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연의 유물론과 생태 민주주의-칼 맑스(K.Marx) 『경제학-철학 초고』와 코로나 이후 새로운 삶의 양식을 중심으로- (Materialism of Nature and Ecological Democracy -based on the Economic and Philosophic Manuscripts of 1844 by Karl Marx and a New Mode of Life for the post-corona age -)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2 최종저작일 2020.09
32P 미리보기
자연의 유물론과 생태 민주주의-칼 맑스(K.Marx) 『경제학-철학 초고』와 코로나 이후 새로운 삶의 양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범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범한철학 / 98권 / 3호 / 125 ~ 156페이지
    · 저자명 : 이회진, 김현

    초록

    이 글의 목적은 칼 맑스 『경제학-철학 초고』에 나타난 완성된 자연주의=인간주의, 완성된 인간주의=자연주의라는 테제를 중심으로 생태 민주주의를 탈코로나 이후의 새로운 삶의양식으로 정립하는 것이다. 코로나 시대의 인류는 여전히 근대적인 도구적 자연관에 사로잡혀 있을 뿐만 아니라, 모든 관계를 오로지 자본주의적 교환가치의 평등화라는 신화에 매몰돼 있다. 특히 코로나바이러스 앞에서 인류는 자본주의적 생산 관계, 즉 상품의 교환가치를생산하지 못하는 모든 생명체의 사용가치를 위계 질서화한 후, 교환가치의 생산 가능성의 정도에 따라 생명의 구원 순서를 정한다. 이 과정에서 인류는 코로나 이전의 자본주의로 회귀할 것인지 아니면 새로운 삶의 양식을 정립해야 하는지의 갈림길에 서 있다. 코로나 시대에 탈코로나 이후의 삶의 양식을 사유하는 것은 자본주의에서 자본주의 이후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과 같다. 그러나 코로나 시대에 탈코로나 시대를 사유하는 것은 자본주의 종말 이후에 공산주의가 도래할 것이라는 역사적 전망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오히려 일직선적인 역사적 진보에 대한 계몽주의적 신화에 사로잡혀서 지금까지 소홀히 논의해왔던 자연과 인간, 인간과 인간의 관계를 전면적으로 재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이 글은 칼 맑스의 “인간의 성취된 자연주의, 자연의 성취된 인간주의”, 즉 인간과 자연의 완전한 통일, 자연의 진정한 부활을 생태 민주주의 이념으로 재해석할 것을 제안한다. 이에 따르면 인간의 비유기적 몸으로서 자연과 유기적 자연으로서 인간은 더이상 인간의 도구적 자연관을 뒷받침하는 기능적 역할을 담당하지 않는다. 오히려 이 양자는 탈자본주의적 삶의 양식을 규제하는 이념이다. 특히 이 양자의 관계성 회복을 지향하는 생태민주주의는 사용가치로서 자연, 개별 인간, 국가를 포함한 지구의 가치를 교환가치로만 환원하는 근대적 자연관을 지양하는 구성적 방법이다. 따라서 생태 민주주의는 지구 내의 모든 생명체가 각각의 독특한 사용가치의 담지자라는 상호 관계성을 회복하는 대안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stablish ecological democracy as a new mode of life in the post-corona age, based on the theses that “naturalism is humanism” and “realized humanism is naturalism” as appeared in Economic and Philosophic Manuscripts of 1844 by Karl Marx. Not only is man still entrapped by the instrumental view of nature from the late modern period, but he is also buried in the myth that all relationships come down to the equalization of capitalist exchange value. Faced with the corona pandemic, man creates a hierarchy based on the use-value of all living creatures that are unable to create capitalist relations of production, or in other words, exchange value. And it is according to this relative capacity to generate exchange value that he decides which life should be saved first. Man now find himself at a crossroads, as to whether to return to the old capitalism prior to the pandemic or to establish a new mode of life. Contemplating on a possible new mode of life for the post-corona period amidst the continuing pandemic is essentially equivalent to seeking new possibilities for a life after capitalism within the bounds of capitalism. But reflecting on a post-Corona age in the midst of the Corona age requires more than the historical anticipation of the advent of communism after the demise of capitalism. One should rather completely re-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man and also that between men, which had been neglected in favor of a myth from the enlightenment era regarding the linear progression of history. To this end it will be attempted to reinterpret Marx’s “realized naturalism of man, humanism realized by nature”, that is, a complete unity of man with nature and a true resurrection of nature, employing the ideology of ecological democracy. This concept dictates that nature as man’s inorganic body and man as organic nature do not anymore serve the function of supporting the instrumental view of nature. Both are instead ideologies that regulate post-capitalist modes of life. Ecological democracy, which aims to restore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nature, is a constructive method of rejecting the view of nature from the late modern period, which reduces the earth - including nature in terms of its use-value, individuals, and states - to its mere exchange value. In this sense, ecological democracy is an alternative to restore the inter-relationship among all living beings on earth, recognizing the intrinsically distinct use-value in all of th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범한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