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글로컬화 관점에서의 라이선스 패션잡지의 상호텍스트성 분석 - 한국⋅미국 「보그」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the Intertextuality of a Licensed Fashion Magazine from the Glocalization Viewpoint - Focusing on the 「VOGUE」 of Korea and the USA)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2 최종저작일 2016.09
13P 미리보기
글로컬화 관점에서의 라이선스 패션잡지의 상호텍스트성 분석 - 한국⋅미국 「보그」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22권 / 3호 / 447 ~ 459페이지
    · 저자명 : 정경희, 이미숙

    초록

    패션잡지는 글로벌한 패션 트렌드를 주도해 가는역할을 담당함과 동시에, 각국의 독특한 패션 문화적특성을 담아내 왔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글로컬화의 관점에서 국내⋅외의 패션잡지의 콘텐츠 및 텍스트 분석을 통해 문화적인 관점에서 동일한 사례를 바라보는 각 나라의 라이선스 패션잡지의 특징과 글로벌, 로컬 문화요소 간의 상호작용이 궁극적으로 잡지콘텐츠에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데 있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을 통해, 패션과 패션잡지 산업의국제화 관련 전략 수립에 필요한 기초 자료와 관련학문의 연구토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으로 먼저,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글로컬 미디어로서 라이선스패션잡지에 대해 살펴본 다음, 실증적 연구로써 2015년에 발간된 한⋅미 라이선스 패션잡지 「VOGUE」의 목차에 나타난 패션기사의 헤드라인에 대한 내용분석과상호텍스트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라이선스 패션잡지의 기사를 분석한 결과 「VOGUE KOREA」의 경우, Beauty & Health, Item, Style 관련 기사가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반면, 「VOGUE US」는 Style, Beauty & Health, People, Item, Brand 기사가 유사한 빈도를 보이면서 많이 나타났다. 그리고 과월호에 따른 콘텐츠에 있어서도 미국은 매 과월호에서 변화 있게 콘텐츠가 구성되고 있었다. 둘째, 라이선스 패션잡지 기사의헤드라인에 나타난 어휘를 분석한 결과, Style 관련기사에서 한국은 패션 소재를 나타내는 어휘와 패션이미지를 표현하는 어휘가 많이 활용되었고 이와 관련된 어휘로 구체적인 패션 아이템 어휘들이 헤드라인에 직접적으로 사용된 반면, 미국은 계절과 관련된어휘와 패션 아이템, 패션 소재와 관련된 어휘가 패션기사의 헤드라인에 많이 활용되었고, 이와 관련된 패션 문화적으로 의미가 있었던 대중작품의 명칭이나배역의 이름 등이 직접 사용되는 경우도 많은 것으로나타났다. Item 관련 헤드라인에서는 드레스 어휘가슬립, 보헤미안 등의 어휘와 함께 공통적으로 활용되었지만 그 외의 어휘에서는 한국의 경우, 구체적인 패션 아이템 어휘가 활용된 반면, 미국은 스타일을 설명하는 패션 이미지 어휘가 위주로 사용되었다. 그리고Beauty & Health 관련 기사에서는 뷰티와 메이크업, 향수 등의 어휘가 공통적으로 많이 나타났고, 그 외의어휘에서는 한국의 경우, 피부, 네일, 미국은 헤어, 피트니스, 립 어휘가 많이 나타나 차이가 있음을 알 수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으로는 라이선스 패션잡지는 차별화된 콘텐츠로 잡지를 구성하고 있으며, 기사의 헤드라인에 있어서도 한국은 스타일이나 아이템의 구체적인 특징을 표현하는 어휘를 사용하는 반면, 미국은 스타일이나 아이템의 명칭뿐만 아니라 영화⋅드라마 등 대중문화와 관련된 어휘가 사용되는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초록

    Overseas licensing fashion magazines have been responsible for the important role of leading global fashion trends while at the same time expressing a characteristic closeness to the culture and lifestyle of each coun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and texts of fashion magazines at home and abroad in the aspect of glocalization and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how license fashion magazines in each country view the same case from a cultural point of view and how interaction between global and local cultural elements appears in magazine contents. This analysis will provide basic information necessary to establish the internationalization strategies of the fashion and fashion magazine industry and the foundation to study related disciplines. The study methodology was the review of previous studies to examine a licensed fashion magazine as the glocal media and the empirical study to analyze the substance and intertextuality of fashion news headlines in the contents of 「VOGUE」, a licensed fashion magazine published in 2015 in Korea and the USA.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news of the licensed fashion magazine were collected. In 「VOGUE KOREA」, beauty & health, item, and style news accounted for more than 70%. On the other hand, 「VOGUE US」 showed similar frequency in style, beauty & health, people, item, and brand news. In the contents of past issues, 「VOGUE US」 differently organized contents in every issue. Second, the vocabulary of headline news in the licensed fashion magazine was analyzed. In style news, 「VOGUE KOREA」 frequently used fashion material and fashion image vocabulary. And in related vocabulary, specific fashion item vocabularies were directly used in the headlines. On the other hand, 「VOGUE US」 frequently applied season-related vocabulary and fashion item and material vocabulary to the fashion news headlines. In many cases, related names of popular works, or cast names which are meaningful in fashion and culture were directly used. In item-related headline news, dress, slip, and Bohemian were commonly used.
    「VOGUE KOREA」 frequently used fashion item vocabularies. But, in 「VOGUE US」, fashion image vocabularies were used to explain the style. In beauty & health news, beauty, make-up, perfume, fragrance, and scent were commonly used, while skin and nail were commonly used in Korea. Hair, fitness, and lip were frequently used in the USA, suggesting a great difference. In conclusion, licensed fashion magazines had distinctive contents. In Korea, vocabulary which expresses detailed characteristics of style or items was commonly used. On the other hand, in the USA, the name of style or items and popular culture-related vocabulary including movie or drama were frequently us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