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글로컬 시대의 아트프로젝트와 예술작품의 의미- 한국과 일본의 지역예술을 중심으로 (Art project and the meaning of artworks in the age of glocalization : Focusing on the local art of Korea and Japan)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2 최종저작일 2013.10
33P 미리보기
글로컬 시대의 아트프로젝트와 예술작품의 의미- 한국과 일본의 지역예술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학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미학예술학연구 / 39권 / 151 ~ 183페이지
    · 저자명 : 신나경

    초록

    오늘날 아트프로젝트는 현대미술의 다양한 표현수단이 생생하게 표현될 수 있다는 점과, 현대예술의 특색인 ‘관계의 미학’을 실현할 수 있는 장(場)이라는 점으로 인해 매우 매력적인 예술의 분야로 자리 잡고 있다. 이 논문은 오늘날 현대예술의 특색인 ‘관계의 미학’을 실현할 수 있는 장(場)으로서 지역 사회에서 활발하게 전개되는 지역 재생형 아트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현대예술의 의미변화를 고찰한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특히 한국과 일본의 지역재생형 아트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대표적인 사례를 고찰하였는데, 그 종류는 대략 1. 다양한 사람이 참가하여 같이 제작하는 작품형태인 ‘참가형’ 2. 작품이나 조각 등 감상을 목적으로 하는 작품형태인 ‘전시형’ 3. 다양한 사람이 함께 만드는 프로세스를 내포하는 ‘커뮤니케이션’의 형태 그리고 4. 아티스트가 시스템을 설계하고, 다른 사람이 운영해가는 작품형태인 ‘시스템형’으로 대별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아트프로젝트의 대표적인 유형별 사례를 중심으로 고찰한 예술의 의미 변화는 대강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근대적 예술이 그것의 유일한 형식으로 차별성을 강조한데 비하여, 아트프로젝트는 그런 ‘차별’과 ‘불화’를 ‘회수’할 수 있는 가능성으로 작용한다는 점이다. 즉 기존의 예술이 미술관을 통하여 ‘집단의 미’를 강조해 왔다고 한다면, 지역형 아트프로젝트는 지역민과 이방인이 협업하는 체제를 통해, 오히려 각각의 지역이 가진 문화적 특징과 정체성을 서로 이해하게 된다. 그러므로 예술이 사람들 사이에 반드시 존재할 수 있는 ‘차별’과 ‘불화’를 ‘회수’할 수 있는 가능성으로 작용하게 되었다는 점이다.
    둘째, ‘유용성’의 미학이다. 공공미술과 같은 아트프로젝트는 특히 지역민의 이익이나 유용성과 깊이 관련된다. 이러한 점은 모더니즘 이래 유용성이 부가적인 것으로 인식되어 장식미술, 응용미술에만 관계하는 것으로 폄하되어 왔다는 사실을 상기한다면 특히 지역형 아트프로젝트에 두드러지는 특징이라 할 것이다.
    셋째, 기존의 예술이 미술관과 더불어 글로벌화와 중심화의 도구로서 기능한 것에 비하여, 지역형 아트프로젝트에서 나타나는 예술은 기존의 사회제도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고 기존의 사회제도를 해체해 나가는 전략으로 기능한다. 그리하여 글로컬 시대의 문화를 이끌어가는 탈중심의 전략으로 기능하게 되었다는 점이다. 즉, 이제 예술의 발신지는 굳이 파리나 뉴욕이 아니라, 일본의 한 촌락이나 도심과 떨어진 지역의 대학이 되기도 하고, 한국의 조그만 시의 시민공동체가 될 수도 있는 것이다.
    넷째, 모더니즘 미술은 형식주의 미학을 표방하면서 주로 결과된 작품을 감상하는 미적 체험이었던 것에 반하여, 예술가와 비전문가가 협업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아트프로젝트에서는, 미적 체험이 주로 프로세스형 체험으로 변모했다는 사실이다. 아트프로젝트에서는 이러한 프로세스형의 미적 체험에서야말로, 예술을 통하여 지역이 ‘일상을 재발견의 장(場)’으로 기능할 수 있음을 지시한다.
    마지막으로, 아트프로젝트는 기존의 아트를 둘러싼 장과 비교해 볼 때, ‘예술계’ 이외의 사람들과의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는 점이다. 이것은 단지 예술계 이외의 사람과의 접촉뿐 아니라 다른 곳으로부터의 이동해 온 사람을 포함한 지역 내․외부의 사람들이 문화 생산의 실천에 함께 종사한다는 점에서 역사적․정치적․도덕적인 관계성이 복잡하게 얽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의미의 변화를 통하여 볼 때, 이제 아트프로젝트는 근대예술이 우리에게 가져다주지 못했던 친근감과 유용함으로 대중에게 성큼 다가섰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한편으로 아트프로젝트는 어디까지나 사람들과 사람들이 접촉하는 관계적 성격을 띠므로 비대칭적인 권력적 관계나 정치성이 예술이나 표현의 문제를 저해할 우려도 있다. 그러므로 항상 사람들의 관계에 내재되어 있는 비대칭적인 권력 관계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잘 인식하지 못한다면, 협업하는 이방인의 눈에 의해 의한 지역 변용으로 연결될 수 있다는 점은 앞으로의 아트프로젝트 관계자들이 주의해야할 점이라고 생각된다.

