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퇴계학 전승과 학파의 이론 기반으로서 '퇴계학' 성립에관한 연구(2) - 사단칠정론을 중심으로 (A Study on Transmission of ‘Toegye Studies’ and Its Establishment as a Theoretical Basis for the School (2) - With a Focus on Sadan(四端) Chiljung(七情) Theory)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1 최종저작일 2021.07
35P 미리보기
퇴계학 전승과 학파의 이론 기반으로서 '퇴계학' 성립에관한 연구(2) - 사단칠정론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학진흥원
    · 수록지 정보 : 국학연구 / 45호 / 7 ~ 41페이지
    · 저자명 : 이상호

    초록

    이 논문은 이황 사후, 그의 철학이 ‘퇴계학退溪學’으로 규정되어 가는 과정과 그 내용을 살펴보기 위한 두 번째 시도로, 이황이 지향했던 철학적 특징이 영남학 파의 핵심 이론이라고 할 수 있는 ‘퇴계학’으로 정리되어 가는 과정을 살펴보려는 것이다. 이를 위한 첫 번째 연구는 심경부주心經附註에 대한 이황의 입장이 제자 들 대에서 어떻게 ‘퇴계학’으로 자리 잡는 지 살펴보았다면, 이 연구는 이러한 기반 위에서 성리학적 특징을 가장 잘 보여주는 이황의 ‘사단칠정론’이 어떠한 특징으로 ‘퇴계학’의 이름을 갖게 되는지 살펴보려고 한다. 이를 통해 우리는 흔히 ‘주리론主理論’을 특징으로 하는 퇴계학이 이황 사후 어떻게 ‘하나의 입장’으 로 정리되는지 알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우선 이황과 직전 제자들이 가지고 있었던 사단칠정론의 특징을 먼저 정리하고 있다. 이는 이황의 사단칠정론이 주리론으로 일컬어지는 기본 입장 직전 제자들 대에서 어떻게 받아 들여지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3장은 퇴계학의 기본 입장에 대해 이황 사후 율곡학인들의 비판을 이이와 송시열, 그리고 한원진을 통해 확인하고 있다. 이들은 특히 기호학파의 자기 정당성 속에서 이황의 철학을 어떻게 비판하는지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기반 위에서 4장에서는 이현일과 이상정을 중심으 로, 율곡학파의 비판에 대한 반비판에서 보여주는 이론적 특징을 정리하고 있다. 이를 통해 이 논문은 이황의 철학이 가진 주리론적 특징, 즉 리가 기를 제어하고 통제함으로써 선의 실천성을 확보하려 했던 입장이 율곡학파의 강한 비판 속에서 ‘퇴계학’으로 수렴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특징은 비록 이현일과 이상정만을 비교할 때 일정 정도의 차이도 발생하고 있지만, 율곡학으로부터의 비판에 맞서 퇴계학의 특수성을 함께 만들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the second attempt to examine the process of how Yi Hwang’s philosophy had became 'Toegye Studies (退溪學)' after his death and its contents. It is to look at the process in which philosophical characteristics that he pursued had been organized and become ‘Toegye Studies,’ which that can be considered as the core theory of the Yeongnam School. While the first research for this reviewed how Yi Hwang's position on 'Simgyeong Buju (心經附註)' was turned into 'Toegye Studies' among his disciples, this study is based on this and goes further to look at which aspects of his 'Sadan Chiljung Theory(四 端七情論),' which best shows Neo-Confucian characteristics, led to the name 'Toegye Studies.' Through this, we will be able to understand how Toegye Studies, which is often characterized by ‘Juri Theory (主理 論),’ became a ‘one position’ after his death. To achieve this, the paper first summarizes characteristics of Sadan Chiljung Theory that Yi Hwang and his initial disciples had. It is to examine how his Sadan Chiljung Theory had been viewed and accepted by the disciplies before the basic position called Juri Theory. Chapter 3 confirms criticism of Yulgok Studies’s followers on the basic theory of Toegye Studies after his death through Yi I, Song Si-yeol, and Han Won-jin. In particular, it can be confirmed how Yi Hwang’s philosophy was criticized in the self-justification of Giho School. Based on this, Chapter 4 summarizes theoretical characteristics shown in the anti-criticism of Yulgok Studies with a focus on Yi Hyun-il and Yi Sang-jeong. Through this, the paper confirms that the Juri Theory-based characteristic of Yi Hwang’s philosophy was the position of securing practicality of the virtue through Ri controlling and regulating Ki, and such position was converged into ‘Toegye Studies’ amid strong criticism from Yulgok Studies. While this characteristic leads to a certain degree of discrepancy when only Yi Hyun-il and Yi Sang-jeong are compared, it still holds significant importance as it fought against criticism from Yulgok Studies and created the specificity of Toegye Stud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