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현(근)대 시조와 근대 하이쿠 비교 연구 - 이병기와 마사오카 시키(正岡子規)를 중심으로 - (The Comparative Study between Sijo and Haiku - Focused on Lee Byeong - gi and Masaoka Shiki -)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2 최종저작일 2016.02
23P 미리보기
현(근)대 시조와 근대 하이쿠 비교 연구 - 이병기와 마사오카 시키(正岡子規)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국제한국언어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Journal of korean Culture / 32권 / 95 ~ 117페이지
    · 저자명 : 임곤택

    초록

    이 논문은 이병기의 시조와 마사오카 시키의 하이쿠를 분석하여, 한일 양국의 전통 시가 형식이 근대화의 자장 안에서 어떻게 스스로를 갱신해갔는지 살피고자 한다. 이병기와 마사오카 시키는 각각 시조혁신론과 사생론 등 새로운 창작 방법을 제시하며 시조와 하이쿠의 근대화를 이끈 인물들이다. 이들의 작품이 지닌 형식적 특성과 효과를 추적함으로써, 양국 전통 시가의 근대화 과정을 구명하고, 나아가 전통 형식이 미적 근대화를 성취해가는 양상을 도출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이 논문은 이병기와 마사오카 시키를 서로 비교하여 차이점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지 않으므로 두 사람이 근대화 과정에서 보여준 유사한 양상들에 주목하게 된다.
    두 시인의 작품에서 먼저 드러나는 특징은 새로운 소재의 발굴이다. 이전에는 시가 될 수 없었던 작고 하찮은 것들을 소재로 선택하는데, ‘젖꼭지, 손톱 끝, 파리, 모기, 비루먹은 말, 말의 꼬리’ 등이 그것이다. 이들의 채용은 소재의 범위를 확장했다는 의미를 넘어선다. 주지하는 대로 근대 이전 시가들의 소재는 특정한 의미를 지시하는 경우가 많았다. 기표와 기의의 연결이 고정되어 있었고, 이 연결을 규율하는 상위의 규범이나 이데올로기가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새로운 소재들은 고정된 의미 체계 안에 있지 않다. 매우 구체적으로 생활 세계를 드러내 줄 뿐이다. 이러한 소재들은 궁극적으로 기존의 규범적 질서에서 벗어나려는 문학의 한 실천이라는 의미를 지닌 것으로 판단된다.
    다음으로 두 사람에게 보이는 특징은 새로운 언어의 발견과 리얼리티의 구현이라 할 수 있다. 그들은 대상의 움직임을 구어체에 가까운 시어로 표현한다. “날어 드다, 부드치고. 몰아 오다, 떨어치고”, “요란스레 꾸[飾り立てたる]”미거나 “잽싸게 몸을 피하는[ひらりとかはす]” 등 대상의 움직이는 모습을 구어체에 가깝게 표현해낸다. 이러한 표현은 작품에 활달한 느낌을 불어넣어주는 한편 대상에 대한 지나친 감정 투사나 관념화를 막아준다. 무엇보다 작품 안의 세계와 실제 세계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짐으로써, 그들의 작품은 근대적 리얼리티에 다가서게 되었다고 생각된다.
    이병기와 마사오카 시키는 새로운 대상과 새로운 시어를 통해, 궁극적으로 세계를 새롭게 보았다고 판단된다. 이른바 풍경의 발견이라 이름붙일 수 있을 듯하다. 이를 통해 문학을 둘러싼 규범과 이데올로기에 균열을 일으키고, 문학의 근대화 혹은 미적 근대화를 향한 여정을 한 발 더 밀고나간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traditional poetry of Korea and Japan, Sijo and Haiku renovate themselves in the flow of modernization, through works of Lee Byeong-gi and Masaoka Shiki.
    The first characteristics of their works were that they pick out new objects that had not been used earlier. The objects were mean and trivial things. But these kind of objects were not the symbol of a certain concept or ideology which premodern poetry mostly denotated.
    The second characteristics were that they developed new poetic language. They focused on the movement of objects and described them with the words near oral language. these words made the works not to fall into ideation and furnish them the modern reality.
    Lee Byeong-gi and Masaoka Shiki, with these characteristics found out new and modern lanscape, and achieved modernization of Sijo and Haiku.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Journal of korean Culture”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