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에큐메니칼 교회로서의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의 정체성과 증언 (The Identity and Witness of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Tonghap) as an Ecumenical Church)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2 최종저작일 2011.04
25P 미리보기
에큐메니칼 교회로서의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의 정체성과 증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장신논단 / 40호 / 11 ~ 35페이지
    · 저자명 : 안교성

    초록

    최근 세계교회협의회 총회 개최 건으로, 교단 간은 물론, 교단 내에서도 의견이 대립되었다. 이런 맥락에서 본 교단의 에큐메니칼성은 교단 간 및 교단 내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본 교단의 에큐메니칼 교회로서의 정체성과 증언의 형성과 구현 과정을 역사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본 교단의 에큐메니칼성의 전통은 세계교회협의회와의 관계를 넘어서서, 보다 광범위하고 유구하다. 이 전통을 이해하려면, 에큐메니칼 운동의 다각적인 맥락을 유의해야 한다. 특히 에큐메니칼 운동 내의 다양한 흐름과 비서구교회의 위상이다. 이것은 기존의 연구에서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
    본 교단은 일치의 맥락 가운데 설립되었고, 따라서 에큐메니칼성은 본 교단의정체성을 구성했다. 한국교인은 물론, 선교사, 선교부, 선교부 모국교회, 교파별 세계 에큐메니칼 기구, 국내외 에큐메니칼 기구 등 이 모든 것이 본 교단의 역사를 이루고 있다. 이런 유구한 전통을 지닌 본 교단은 선택을 요구받을 때마다 에큐메니칼성을 선택했다. 특 히 본 교단은 1950년대의 교회분열 가운데에서, 1907년 설립된 대한야소교장로회의 전통 즉 에큐메니칼성을 이어받은 교회로 스스로를 이해했다. 본 교단의 에큐메니칼 교회로서의 정체성은 세계교회협의회 총회 개최에 관한 논쟁을 뛰어넘는 보다 근원적인 교회의 본질, 곧 ‘하나의 거룩한 보편적인 사도적교회’를 성취해가는 과정과 굳게 결부되어 있다.

    영어초록

    Since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hereafter WCC) had decided to hold the next General Assembly in Pusan, Korea in 2013, the decision generated a number of controversies both among different denominations and within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hereafter PCK). In this sense, the ecumenicity of the PCK can be regarded as an inter-denominational and intra-denominational issue. This paper aims to analyze how the ecumenical identity and witness of the PCK has been formed and implemented. It must be noted that the ecumenicity of the PCK claims a longer and wider tradition, extending 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CK and the WCC. In order to understand the tradition, it is necessary to take into consideration various contexts of the ecumenical movement: particularly, the diverse streams and the status of the non-Western church in the ecumenical movement, to which scholarly attention has not been given adequately.
    The PCK was established in the context of unity, which developed a distinct identity of the PCK as an ecumenical church and governed its development. Various parties such as missionaries, missions, home churches, and confessional ecumenical bodies, and national and international ecumenical bodies, not to mention Korean Christians, contributed to the history of the PCK. A church with such a long and rich history of the ecumenical movement, the PCK continued to choose the cause of ecumenicity, whenever its ecumenical identity was challenged or threatened. In particular,in the midst of the consecutive church divisions in the 1950s, the PCK chose to stay true to its tradition of ecumenicity, which was formed when it was established in 1907. Thus, the ecumenical identity of the PCK is firmly placed in its pursuit of gaining the true nature of the church, or becoming the ‘one, holy, universal and apostolic’church, which cannot be narrowed down to the controversy concern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CC and the PC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장신논단”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