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침법(枕法)에 관한 문헌기록과 대전시립박물관소장 향침(香枕)의 제작기법 (Records of pillow remedy and manufacturing techniques of incense pillow in the Daejeon Metropolitan city museum)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2 최종저작일 2021.11
29P 미리보기
침법(枕法)에 관한 문헌기록과 대전시립박물관소장 향침(香枕)의 제작기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민속박물관
    · 수록지 정보 : 민속학연구 / 49호 / 313 ~ 341페이지
    · 저자명 : 하수민

    초록

    본고는 향약(香藥)을 베개의 충전재 또는 침재로 사용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침법(枕法)과 침법중 하나인 신침법(神枕法)의 기록을 토대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대전시립박물관 소장 유물 향침에 관하여 고찰한 것이다. 문헌기록에 나타난 다양한 종류의 침법을 분류하고, 그 중 『동의보감(東醫寶鑑)』에 기록된 신침의 제작기법과 일상생활에서 실제로 사용되었던 유물을 함께 연구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침법에 관한 기록은 조선후기에 통용되었던 『동의보감』, 『본초강목(本草綱目)』,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 『의휘(宜彙)』 등의 의학서적과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와 같은 생활실용서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침법은 1. 향재와 약재를 베개의 충전재로 사용하는 방법, 2. 향재와 약재를 베개 자체의 재료로 사용하는 방법의 2가지로 분류된다. 침법은 주로 수면장애, 두풍, 건망증, 정기보강 등을 위한치료법으로 사용되었다. 사향, 국화, 목향 등의 방향성 약재와 호두골(虎頭骨), 벽력침(霹靂碪) 등주술적인 효과가 있다고 믿었던 물질들을 베개의 충전재 또는 침재로 활용하였다. 충전재는 주로단일재를 사용하였으며 더욱 빠르고 다양한 효과를 기대하며 2가지 이상의 향약을 복합재로 사용한 사례가 나타난다. 침법은 잠을 자는 동안 시행되는 치료법이기에 수면장애를 치료하기에 적합하였으며, 치료를 위한 시간을 따로 할애하지 않아도 되기에 편리한 수단으로 여겨졌을 것이다.
    여러 침법 중 신침법과 정공선침(丁公仙枕)은 이를 사용한 사람의 이름 또는 구체적 전래를 전하고 있으며 충전재의 정확한 용량과 베개의 제작법을 기술하고 있어 주목된다.
    대전시립박물관 소장 향침(향사역민기증 651)은 현존하는 거의 유일한 향침으로 추정되며 그의의가 있다. 대전시립박물관 소장 향침은 신침법에서 말하는 베개의 크기와 구멍의 형식과 개수가일치하여 신침법의 기록을 토대로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이 향침은 전체적으로 비례와 대칭을유지하고 있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비례와 대칭이 무너지더라도 향침을 사용하며 잠을 청할 때숙면에 방해가 될 수 있는 요소들은 제거되었다. 공예의 속성은 문명과 문화를 아우르며 쓰임과조형, 예술과 기술, 창작과 생산을 일체로서 내포한다. 이 향침은 조선시대 공예품으로서 쓰임을고려하는 조선 공예의 본질을 반영하였다. 또한 당시의 향 문화와 의료문화, 공예기술을 아우르는무형문화를 보여주는 의의가 있다.
    문헌에서는 신침에 사용할 목재를 자르는 날짜, 목재의 종류, 신침의 크기와 내부 용량, 구멍의개수와 양식, 뚜껑의 유무만이 기록되어있다. 대전시립박물관 소장 향침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신침이 존재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This paper studied about incense pillow in the Daejeon Metropolitan city museum which is considered to be made based on Shinchim pillow remedy(神枕法). Shinchim pillow remedy is a type of pillow remedy, which uses herbal incenses as a filler or material of pillow. This paper classified diverse types of pillow remedies on ancient medical records and studied manufacturing techniques of Shinchim pillow remedy based on 『Dong-uibogam(東醫寶鑑)』. Studied the records of pillow remedies in medical records, such as 『Ben Cao Gang Mu(本草綱目)』, 『Hyangyakjipseongbang(鄕藥集 成方)』, 『Euihwi(宜彙)』 and 『Imwongyungjaeji(林園經濟志)』.
    Pillow remedy can be classified in 2 types; First, using medicinal herbs as filler of a pillow, second, using medicinal herbs as material of a pillow. Pillow remedies were used to as a treatment for sleep disorders, headaches, forgetfulness, and revive energy. Fragrant fillers such as musk, hrysanthemum, elecampane and shamanistic head bone of tigers and horses were utilized for pillow remedy. Usually only one type of herbal medicine was used as filler, but there are cases in which two or more herbs were used as composites in anticipation of faster and diverse effects.
    Pillow remedy was suitable to treat sleep disorder since it takes place during sleep.
    Also it does not require additional time for treatment. Shinchim and Jung-gong sunchim(丁公仙枕) remedy shows the name of people who have used the pillow and treatment, specific dose of herbs, manufacturing and origin of the remedy.
    Incense pillow in the Dajeon Metropolitan city museum is assumed to be the only existing incense pillow in this age. Incense pillow in the Dajeon Metropolitan city museum seems to be made based on the Shinchim record since the size, shape and number of holes of the pillow match to the record. This incense pillow’s proportion and symmetry are maintained entirely. Things which might disturb sound sleep were eliminated even if it breaks proportion. It is the attribute of crafts that it involves civilization and culture, usage and form, art and skill, creation and manufacture.
    This incense pillow reflects the essence of Joseon dynasty crafts, which considered the use of the handicrafts. Also it has significance to show incense culture, medical culture, and intangible culture which embraces craft skills of Joseon dynasty.
    The record shows only date of cutting wood, type of wood, size and volume, the number and form of holes. It is thought to be different shape of diverse Shinchim have exis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속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