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엡스타인(N. Epstein)과 바우컴(D. H. Baucom)의 부부상담 모델과 기독교 통찰인지의 적용을 위한 논의 (A Discussion for the Application of Christian Meta-Cognitions in the Epstein and Baucom’s Couple Counseling Model)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2 최종저작일 2016.02
24P 미리보기
엡스타인(N. Epstein)과 바우컴(D. H. Baucom)의 부부상담 모델과 기독교 통찰인지의 적용을 위한 논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천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신학과 실천 / 48호 / 147 ~ 170페이지
    · 저자명 : 김규식

    초록

    인지-행동적 부부상담 모델은 긍정적 부부 상호작용을 증가시키기 위해 부부들에게 의사소통 기술, 문제해결 기술과 같은 행동기술을 가르치고, 부부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역기능적인 인지의 재구조화를 통해 부부관계를 기능적으로 변화시키려고 한다. 그러나 엡스타인(Epstein. N)과 바우컴(Donald. H. Baucom)의 인지-행동적 모델은 행동과 인지의 중재 외에도 개인과 부부관계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과 맥락(개인의 성격과 동기, 미해결과제, 개인의 정신적 문제, 부부사이의 폭력, 약물이나 중독의 문제, 개인과 가족의 결여된 부분)의 요소를 고려하고, 부부가 속한 환경이 제공할 수 있는 강점을 극대화시켜 결혼만족도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엡스타인과 바우컴의 모델은 루터와 칼뱅으로 대표되는 개혁주의 신학을 통찰인지로 통합시켰을 때 더욱 강력한 상담도구로 교회에서 활용될 수 있다.
    개혁주의 결혼신학에서도 엡스타인과 바우컴의 모델처럼 부부관계에 대한 결혼만족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중요한 것으로 보고 있지만, 일차적으로는 가정 속에 한 여성(남성)의 배우자 됨이 하나님께서 자신에게 주신 소명임을 깨닫게 하여 상대 배우자를 섬기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배우자로서 소명을 인식하게 되면 섬기는 자로서 배우자의 허물을 수용할 수 있는 변화가 일어나게 되어 결혼만족도와 결혼 안정성은 향상될 수 있다.
    엡스타인과 바우컴의 모델에서 부부상담의 핵심매개는 전문적으로 훈련받은 상담자와 부부 간의 친밀관계 형성에 있었다. 그러나 개혁주의 신학의 관점에서는 부부문제의 해결과 치료는 교회공동체와의 유기적 관계 안에서 이루어진다. 부부상담은 상담목표가 달성되면 종결을 통해 상담자와의 관계가 끝나지만 결혼은 교회의 믿음 공동체와의 언약과 연합이기 때문에, 교회는 결혼의 형성, 유지, 해체, 자녀양육 등의 결혼생활 전반에 대해 부부들이 이 땅위의 삶을 사는 동안 상담활동을 통해 돌보는 직무가 있다. 그리고 부부들이 ‘자녀를 훈육하고 다스리는 직무,’ ‘배우자 신앙성장을 위한 조력의 직무,’ ‘축복된 결혼생활의 모델링의 직무’를 감당할 수 있도록 교회는 지속적으로 부부를 돌보고 양육해야 하는 직무가 있다.

    영어초록

    As an effort to increase experiences in positive husband‐wife interactions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spouse, the conventional cognitive‐behavioral couple counseling model attempted to change marital relationship functionally by teaching behavioral skills such as communication skill, problem solving skill, and anger management skill, and reframing dysfunctional cognitions influencing marital relationship. However, the new model of Epstein N. and Baucom D. H. aims to improve marital satisfaction by maximizing benefits provided by the environment to which the couple belongs in consideration of the environment and context surrounding the individuals and the couple (the individuals’ character and motives, unsolved tasks, the individuals’ mental problems, violence in the couple, drug or intoxication problems, defects in the individuals and family, etc.) in addition to the factors of the conventional cognitive‐behavioral model.
    Like Epstein and Baucom’s model, the reformed theology of marriage also regards it important to improve satisfaction with marital relationship, but it believes that marital satisfaction is enhanced secondarily when a married couple realizes that it is a vocation given by God to be the spouse of a woman (man), to serve the spouse, and to carry out the tasks of ‘mutual growth of faith,’ ‘child rearing,’ and ‘blessed modeling of marital life.’ In Epstein and Baucom’s model, the key medium of couple therapy was in the formation of an intimate relationship between a trained professional therapist and the couple. From the viewpoint of reformed theology, however, the solution and treatment of marital problems are achieved within an organic relationship with the church community. In couple therapy, the relationship with the therapist terminates with the attainment of the goals of counseling, but marriage is a covenant and unity with the church as a community of faith, and for this reason, counseling activities by the church community are continued throughout the lifetime for every aspect of marital life including the formation, maintenance, and dissolution of marriage, and child parenting. What is more, although marriage is nothing to do with salvation, the church should counsel married couples with taking interest in their spiritual growth so that they may be sanctified through their marital liv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과 실천”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