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종교경험의 가능근거인 표상을 향한 정향성(Conversio ad Phantasma) 연구: 아퀴나스와 칸트 인식론에 대한 칼 라너의 실존론적 통찰을 중심으로 (A Study on Conversio ad Phantasma as the Ground of Possibility for Religious Experience: with Special Reference to Karl Rahner’s Existential Insights into Thomistic and Kantian Epistemologies)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2 최종저작일 2014.09
39P 미리보기
종교경험의 가능근거인 표상을 향한 정향성(Conversio ad Phantasma) 연구: 아퀴나스와 칸트 인식론에 대한 칼 라너의 실존론적 통찰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한국기독교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학논단 / 77권 / 65 ~ 103페이지
    · 저자명 : 박욱주

    초록

    칼 라너는 아리스토텔레스-아퀴나스 전통의 인식형이상학과 칸트의 선험적 구성론을 실존론적으로 전회하여, 실존적으로 유의미한 신-인 관계를 개방하는 종교경험의 원초적 가능근거를 규명하였다. 그는 지성의 노에시스에 과도하게 편중되어 있는 아퀴나스 인식론의 노에시스적 질료형상설로는 칸트의 순수이성 비판, 그 중에서도 신 이념의 가상성에 대한 비판에 대응하기 어렵다는 사실을 인지하였다. 이에 라너는 하이데거의 실존구조 분석에 힘입어, 아퀴나스의 주지주의적 인식형이상학을 표상을 향한 정향성 중심의 존재론적 인식론으로 재해석하였다. 그리고 칸트의 선험적 구성론이 시간과 공간을 직관형식으로만 제한하여 실존의 본질적 구조인 초월과 세계 내 정신을 왜곡하고 있다고 비판하였다.
    이를 위해서 라너는 초월의 구체적 양태인 존재소유, 그리고 이 존재소유의 원초적 가능근거인 감각적 표상을 분석하였다. 라너는 이 감각적 표상이 신의 직접성이 매개되는 초월의 원초적 근거임을 분석적으로 제시한다. 아울러 이 감각적 표상이 시간성과 공간성의 실존방식을 통해서 분명한 실존적 경험을 근거로 정립됨을 밝혔다. 이와 같은 라너의 통찰은, 전 인류가 신의 자기양여에 개방된 세계 내 정신으로서, 감각적 표상으로의 정향을 원초적 계기로 하여, 그리고 존재물음을 원인적 계기로 하여 종교경험의 수혜자가 될 수 있음을 변론하는 데 기여하였다.

    영어초록

    Karl Rahner’s existential analysis of conversio ad phantasma is predominantly focused on the investigation into the convincing possibility of religious experience among everyday experience(alltägliche Erfahrung). He, with an anchoring in Thomas Aquinas, reinterprets phantasma in Thomist metaphysics of knowledge and Vorstellung in Kantian epistemology on the methodological rationale of Heidegger’s existential ontology. Rahner presupposes that human being is, in his own finitude, transcendentally and freely open to the self-communication of God as Being itself. Human being transcends the self to the infinity of Being itself in his freedom on the paradoxical rationale of finitude. And the transcendence steers human being to the question of Being. The question of Being is the instantaneous moment of religious experience meaningful to Divine-human relationship.
    Therefore, it might be conceded that transcendence and the question of Being are the immediate moments of religious experience. Rahner delves into the existential discernment concealed in the noetic hylemorphism of Aristotelian-Thomist metaphysics of knowledge. Rahner hereby substantiates that human being as spirit in the world transcends the self by the possession of Being(Seinshabe). He subsequently illuminates that conversio ad phantasma commences the possession of Being due to its condition of possibility, the pre-apprehension of Being(Vorgriff auf esse). Human being thus incessantly exists open to God’s self-communication by tuning to the phantasms of finitude and infinity. At some point in his existence, in an inner moment of an authentic affirmation of existential finitude in its totality, the phantasms of finitude and infinity would be thematized in terms of the question of God. Everyday experience thus converts into religious one.
    Kantian critique of pure reason dissents from Rahner’s analysis, as Kant confirms that Vorstellung derives from subject’s internal pure forms of intuition, space and time. Rahner rebuts Kant’s contention by charging him with his disregard for the ontological fact that the forms of intuition of space and time derive from evident ontic experiences. Rahner reinterprets conversio ad phantasma as the primordial condition of possibility of experiencing God’s mediated immediacy in and through the presence of the finite existent, with the intention of defending the universality of agap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논단”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