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문화상호주의 <햄릿> 공연의 세 가지 방식에 관한 연구 -초문화, 혼합문화, 글로컬문화 소통 방식의 미학과 문제점- (A Study on the Three Types of Korean Intercultural Productions of Hamlet -The Theatrical aesthetics and challenges in the transcultural, the syncretic, and the glocal exchanges-)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2 최종저작일 2009.06
34P 미리보기
한국 문화상호주의 &lt;햄릿&gt; 공연의 세 가지 방식에 관한 연구 -초문화, 혼합문화, 글로컬문화 소통 방식의 미학과 문제점-
  • 이 자료를 선택해야 하는 이유
    이 내용은 AI를 통해 자동 생성된 정보로, 참고용으로만 활용해 주세요.
    • 논리성
    • 전문성
    • 구성
    • 유사도 지수
      참고용 안전
    • 🌍 문화상호주의와 셰익스피어 공연의 복합적 관계를 심층 분석
    • 🎭 한국 연극의 포스트콜로니얼 담론 탐구
    • 🔍 세 가지 <햄릿> 공연의 문화적 소통 방식 비교 연구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드라마학회
    · 수록지 정보 : 드라마 연구 / 30호 / 319 ~ 352페이지
    · 저자명 : 최영주

    초록

    세계화와 관련된 연극 및 문화 현상이 일부 우월한 서구국가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고, 서구 제국주의 기획을 은폐되고 있다면, 이 맥락에서 우리가 대안으로 관망할 수 있는 것은 문화상호주의가 품고 있는 의도와 이상 그리고 실천 사례이다. 이 맥락에서 문화상호주의와 한국의 셰익스피어 공연을 관련지어 거론하는 것은 셰익스피어 공연이 보편성을 지녔으며, 동시에 국제적인 아방가르드들의 실험을 위해, 문화 교류를 위해, 전세계적 문화 상품화를 위해, 포스트콜로니얼 비판 등을 위해 중요한 가능성을 지닌 것으로 증명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의 경우, 셰익스피어 연극은 안민수 외 70년대와 이후 시대의 연출가들의 실험을 위해 선택되었고, 그들의 해외 나들이에 동행하며, 포스트콜로니얼리즘, 포스트모더니즘, 페미니즘 등의 다양한 담론을 생산해낸 중요한 진원지였다. 본고는 ‘노뜰’의 <동방의 햄릿>, ‘연희단거리패’의 <햄릿>, 국립극단의 <테러리스트 햄릿>를 택해 이상의 논점을 제기하였다. 그리고 세 공연의 소통방식이 각기 90년대 문화상호주의 연극의 주요 담론인 ‘초문화’, ‘혼합주의’, ‘글로컬문화’ 등의 관점을 담지하고 있다는 사실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한국 연극에서 연극을 통한 문화 소통의 가능성과 한계를 점검하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With the start of the new millenium, the globalization began to penetrate into individual's everyday life shrinking the traditional distance between the countries. Accordingly, the cultures cross the borders and interact with each other. 'To be less local', as Marvin Carlson insisted, was the burning issue for the theatrical theorists as well as theatre practitioners at present. Nonetheless, it can't be denied that the theatrical communication between the borders was actually an unequal exchange and power relationship. In early intercultural practices, the western theatrical artists appropriated and de-historicized the oriental culture for their stylistic mise-en-scenes in stead of for their cultural essence. Therefore, it became imperative for the Korean theatre artists to approach th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using their own initiatives. Here, Shakespearean plays have proved themselves as a prominent vehicle for this purpose in Korean theatre as well as in other global cultures.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and the challenge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 will examine Theatre Nottle's Hamlet from the East, Yeonhuidan Gureepae's(Street Theatre Troupe) Hamlet, and National Theatre Company's Terrorist Hamlet to analyze three typical aspects of intercultural exchange like as trancultural, syncretic, and glocal cultural communication. I have chosen these three productions because they have already proved their possibilities because they sufficiently demonstrate the possibilities of successful intercultural exchanges. Nonetheless, the productions also revealed the crucial barriers that exist. Hamlet from the East should have ensured the authenticity when appropriating and hybridizing the western cultural image into an artifact. Yeonhuidan Gureepae's Hamlet should have secured interpretational consistency and probabilities in order to have avoided the danger of simple bricolage, and while National Theatre Company's Terrorist Hamlet turned out to be as a authentic cultural communication, it was still doubtful whether cultural communication was exchanged equally.
    As a result, this paper could reach a conclusion that theatrical communication should be more specific and based on the universal human condition. Also, cultural exchanges should embrace the present cultural issues as well as various critical discourses. When producing a intercultural theatrical production, theatrical practitioners and theorists should fully explore the above ideas, rather than navigating them superficially. Above all,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n theatrical productions should take place for the following reasons: experimental encounters, curiosity, and to reach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other cul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드라마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