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종교개혁 신학적 사유체계와 실천규범으로서의 칭의론 연구 ― 폴 틸리히의 프로테스탄트적 원리와 관련하여 (Eine Untersuchung der Rechtfertigungslehre als Reformatorisch-theologischen Denksystems bzw. Praxiskriteriums: Im Bezug auf das “Protestantische Prinzip” von Paul Tillich)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2 최종저작일 2020.04
32P 미리보기
종교개혁 신학적 사유체계와 실천규범으로서의 칭의론 연구 ― 폴 틸리히의 프로테스탄트적 원리와 관련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기독교신학논총 / 116호 / 361 ~ 392페이지
    · 저자명 : 신용식

    초록

    이 글을 통하여 필자는 칭의론이 단순히 종교개혁 신학자들에게 국한된 시대사적 담론도, 그렇다고 신앙과 구원의 상관성을 상술하는 이론적 진술 혹은단순한 개인구원과 관련한 위로도 아닌, 신앙에 기초하여 인간실존의 모순 속에서 드러나는 다양한 자기폐쇄 현상들에 저항하는 예언자적 선포로의 실존적 요구임을 상술하고자 한다.
    이 과제를 이행하고자 필자는 칭의론을 종교개혁 신학의 내용 원리로 진술함으로써 신학의 학문적 원리 그 자체로 구체화하였을 뿐 아니라, 더 나아가신학적 윤리를 위한 비판적, 형성적 원리로 확장한 폴 틸리히(Paul Tillich, 1886-1965)의 신학을, 구체적으로는 그의 “프로테스탄트주의” 혹은 “프로테스탄트적 원리”와 관련한 글들을 분석하고 평가하였다. 그의 신학에서 프로테스탄트적 원리는 칭의론으로부터 도출된 그 나름의 신학적 학문원리일 뿐 아니라, 실천신학적이고 윤리적인 적용을 안내하는 구체적인 원리이기도 하다.
    근본적으로 이 글은 칭의론을 신학 담론 중 하나로서 다루기보다, 오히려신학적 진술의 근본 지향점으로서 정초하고자 하며, 날마다 개혁되며 개혁하는 교회가 되고자 필요한 신학적 사유체계와 실천규범을 칭의론을 매개로 하여 구축하려는 작은 시도로 볼 수 있다.

    영어초록

    In diesem Aufsatz versuche ich zu erörtern, dass die Rechtfertigungslehre einfach weder als ein epochaler Diskurs, der sich nur auf den reformierten Theologen in 16. Jh. beschränkt, noch als eine theologische Erklärung, die die Korrelation von Glauben und Erlösung darstellt, noch als ein Zuspruch für die individuelle Erlösung verstanden werden kann. Vielmehr muss sie als ein existenzieller Anspruch zur prophetischen Verkündigung, welche aufgrund des Glaubens verschiedenen Phänomenen der in existenziellen Widersprüchen erschlossenen Selbstgeschlossenheit widersteht, in Betracht gezogen werden.
    Für diese Aufgabe habe ich hauptsächlich die Theologie von Paul Tillich(1886-1965), im konkreten seine Aufsätze, die den “Protestantismus” bzw. das “protestantische Prinzip” behandeln, analysiert und evaluiert.
    Denn er hat die Rechtfertigungslehre als wissenschaftlches Prinzip der Theologie konkretisch entfaltet, indem er sie als Materialprinzip der Theologie verstanden hat. Darüberhinaus hat er sie auch zum kritischen, gestaltenden Prinzip entwickelt. In seiner Theologie lässt sich das protestantische Prinzip nicht nur als ein Wissenschaftsprinzip der Theologie, das direkt von der Rechtfertigungslehre ausgeht, sondern auch als ein konk retes Prinzip fungieren, das praktisch-theologisch und christlich-ethisch angewendet werden kann.
    Schlüsslich ist dieser Aufsatz ein Versuch, die Rechtfertigungsl-ehre nicht als eine der theologischen Diskussionen zu betrachten, sondern als grundlegende Orientierung des theologischen Redens zu begründen, also mittels der Rechtfertigungslehre theologisches Denksystem bzw.
    Praxiskriterium für Ecclesia semper reformata et reformanda aufzubau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기독교신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