    영어초록

    Today, art project has become a very attractive genre of art by its advantages such as it could express various expression methods of contemporary art very vividly, and it is a genre that could realize ‘aesthetics of relationship’ which is distinct characteristic of contemporary ar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changes of meaning of art by looking into the meaning of regional revitalization art project which actively being developed in community as a genre that could realize ‘aesthetics of relationship’ which is distinct characteristic of contemporary art.
    Types of art project which being studied in this paper could be divided into four roughly; 1. ‘Participation type’ which various kinds of people participate in production. 2. ‘Exhibition type’ which has its purpose on appreciating the art works. 3. ‘Communication type’ that involves the process that various kinds of people making it together. 4. ‘System type’ that artist design the system and other person operates.
    In other words, if existing art have emphasized on ‘Beauty of the group’ through the art gallery, then regional art project rather understands mutual cultural characteristic and identity that each region has with collaboration system between local residence and stranger. Therefore, art began to act as possibility to collect ‘difference’ and ‘disharmony’ that always exist among the people.
    Second, it is aesthetics of ‘usefulness’. Art project like public art is deeply related with benefit of local residents and usefulness especially. It the fact usefulness has been recognized as additional one and devalued as it only applied in decorative art and applied arts since the modernism could be recalled, it could be said that it is a characteristic particularly found especially in regional art project.
    Third, compare to the fact that existing art was functioned as a tool of globalization and centralization along with art gallery, the art shown in regional art project functions as making objection to existing social system and dismantling existing social system, and therefore it became to function as decentralization strategy that leads global era culture. That is, now the epicenter of art could be one village in Japan, university away from the city, or civic community of small city of Korea rather than Paris or New York.
    Fourth, while modernism art was aesthetic experience that claimed to support aesthetic of formalism and mainly just appreciate the complete piece of art, in the art project that forms as collaboration type between artist and non-professionals, aesthetic experience has changed into mainly the process type experience. Art project instructs that only in this process type of aesthetic experience, region can function as place to rediscover everyday life through the art.
    Finally, compare to existing places surrounding existing art, art project has close relationship with the people outside of ‘art world’. In a sense that not only the contact with people outside of art world, but also the fact the people in and outside of region including the people moved to the place participate in practice of cultural production, it has complicated relationship in historical, political, and ethical matter.
    From these change of meaning above, now the art project is considered that it approached to public with sense of closeness and usefulness which modern art could not bring to us. However, since art project still has relational characteristic that involves contact among people, it has risk that asymmetric power or political nature to impede problem of art or expression. Therefore, if recognition and attitude towards asymmetrical power relation that always exist in people relationship cannot be well recognized, then it is considered that the fact it could be connected as change of region by eyes of stranger is the matter that people concerned should be aware of.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학예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