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7-18세기 조선의 鍼, 그 종류와 형태 (The Types and Forms of Acupuncture Needles from the Chosŏn Period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2 최종저작일 2017.06
34P 미리보기
17-18세기 조선의 鍼, 그 종류와 형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번역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 / 49권 / 227 ~ 260페이지
    · 저자명 : 오준호

    초록

    본 연구에서는 17-18세기 사료를 근거로 조선 후기 침의 종류와 형태를 고찰해 보았다. 중앙에서 공간된 의서들은 당대의 치료 기술을 구체적으로 묘사하지 못하는 한계를 지닌다.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조선통신사와 필담을 했던 일본 의사들과 조선 의사들의 활동을 채록했던 문인들이 남긴 제한된 기록에 의지해야만 했다.
    다행스럽게도 이 사료들을 통해 당시 사용되었던 침의 종류와 모습을 어느 정도 알 수 있었다. 당시의 침은 크게 서슬(칼날)이 없는 침과 있는 침으로 구분되었다. 전자는 經穴을 자침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했던 침으로 圓鍼이라고 불리었으며, 같은 범주에 속한 침으로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고 두께가 가는 經絡鍼과 圓利鍼이 있었다. 후자는 종기를 치료하기 위해 피부를 절개하는데 사용했던 腫鍼과 瀉血을 위해 피부를 찔러 상처 냈던 三稜鍼이 대표적이다. 종침의 범주에는 바소 등이 있었으며, 삼릉침의 특수한 용례로 인후침이 있었다.
    주목해야 할 것은 17-18세기 조선 의사들은 동아시아 전통의학의 오랜 고전인 『황제내경』에서 이상적인 침의 모습으로 제시한 ‘九鍼’에 대해 그다지 흥미가 없었다는 점이다. 비록 원침, 원리침과 같은 용어들이 구침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은 있지만, 구침의 의미와는 전혀 다른 맥락에서 사용되었다. 특히 毫鍼의 경우에는 구침 가운데 하나이고, 일본에서 대중적으로 사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조선에서는 침을 가리키는 용어로서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 따라서 적어도 17-18세기 조선의 침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구침에 얽매이지 않고 논의를 전개해야 한다.
    본 연구는 옛 사람들의 눈에 비친 당시의 침에 대한 기록을 사료로 삼았기 때문에 치료 현장에 몸담고 있었던 사람들이 침의 종류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었는지를 보다 선명하게 드러낼 수 있었다. 하지만 동시에 그들의 인식을 통해 굴절된 설명을 그대로 받아들였기 때문에 오늘날 우리의 눈에는 그 모습이 다르게 느껴질 수도 있다. 따라서 조선 후기에 어떤 침들이 사용되었는지의 문제는 남아 있는 유물의 수집과 관찰을 통해 뒷받침 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In this study, I examine the types and forms of acupuncture needles used from the late chosŏn period. My research is based on historical records that range from the 17th through 18th centuries. The books on medicine published at the kingdom’s center had limitations, in that they failed to provide a specific description of contemporary therapeutic skills. Therefore, this study had to rely on the limited amount of records left behind by Japanese medical doctors who wrote their conversations down with Korean diplomats and the men of letters who kept track of the activities of Korean medical doctors.
    Fortunately, such historical records provide an idea about the types and forms of the acupuncture needles used during those times. Acupuncture needles in those days were either with or without a blade. The former, which was usually used for acupuncturing the meridian, was called Wŏnch'im (‘round needle’), and the same group included Kyŏngnakch'im (‘meridian needle’) and Wŏllich'im that were shorter and thinner. The representative needles of the latter group were Chongch'im(‘abscess needle’), which was used to make skin incisions for the purpose of treating boils, and Samnŭngch'im, which was used to make cuts in skin for the purpose of bloodletting. The category of Chongch'im included baso, while inhuch'im was a special instance of Samnŭngch'im.
    Notably, the doctors who operated in chosŏn during the 17th and 18th centuries were not so interested in Kuch'im, which was described as the ideal acupuncture needle in Huangdi Neijing(The Emperor's Inner Canon), an old classic in East Asian traditional medicine. While it is possible that terms like Wŏnch'im and Wŏllich'im derived from Kuch'im(‘the nine needles’), they were used in a totally different context than Kuch'im. Hoch'im was especially preferred as one of ‘the nine needles’ and was in popular use in Japan, but it was never used to refer to an acupuncture needle in chosŏn. So, to understand the acupuncture needles of chosŏn during the 17th and 18th century, discussion must develop unfettered by ‘the nine needles’.
    As the study takes as its historical materials the records on the old acupuncture needles as viewed by the contemporary people, it can clearly show how types of acupuncture needles were perceived by ancient therapy practitioners. Also, as the records accepted the descriptions reflecting their view, they may appear different in our eyes. Therefore, more light needs to be shed on what kind of acupuncture needles were used in the late chosŏn period, through collecting and examining remaining artifacts. I look forward to further stud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6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