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과 미국의 베트남전 소설 비교-『무기의 그늘』과 『카차토를 쫓아서』를 중심으로 (Comparison of Korean and American Vietnam War Novels-Focusing on The Shadow of Weapons and Going After Cacciato)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2 최종저작일 2021.08
29P 미리보기
한국과 미국의 베트남전 소설 비교-『무기의 그늘』과 『카차토를 쫓아서』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구보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보학보 / 28호 / 709 ~ 737페이지
    · 저자명 : 이경재

    초록

    베트남전은 양측의 당사자만이 관여한 고전적 전쟁이 아니라, 수많은 국가가 개입된 매우 복잡한 국제전이었다. 따라서 어느 한 당사자의 입장에서만 바라본 전쟁상은 결코 온전한 것일 수 없으며, 마찬가지 맥락에서 베트남전을 형상화한 소설에 대한 연구 역시 다양한 참전 국가들의 목소리를 담은 여러 국가의 소설을 종합적으로 성찰해야만 온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 글에서는 한국과 미국에서 최고의 베트남전 소설로 인정받아 온 황석영의 『무기의 그늘』과 Tim O’Brien의 『카차토를 쫓아서Going After Cacciato』을 비교해 보았다. 이러한 작업은 비교의 대상이 되는 상대 작품의 특징을 선명하게 드러내고, 나아가 한국과 미국의 베트남전 소설이 지닌 개별성과 보편성을 탐구하는 기초작업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카차토를 쫓아서』는 외적 초점화의 방식이 사용되고 있으며, 주로 폴 벌린만이 내부로터 초점화가 된다. 폴 벌린은 평범한 병사의 인식과 정서를 보여주며, 이로 인해 이 작품은 베트남전을 둘러싼 다양한 맥락은 제거한 채, 일반 병사가 느끼는 전쟁의 구체적인 실감만을 전달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서술자 역시 구체적인 인식이나 전망을 드러내지 않으며, 지각적이거나 심리적인 국면에만 관여한다. 이것 역시 폴 벌린의 병사적인 시야와 맞물려 현장에 밀착된 재현의 양상을 보여준다. 『무기의 그늘』에서는 다양한 인물들이 초점화 되어 있지만, 이를 통해 복잡한 의미와 관점이 드러나기보다는 오히려 작가의 주제의식이 보다 선명하게 전달된다. 『카차토를 쫓아서』의 서술자가 현실에 대한 구체적인 인식이나 전망을 전혀 드러내지 않았던 것과 달리, 『무기의 그늘』의 서술자는 서사에 직접적으로 개입하여 자신의 정치적 견해를 드러내는데 주저함이 없다. 『카차토를 쫓아서』에서 베트남인은 온전한 인간이라기보다는 ‘풍경’이나 ‘동물’에 가까운 모습으로 그려질 뿐이다. 베트남인이 자신의 목소리를 내는 순간 이들은 서사에서 배제되어 버린다. 당연히 베트남인들을 향한 윤리적 죄의식 등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반해 『무기의 그늘』에서 베트남인은 안영규에게 ‘아시아인으로서의 공통운명’을 깨닫게 해주는 결정적인 계기가 된다. 또한 베트남전에서 안영규는 용병이라는 자신의 존재 위치를 깨닫게 되며, 이것은 마지막에 베트남민족해방전선에 속한 팜 민을 살해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안영규는 베트남에서 미군과 베트남인을 경험하며, 피해자로서의 용병인 동시에 가해자로서의 용병이기도 한 자신의 존재 위치를 깨닫게 된 것이다.

    영어초록

    The Vietnam War was not a classic war involving only parties from both sides, but a very complicated international war involving numerous countries. Thus, from the perspective of either party, the war image can never be intact, and in the same context, the study of novels representing the Vietnam War can only be achieved by comprehensively reflecting on novels from various countries. Based on this awareness, this article compares Hwang Seok-young’s The Shadow of Weapons with Tim O’Brien’s Going After Cacciato. This work is expected to be a basic work to clearly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opponent’s work, and further explore the individuality and universality of Korean and American novels of the Vietnam War. In Going After Cacciato, external focus is used. Paul Berlin shows the perception and sentiment of ordinary soldiers, thereby eliminating the various contexts surrounding the Vietnam War and conveying only the specific reality of the war felt by ordinary soldiers. Also, the narrator does not reveal specific perceptions or prospects, and is only involved in perceptual or psychological aspects. This, too, combines Paul Berlin’s military vision and shows a close reenactment of the scene. In The Shadow of Weapons, various characters are focused, increasing the likelihood of forming complex meanings and perspectives. The narrator of The Shadow of Weapons has no hesitation in directly intervening in the narrative and expressing his political views. In Going After Cacciato, Vietnamese people are portrayed more like “scenery” or “animal” than as a whole human being. As soon as Vietnamese make their voices, they are excluded from the narrative. Of course, ethical guilt towards Vietnamese does not occur. On the other hand, The Shadow of Weapons serve as a decisive opportunity for Ahn Young-kyu to realize “common destiny as Asians.” In addition, during the Vietnam War, Ahn Young-kyu realized his presence as a mercenary, which eventually appeared to kill Pham Min, a member of the Vietnamese National Liberation Fro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보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