However, she does not agree with the colonized people situation. She simply looks back on colonial Chosun and recognizes it as a peaceful and good time. There is no understanding on colonial policy or on the colonized period. She shows the perception of a repatriated woman who looks back on the ‘nostalgic’ days of Gyeongseong, the ‘good times’ she enjoyed as a coloni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본근대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