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세라 코클리(Sarah Coakley)의 삼위일체론 (Sarah Coakley’s Doctrine of the Trinit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2 최종저작일 2013.03
27P 미리보기
세라 코클리(Sarah Coakley)의 삼위일체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장신논단 / 45권 / 1호 / 119 ~ 145페이지
    · 저자명 : 최유진

    초록

    삼위일체론이 하나님에 대한 남성적 이미지를 강화시키고, 위계질서적 관계를 용인하는데 이용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여성신학에서 삼위일체에 관심을 기울이는 이유 중 하나는 삼위일체론이 서구 사상계를 오랫동안 지배해왔던일자의 철학(philosophy of the One)을 극복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포스트모던 학자들은 서구 사상의 역사가 일자를 뒷받침하기 위해 타자를억압하는 배제의 역사였다고 비판한다. 타자는 에고(자아)를 나이게 만들기 위해 기능할 뿐이지 그 주체성을 허락받지 못했다. 자아-타자의 이항대립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세 번째의 존재가 필요하다. 이런 의미에서 삼위일체론은 진정한타자의 차이를 인정할 수 있게 한다.
    본고는 이런 맥락에서 포스트모던적 여성신학적 삼위일체 이해를 제안하는세라 코클리의 삼위일체론을 소개한다. 그녀는 영국 국교회 사제이며, 켐브리지 대학의 조직신학과 교수이다. 그녀의 컨텍스트는 포스트 모던과 기독교 후기(post-Christendom)의 징후를 겪고 있는 서구이다. 근대의 남성 중심적 담론 속에서 억압되었던 여성과 영성, 성애라는 주제를 삼위일체론을 회복시킴으로써연결시키고자 한다. 본고에서는 그녀의 삼위일체론 연구를 위해 그녀가 사용한방법론들과 그녀가 사용한 신학자료를 분석한다. 그녀는 에른스트 트뢸취의 역사적 방법론을 사용하여 초기 기독교인들의 삼위에 대한 독특한 경험을 추적한다. 또한 그녀는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의 영향으로 일자의 철학을 극복할 수 있는 성차의 윤리학을 배운다. 이런 맥락에서 종교경험과 전근대의 저작들, 특히그레고리 닛사의 저서들을 분석한다. 본고는 그녀의 삼위일체론 모델인 “결합적 모델”을 소개하고 결합적 모델이 갖는 신학적 함의를 연구한 후, 이 모델이여성, 특히 한국 교회 여성에게 힘과 생명을 전해줄 수 있는지를 비판적으로 평가할 것이다.

    영어초록

    Despite the fact that the doctrine of the Trinity has long been used to reinforce the male image of God and to sanction the hierarchy of relation, feminist theologians pay close attention to the doctrine because it challenges and gives a clue as to how we might overcome the philosophy of the One which has dominated Western thought. Postmodern philosophers and theologians critique Western history of thought which excludes the Other in order to back or reinforce the One. The Other is granted as being Ego-but-not-me but it is not allowed its subjectivity. To overcome the binary pattern as the One The Other, a Third One is called. In this respect, in the Trinity, genuine differences are recognized.
    This paper engages Sarah Coakley’s doctrine of the Trinity in order to suggest a postmodern feminist Trinitarian theology. Sarah Coakley, the Norris-Hulse Professor of Divinity at the University of Cambridge and an Anglican priest, is an influential feminist scholar in the Euro-North American academic world. She relates the Trinity to spirituality and sexuality.
    The Western church which suffers from Postmodern and post-Christendom is her context.
    This paper investigates her theological methodologies in order to understand her doctrine of the Trinity. Ernst Troeltsch’s historical approach is influential on Coakley in that she traces our experience of the three Persons respectively. She also uses postmodern feminist theories, which challenge the philosophy of the One. These lead her to describe an ‘incorporative model of the Trinity.’ Lastly this paper evaluates her model and critically considers if it can be applicable for Korean church wom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