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해외 로케이션 영화의 글로컬 알레고리, 1980∼1987 (Filmming Abroad and Its Glocal Allegories, 1980∼1987)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2 최종저작일 2016.09
32P 미리보기
해외 로케이션 영화의 글로컬 알레고리, 1980∼1987
  • 이 자료를 선택해야 하는 이유
    이 내용은 AI를 통해 자동 생성된 정보로, 참고용으로만 활용해 주세요.
    • 논리성
    • 전문성
    • 독창성
    • 유사도 지수
      참고용 안전
    • 🌍 1980년대 한국 영화의 해외 로케이션 영화에 대한 심층적인 학술적 분석 제공
    • 🎬 이민자와 정체성 문제를 영화 연구를 통해 독창적으로 접근
    • 🔍 글로컬 알레고리라는 새로운 영화 분석 관점 제시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통일인문학 / 67권 / 203 ~ 234페이지
    · 저자명 : 정찬철, 정태수

    초록

    본 연구는 1980~1987년 사이에 유행처럼 제작되었던 ‘해외 로케이션 영화’를 들여다본다. 이 시기 동안 제작된 해외 로케이션 영화 속의 이국적 도시공간은 이전과 달리 단지 배경으로만 존재하기보다는 직접적으로 로컬의 정체성, 역사적 그리고 정치적 서사와 결속되었다. 로컬의 서사는 이민자, 혼혈아의 자기 정체성과 같이 80년대 한국사회가 직면하고 있었던 역사적이고 정치적 양상을 지닌 공동체적 경험이었다. 특히 이민자의 서사를 다루었던 <상한 갈대>(유현목, 1984)와 <깊고 푸른 밤>(배창호, 1985)은 한국인 이민자의 민족적 그리고 인종적 정체성 혼돈의 기호와 징후 사이에서 한국과 미국의 식민지적 관계, 즉 지배와 피지배의 이분법적 관계를 드러내는 데만 머물지 않고, 자신의 민족적 정체성과 길항하는 이민자 개인을 통해서 민족이라는 튼튼하고 균일한 질서에 균열을 일으킨다. 또한 이 시기 해외 로케이션 영화는 외화쿼터획득을 목적으로 한 ‘졸속영화’의 제작과 에로영화로 물든 1980년대 한국영화 산업의 질적 부흥을 위한 영화적 ‘기획’이었다. 게다가 대부분 해외 로케이션 영화는 일반 영화의 3, 4배의 예산이 투자되었던 ‘대작’ 영화였다. 따라서 해외 로케이션 영화 속의 해외 도시공간은 무엇보다도 한국관객의 시각을 충족시킬 수 있는 명승지와 화려한 풍경과 같은 이국적 볼거리이어야 했다. 제작사는 이국적 도시 이미지를 통해 졸속영화의 제작과 에로영화의 범람으로 인해 줄어든 영화관객을 되찾고 싶었던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첫째, 이 시기 해외 로케이션 영화에 등장하는 글로벌 도시공간은 제작사의 상업적 목적 속에서 전략적으로 선택된 공간이다. 둘째, 이 시기 해외 로케이션 영화의 글로벌 도시공간은 ‘글로컬 Glocal’ 공간이다. 왜냐하면 한국인 이민자의 자기 정체성과 떠나온 민족 사이의 갈등이 표출됨으로써, 글로벌 도시공간은 ‘글로컬’ 이라는 혼성적 공간으로 변화되기 때문이다. 특히, 글로컬 도시공간은 민족 서사로 봉합되는 전체 서사 내부에서 균열적인 탈민족 서사로 재독(Re-reading)할 수 있는 지배적 기호로 작동한다는 점에서 글로컬 알레고리가 된다.

    영어초록

    During the period from 1980 to 1987, Korean film industry was in crisis. The industry lost touch with the public as it made what the 5th Republic wanted movies that ideologically helped the regime’s political and cultural projects to settle down its authority. For this aim, the Regime’s tool was its annual film rule that film production had to follow and reflected in order to get any ticket to import foreign movies by which they survived. In such political and cultural conditions, a strategy of filmming abroad emerged among leading film productions to meet the Regime’s film politcy and also their attempt to get back the lost public by making good films. It was successfully as it became a boom. What was interesting was that international location movies brought in a new space into Korean cinema, foreign urban spaces that related with the local, Korean’s collective memories such as the Korean War, immigration into America. What more interesting was that such local narratives in global urban spaces revealed that the Regime want to reshape such images of Koreans in global spaces into nationalist ones. This paper claims that international location moves of this period were the symbolic representation of the Regime’s political and cultural project to strengthen the Korean nationalism.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통일인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