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디자인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디자인 컨텍스트와 어젠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context and Agenda for Design of Sustainability)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2 최종저작일 2011.06
16P 미리보기
디자인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디자인 컨텍스트와 어젠다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초조형학회
    · 수록지 정보 : 기초조형학연구 / 12권 / 3호 / 445 ~ 460페이지
    · 저자명 : 전소윤

    초록

    생산혁명 이후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사람들은 점차 풍요로워져 대량으로 생산된 제품을 무차별적인 소비위주의 사이클을 형성하였다. 이것은 여러 가지 심각한 인류의 생존문제로 확대되고 있다. 한정된 지구자원의 고갈성과 폐기물의 발생으로 인한 환경오염은 더 이상의 자연과 인간의 상생적 관계를 유지 할 수 없게 되었다. 하지만 이를 위해 무조건적인 친환경적 요소만을 강조하기위해 인류가 이룩해온 편리함과 안전함 등을 배제할 수 는 없다. 그렇기에 지속가능한 발전(Sustainable development)라는 범인류적인 행보가 시작되었고 이는 생태적, 경제적, 사회적 측면들의 현실적인 부분들을 고려하며 세대 간 또는 세대내의 평등을 의미한다. 최근 각국의 정부 및 국제 연합의 정책․전락으로 그 제약적인 협의안을 공표함으로 이를 기준으로 세계 시장은 변화하고 있다. 디자인은 산업, 사회, 국가, 세계 안에서 적극적인 실천 요소로써 그 중요한 가능성에 대해 재조명되고 있다. 특히, 디자인은 다양하고 복잡한 시스템들을 조절하고 융합시키거나 소통시킬 수 있는 특성을 가지며, 긍정적인 사회, 제도, 환경, 경제변화를 생성하고 균형을 위한 방책으로 실생활에 적용되어져야한다. 그러기 위해 우선, '지속가능하다'라는 각계 영역에서 마다의 난해한 의미를 디자인 컨텍스트를 범위로 한정하여 6개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어젠다 Financial, Technology, Social, Personal, Environmental, Policy․Strategy의 축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디자인의 지속가능성의 어젠다의 확립을 위한 범위를 제시함에 있어 사회, 경제, 생태, 과학기술, 정책 등의 여러 분야와 디자인이 중요한 매개체임을 밝히는 것에 그 의의를 두고자 한다. 이를 계기로 이후연구에는 좀 더 구체적인 영역의 실천 방안에 주안 하여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하려 한다.

    영어초록

    Sustainability is still rapidly becoming as issue of critical importance for design context and society as a whole. A complexity of dynamically interrelated ecological, social, cultural, economic, and psychological (awareness) problems interact and converge in the current crisis of our unsustainability civilization. However, in a constantly chang-ing environment, sustainbility is not some ultimate endpoint, but instead is a continuous process of learning and adaptation.
    Design is a key agency in materializing, and designing, our lives. For, as many observers have noted, what is already designed exerts a huge influence over the design of our lives, and what comes next. Design contributes to the evolution of individual human capital and defines our collectively held social capital. Design is fundamental to all activity. At the nexus of Values, attitudes, needs, and actions, designers have the potential to act as transdisciplinary integrators and facilitators. Design can most broadly be defined as the expression of intentionality through interactions and relationships. Design can readjust our notion of aesthetics to embrace a multitude of truths-economic, political ,social ,ecological ,ethical ,technical ,symbolical ,institutional, philosophical and cultural for sustainability. This paper could be suggested what is direction of sustianability in Design context with six-agendas. To rise to this challenge, design must set its own agenda for positive chan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초조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