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몽골 영웅서사시의 신화정체성과 탈경계적 변이 양상 ― 「장가르」, 「게세르칸」 스토리의 전승과 현대적 활용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ultural Identity of Mongolian Heroic Epic in the Trans-boundary Era: Focusing on the Traditions and Modern Uses of the Stories of Jangar and Geser Khan)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2 최종저작일 2019.11
41P 미리보기
몽골 영웅서사시의 신화정체성과 탈경계적 변이 양상 ― 「장가르」, 「게세르칸」 스토리의 전승과 현대적 활용 사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문논총 / 76권 / 4호 / 121 ~ 161페이지
    · 저자명 : 이선아

    초록

    「장가르」와 「게세르칸」 서사시는 몽골 유목민의 정체성을 표상하는대표적인 이야기이다. 몽골의 영웅서사시는 동북아시아 및 중앙아시아의 광범위한 지역에서 대중과 지속적으로 소통하며 그들의 구미에 맞춰 스스로를 변화시키는 데에 서슴지 않았다. 그 과정에서 당대의 가장혁신적인 미디어와 장르를 전략적으로 수용함으로써, 이야기의 신격화에서 게임화에 이르기까지의 다양한 변이형을 창출해 내었다. 이들 변이형들은 신화의 시기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꾸준하게 몽골 제민족의경외와 사랑을 받아왔다. 이는 몽골의 영웅서사시가 가지는 노마드적개방성 혹은 유연성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이면서 세계 각지에 흩어진몽골계 민족들의 문화적 연대감을 강력하게 유지해 주는 비결이기도하였다.
    민족의 이합집산이 빈번했던 유목 사회에서 몽골 유목민들은 자신들의 정체성 상실과 혼란을 극복하고 끊임없이 새로운 환경에 적응해왔다. 영웅서사시는 몽골 유목민들 특유의 디아스포라 과정에서 당대민중들이 열망했던 가장 이상적인 영웅들의 이야기를 통해 그들 나름의 정체성을 견고히 하였다. 즉 몽골 유목민의 영웅서사시는 몽골계 제민족 집단의 공유된 기억으로 일깨워주는 역사적 신화로 기능하여 왔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게세르 서사시와 장가르 서사시 역시 각자의 방식으로 치열한 생존전략을 모색하며 그 문학적 생명력을 굳건하게 지켜온 셈이다. 특히 사방에서 몰려오는 역사적 도전과 비극적 운명 속에서서사시 속 몽골 유목민 민중들은 지속적인 투쟁과 연대를 반복하여 왔다. 이를 통해 신화적 정체성의 표상으로서 이상적인 국가인 ‘놀롬 평원’(Nolom tal-게세르), ‘아르 봄바’(Ar Bumba-장가르)를 재현함으로써보다 시대에 맞는 자신들의 정체성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한편 몽골의 영웅서사시는 신화적 스토리텔링의 원형을 성실하게고수하면서도 악기, 문자, 무대, 영상 등 시대별 주요 매체들을 적극 수용하면서 무궁무진한 판타지와 스펙터클을 동반한 구비문학 장르의 유산들을 차곡차곡 축적해 왔다. 이는 오늘날 문화원형콘텐츠의 큰 자산으로서 인터넷, 디지털,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과 같은 현대 매체와의 접목을 통하여 새로운 유형의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창출할 수 있는 소재가 될 것이다.
    이렇게 재창조된 몽골 유목민의 영웅서사시 콘텐츠는 장르적, 지역적, 시대적 경계를 초월하여 ‘탈경계’라는 새로운 노마디즘의 시대에미래 세대가 적응할 수 있는 문화정체성을 정립하는 주요한 대안으로제안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Jangar, Geser Khan epics are representative stories of the Mongolian nomad, transformed into a wide variety of genres from a wide range of regions in Northeast Asia and Central Asia, communicating closely with the populace of each region and each era. The Mongolian heroic epic has constantly evolved, accepting the most innovative media and genres of that era, from the story deifying, and the story performing, and to the story gaming etc. The regional and genre openness of the Mongolian epic is closely related to the long-standing characteristics of nomadic culture that cross borders and boundaries.
    In nomadic society where ethnic separating and gathering were frequent, Mongolian nomads constantly adapted to the new environment, overcoming the loss and confusion of their identity. In this process, these heroic epics become ‘historical myths’ that remind the mythological identity as ‘a shared memory of the community’ through the stories of the most ideal heroes aspired by the people of those days. In this context, the epic Jangar, which represented (mimesis) the tragic destiny of the Oirad people and the construction of the ideal nation (Ar Bumba) through their struggle and solidarity, represent the cultural identity of the Mongol heroic epic.
    The Mongolian heroic epic is narrative literature that has been actively handed down to a wide variety of nomadic culture genres in the vast region of Northeast Asia. In other words, the various regional versions of Mongolian heroic epic represent the diversity of the ethnic cultures and their cultural identities of the Mongolian nomadic people scattered in various places that flexibly adapted and were created at each crucial time.
    This aspect seems to have influenced the reorganization of cultural identity through the ‘shared memory of the community’ in which the other neighboring countries are represented by the myth of the hero through cultural exchange.
    The story of the hero named ‘Jangar’, ‘Geser’ and ‘Dagina’ (Qatun) was beyond the scope of construction, constantly communicating with the populace, and not hesitating to change itself according to the modern sense. From the deity of the story to the game, various variants have been created, and the Mongol nomads have been steadily loved until now. This is a good example of the nomadic openness and flexibility of the Mongolian heroic epic.
    The Mongolian epic embodies mythical storytelling genuinely while maintaining the main public media of the time such as musical instruments, medium of texts, stage (performing media), and images, and accumulating heritage of the literary genre with infinite fantasy and spectacle.
    Today, it is a major asset of cultural prototype contents and it is a major driving force for continuously creating new types of storytelling contents by connecting with modern media (multimedia) such as Internet, digital, VR (virtual reality) and AR (augmented reality).
    The trans-boundary of Mongolian heroic epic, transcending regions and genres, will be an important alternative to form a new cultural identity of the 21st century neo-nomadism world culture beyond the national category for our future generations.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