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 만화의 ‘영화적 스타일’이란 무엇인가 - 미와 켄타로의 칸과 시간의 이론을 중심으로 (What Is "Cinematic Style" in Japanese Comics?- Miwa Kentaro’s Theory of Panels and Time)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2 최종저작일 2017.02
30P 미리보기
일본 만화의 ‘영화적 스타일’이란 무엇인가 - 미와 켄타로의 칸과 시간의 이론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중서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대중서사연구 / 23권 / 1호 / 295 ~ 324페이지
    · 저자명 : 김소원

    초록

    이 글은 미와 켄타로(三輪健太郎)의 <만화와 영화— 칸과 시간의 이론(マンガと映画-コマと時間の理論)>(2014)을 살펴보고 일본 만화 연구에 있어 최대 관심사였던 ‘만화는 영화적인가?’에 대한 대답을 찾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일본 만화는 기호화된 이미지를 적극 활용해 간결하고도 빠르게 메시지와 스토리를 독자들에게 전달한다. 오랫동안 일본의 만화 연구는 만화 고유의 표현 문법에 그 방점이 찍혀 있었다. 일본 만화의 문법이란 크게 칸, 언어, 선을 활용하고 이를 적절히 기호화한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일본 만화 연출의 기원은 1947년 테즈카 오사무(手塚治虫)의 <신 보물섬(新宝島)>이었다. 몇몇 만화 연구가들은 테즈카 오사무의 연출을 혁신적이고 영화적인 것 이라고 평가했다. 지금도 많은 연구가들은 일본 만화의 특징에 대해 ‘영화적인 표현’을 꼽는다.
    미와 켄타로는 다양한 선행연구에 대한 재고와 비평 위에 자신의 새로운 이론을 더한다. 그 결과 만화표현의 특징을 지금까지 반복되어 온 ‘영화적 수법’의 연장선상이 아니라 ‘영화적 스타일’의 맥락으로 새롭게 정립한다. 이 글에서는 만화 표현론의 역사에서 중요했던 순간을 되돌아보고 이들 이론에 대한 미와 켄타로의 평가를 살펴본다. 그리고 이 글의 분석 대상인 동시에 만화 표현의 핵심이기도한 ‘칸’, ‘시선’ 그리고 ‘시간’의 이론에 대해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신 보물섬>의 영화적 표현을 분석한다.
    저자는 다양한 분석과 고찰을 통해 ‘만화는 과연 영화적인가?’ 라는 문제에 대해 기존의 연구에 새로운 시각을 더한 답을 내 놓았다. 만화 표현론의 관점에서 매우 의미 있는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bout Miwa Kentaro's Comics and Cinema: Theory of Panels and Time (2014). The aim of the essay is to find address the question of whether comics are cinematic. Japanese comics actively use encoded images; in addition, they convey messages and stories briefly and quickly.
    For a long time, most Japanese comics research was centered on the comic’s unique expression mode. The origin of this direction in Japanese comics was New Treasure Island (Tezuka Osamu, 1947). Some comics scholars have appreciated that Tezuka Osamu's direction was innovative and cinematic since 1990s. Now, many scholars argue that “cinematic expression” is characteristic of Japanese comics.
    Miwa reconsiders and criticizes various preceding studies. Furthermore, he adds his own new theory. As a result, he newly describes the features of comics' expression not as exhibiting a "cinematic method" but as representing "cinematic style." This article examines major theories of the history of expression in comics. Beyond this, it considers Miwa's appraisal of these theories and his theory on "panels," "gaze," and "time." Finally, it presents an analysis of the cinematic style of New Treasure Island.
    Miwa’s theory incorporates diverse analyses and considerations. In addition, he adds a new perspective to preceding studies on the question of whether comics are cinematic. This article demonstrates the significance of Miwa's book in the context of the theory of expression in comic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중서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