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민요의 시대적 컨텍스트 변모에 따른 소리꾼의 변모 양상과 그 문제점: 전북민요의 경우 (A Study of Transformed Aspects and The Problem of SoRiKun(folk singer) According to The Periodical Context of Korean Folksong: Focusing on Jellabukdo Province)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2 최종저작일 2014.02
29P 미리보기
한국 민요의 시대적 컨텍스트 변모에 따른 소리꾼의 변모 양상과 그 문제점: 전북민요의 경우
  • 이 자료를 선택해야 하는 이유
    이 내용은 AI를 통해 자동 생성된 정보로, 참고용으로만 활용해 주세요.
    • 논리성
    • 전문성
    • 독창성
    • 유사도 지수
      참고용 안전
    • 🎵 한국 민요의 시대적 변화와 소리꾼의 진화 과정을 깊이 있게 분석
    • 🔍 전통 민요의 현대적 맥락과 재해석 가능성 제시
    • 🌈 민요, 대중가요, 예술가요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혁신적 관점 제공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경국대학교 민속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민속연구 / 28호 / 191 ~ 219페이지
    · 저자명 : 허정주

    초록

    민요는 시대적 컨텍스트의 변화에 따라 많은 변화를 겪게 되며, 그에 따라 ‘소리꾼’의 성격도 크게 달라지게 되는데, 대부분의 민요 연구는 좁은 의미의 ‘민요’, 곧 ‘근대 이전의 전통 농어촌 사회 공동체에 의해서 이루어진 노래’의 연구로 제한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이런 의미의 ‘민요 사회’는 붕괴 직전이며, 이미 ‘죽은’ 민요이다. 기존의 그런 농어촌 현장 자체가 이제는 ‘현실적으로’ 그런 노래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설령 일부 필요로 한다 할지라도 그런 농어촌 현장 공동체 구성원 자체가 거의 붕괴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는 민요의 창자 곧 ‘소리꾼’ 논의에서도 마찬가지로 민요가 어느 시대에 잠깐 있다가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연속성․변이성․선택성을 가지면서 민중들에 의해 전승․변이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다면 우리 민요의 ‘소리꾼 논의’의 지평도 상당히 넓혀질 수 있다. 넓은 의미의 민요의 소리꾼은 기존의 민요 현장에서 사라진 것이 아니라, 우리시대에 맞게 ‘대중가요 소리꾼’ 및 ‘예술가요 소리꾼’ 등으로 변이되고 변화되면서 존속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소리꾼을 바라보고 논의할 수가 있다. 이렇게 되면 우리의 민요 논의 범주는 기존의 ‘민요․대중가요․예술가요’ 모두가 들어오게 되며, 이것들 사이의 여러 가지 문제들을 우리는 개방적으로 다룰 수 있게 된다.
    전북민요에는 현재 이미 그 현실적 맥락을 잃어버린 민요 소리꾼만 있고, 그것들을 활용한 ‘대중가요 소리꾼’ 및 ‘예술가요 소리꾼’이 몇몇 뿐이다. 앞으로 전북민요 혹은 한국 민요가 진정한 의미에서 연속성․변이성․선택성을 확보하면서 바람직한 능동적․창조적 변이․변화를 기하기 위해서는 대중가요 소리꾼과 예술가요 소리꾼들이 활발히 나와야 한다.
    즉, 각 지역민요들의 다양한 지역 토리를 활용하는 예술가요 소리꾼들이 나와서, 그들이 창조해내는 성공적인 ‘예술가요들’이 많이 만들어지고, 그것들이 다시 ‘대중가요’로 전환되어, 이런 순환적 피드백 과정이 활성화 되어야 한다.

    영어초록

    Most of the research on “MinYo(민요)” centers around a narrow definition of MinYo. Those studies limited the study of MinYo as a static art form that was a by-product of pre-modern agrarian and fishing communities. The communities that supported this narrow definition of MinYo is all but collapsed in modern times, however. Modern agrarian and fishing communities do not need the MinYo as the character of the communities have changed. Same analysis is true with respect to the study of the singers of MinYo who are called “SoRiKun(소리꾼)”.
    However, if we change the perspective of MinYo and see it in the context of its “transformation over time”, we can see its continuum through inheritance of popular culture of pre-modern day MinYo to its modern adaptation by process of cultural selection process. Study of SoRiKun can also be viewed in the same perspective. Based on this perspective of “transformation over time” we can expand the scope of discussion on SoRiKun and view it as the precedence to modern popular culture, rather than an art form that is trapped in the time capsule of the past. In that context, we can include ‘popular music singer’, ‘art music singer’ as the beneficiaries of the cultural heritage from SoRiKun and examine the issues facing them today.
    JeonBuk MinYo only has few SoriKun who lost its cultural context. Moreover, there are only few ‘popular music singer’, ‘art music singer’ who inherited the MinYo of the past. In order for the JunBuk MinYo or Korean MinYo to continue its transformation over time and thrive, it should adopt to modern cultural demands through proactively-creative adaptation and through cultural selection. In addition, we must create large pool of ‘popular music singer’, ‘art music singer’ who are part of this transformation process.
    In other words, there has to be a process of cultural evolution by the artists who has expertise in local cultural ToRi who transforms MinYo from the past into successful popular folk songs of today through creative adaptation. In order to succeed in this cultural transformation, there has to be active processes of providing feedback through constant development of local artist and continuous transformation of local MinYo to popular folk song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속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