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칼 맑스(K. Marx) 신체 유물론과 기술의 정치경제학 (Body Materialism of Karl Marx and Political Economy of Technology)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2 최종저작일 2021.03
38P 미리보기
칼 맑스(K. Marx) 신체 유물론과 기술의 정치경제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범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범한철학 / 100권 / 1호 / 237 ~ 274페이지
    · 저자명 : 김현

    초록

    이 글의 목적은 기술의 혁신과 발전에 대한 찬사가 쏟아지고 있는 오늘날의 기술 시대를 맑스적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성찰・조망하는 것이다. 기술적 발전의 산물을 인간의 실천적 활동의 산물로 간주하는 맑스적 관점에서 기술과 기술의 활용에 대한 이해는 인간이 수행하는 실천적 활동에 대한 이해를 전제한다. 맑스는 인간을 무엇보다도 자신의 오감을 통해 자연과 지속적으로 소재를 교환하는 실천적이고 능동적인 존재로 규정한다. 인간이 수행하는 이 실천적・능동적 활동은, 관념철학자들이 주장하는 것과 달리 이성, 정신, 사유의 활동이 아니라, 인간의 몸이 수행하는 감각적 활동으로 간주된다. 맑스는 인간의 몸이 수행하는 이 활동을 “감각적으로 인간적인 활동, 실천”이라고 명명하는 한편, 기술발달의 총체로서 인간이 이뤄낸 ‘산업의 역사를 인간 본질적 힘들의 펼쳐진 책이자, 감각적으로 눈 앞에 현존하는 인간의 심리학’이라고 비유한다. 달리 말해 인간을 둘러싼 기술적 산물의 총체는 인간의 감각적 실천을 통해 형성된 인간 자신의 대상화된 힘의 총체로서 이해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때문에 기술이 어떤 물적 토대에서 마련되고 활용되는가에 따라서, 기술과 인간 또는 인간 신체의 관계가 적대적으로 맞설 수도 있고, 양자가 공존적이고 공생적인 관계를 맺을 수도 있다. 맑스는 기술적 성과를 탈역사화하여 기술이 초래한 진보를 맹목적으로 찬양하는 기술예찬론자도 아니지만, 기술이 사회적 생산양식 일체를 결정한다고 보는 기술결정론자도 아니다. 기술과 기술적 성과는 사회 역사적 맥락과 무관하지 않기에, 기술이 발명되고 활용되는 특정 시대의 생산양식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기술의 혁신과 발전에 내재한 해방적 잠재력은 기술이 놓인 사회경제적 맥락으로부터 자유롭지 않다. 이 글은 기술과 기술적 산물이 감각하는 존재로서 활동하는 인간 존재와 갖는 연관관계로부터 출발한다. 이를 통해 이 글은 19세기 산업자본주의의 기술적 동학에 대한 맑스의 분석에 기반하여 자본주의적 기술과 그 활용이 인간의 제 감각과 신체를 어떻게 분절하고 파편화하는지 살펴본다. 이 과정에서 이 글은 『자본』 제1권에 포함된 노동일, 매뉴팩처와 분업, 기계와 대공업에 관한 맑스의 서술과 분석을 따라가면서, 최대한의 효율성과 수익의 극대화라는 단 하나의 명법에 귀속된 자본주의적 기술활용이 인간의 감각과 신체의 기형화로 귀착된다는 것을 주장할 것이다. 이 글은 19세기 맑스의 기술론에 함축된 기술의 자본주의적 활용에 대한 맑스의 비판과 기술의 해방적 잠재력에 대한 맑스의 전망이 디지털 세계를 사유화함으로써 노동을 통제하고, 노동자의 신체를 자본의 것으로 사유화하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하다는 것을 주된 관점으로 채택한다.

    영어초록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trospect on and take a view of today’s technological era, where there is a lot of praise for the technological revolution and development, from Marx’s perspective. The understanding of technology and its utilization is assumed to be the basis of the understanding of practical human activity from the perspective of Marx who regarded the outcome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as the outcome of human practical activity. According to Marx, human is practical and proactive, and continually exchanges materials with nature through their five senses above everything else. These practical and proactive human activities are deemed sensuous human activities, not rational, conscious, and thinking activities that idealists emphasize. Marx named this human activity “sensuous human activity, practice” while saying that “history of the industry is the open book of human essential forces and human psychology turned into sensuous” in which the industry is the integrity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In other words, the integrity of technological outcomes around people should be understood as the integrity of self-objectified forces formed through sensuous human activities. Therefore, according to how the technology is being prepared and utilized, technology and human or human body might stand against each other or might coexist and have a symbiotic relationship. Marx is neither a technophilia who dehistoricizes the technological outcomes, thus highly praises for technological advances nor a technological determinist who claims the technology determines entire mode of production in society. Technology and its outcomes are not irrelevant to socio-historical context, indicating that they are closely related to the mode of production in a specific era where the technology is being developed and utilized. Liberating potential inherent in the technological revolution and development is not free from socio-economic context where technology is placed. This paper starts from an associative relation of human existence acting as sensuous existence of technology and its outcomes. Through this, this paper examines how human senses and body are broken and fragmentized by capitalist technology and its utilization based on Marx’s analysis on technological dynamics of the industrial capitalism in the nineteenth century. During this process, this paper follows Marx’s description and analysis on the Labor Day, manufacturer and division of labor, and machinery and large-scale industry included in Chapter 1 of Capital to claim that the capitalist technology utilization attributed to the maximum efficiency and profit would result in the malformation of human senses and body. This paper adopted Marx’s theory on technology, which implies Marx’s criticism of technology utilization in capitalism and Marx’s view of liberating potential of technology, as the main perspective because they are still valid today where the digital world is privatized to control labor and the workforce are privatized by capit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범한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