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퇴계 이황과 율곡 이이의 윤리관 연구 ― 사단칠정론과 인심도심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thics of Toegye Yi Hwang and Yulgok Yi I - Focusing on Sadan-Chiljeong Theory and Yi I's Insim-Dosim Theory)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1 최종저작일 2024.11
37P 미리보기
퇴계 이황과 율곡 이이의 윤리관 연구 ― 사단칠정론과 인심도심론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철학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철학논집 / 83호 / 9 ~ 45페이지
    · 저자명 : 김세종

    초록

    이 논문은 퇴계 이황의 사단칠정에 관한 논변과 율곡 이이의 인심도심에 관한 논변에 근거하여 양자의 윤리관을 비교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퇴계와 율곡에 대한 연구는 연구자의 연구 배경과 학문적 태도에 의해 상당히 다양한 해석과 관점을 보여주고 있으며, 더러는 퇴계 사상이나 율곡 사상에 대해 상반된 해석도 드물지 않게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퇴계의 사단칠정론과 율곡의 인심도심론을 2차 연구가 아닌 1차 문헌에 근거하여 퇴계와 율곡이 구성하는 이들의 윤리관이 어떠한 기본 구조를 구축하고 있는가를 검토했고, 아래와 같이 정리되었다.
    퇴계가 이해하는 사단과 칠정의 관계는, 리와 성 등 형이상의 개념들을 적극 서술함으로써 구체화된 수양론으로 체계화하긴 어렵지만, 인심도심에 비해 상위의 층차에서 우리의 정을 어떻게 선하게 유도할 것인가의 문제를 조명한 것이다. 퇴계는 이를 리와 기의 대비적 관계로 상정하여, 인간이 자신의 정을 어떻게 이해하는가에 따라 자기 존재의 보편적 근원을 인식하고 견지하거나 보편적 근원을 망각한 채 개인적·개체적 존재인식에 머물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율곡이 강조하는 인심도심론은 심의 강조로 귀결되는데, 성의를 통해 인심의 도심화를 추구하거나 기질을 바로잡기를 강조하여 동기보다는 결과적 선을 지향하고 있다. 따라서 기를 강조하는 율곡의 사유는 현실세계 매순간 인간의 선택과 노력을 중시하는 입장을 형성하고 이것은 인간에게 윤리의 당위를 최대치로 부여하는 것이다.
    요컨대 퇴계의 사단칠정론과 율곡의 인심도심론의 차이는 이항 대비 사유구조의 동일함에 비해 그 구성을 다르게 이해함으로써 현실세계의 윤리적 강조점을 달리한다. 퇴계의 사단칠정론은 윤리적 주체가 인식의 영역에서 반드시 알아야 하는 것과 그렇게 하려는 마음의 자세를 밝힌 것이라면 율곡의 인심도심론은 윤리적 주체가 실천의 영역에서 반드시 수행해야만 하는 것과 그렇게 하려는 의지적 노력을 밝힌 것이다. 나아가 퇴계와 같은 사유는 보편적 근원을 확보함으로써 이 근원에 따라 매 순간을 충실하게 살 것을 요구하는 철학으로 형성되고, 율곡과 같은 사유는 보편적 목적을 확인함으로써 이 목적을 향해 지속적으로 충실하게 노력할 것을 요구하는 철학으로 형성된다. 즉 퇴계의 사유는 출발선의 동일함을 입증하여 윤리적 성취가 가능한 보편적 근거를 확인하는 것이고, 율곡의 사유는 목적지의 동일함을 설정하여 윤리적 성취를 위한 노력의 당위를 구체화하는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compare Toegye Yi Hwang's Sadan-Chiljeong Theory and Yulgok Yi I's Insim-Dosim Theory to reveal the contrasting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he relationship between Sadan and Chiljeong as understood by Toegye is difficult to systematize as a specific theory of cultivation by actively considering metaphysical concepts such as Li(理) and Seong(性), but it illuminates the problem of how to guide our emotions to goodness. Toegye assumed this as a contrasting relationship between Li and Gi(氣), and showed that depending on how a person understands his or her emotions, he or she can either recognize and maintain the universal source of his or her own existence or forget the universal source and remain in a personal and individualistic perception of existence.
    Insim-Dosim Theory that Yulgok emphasizes ends with an emphasis on Sim(心), and it emphasizes turning Insim to Dosim, and aims for the good result. Therefore, Yulgok's thought emphasizing Gi a position that values ​​human choice and effort, and this gives humans the utmost ethical justification.
    In short, the difference between Toegye’s Sadan-Chiljeong Theory and Yulgok’s Insim-Dosim Theory is that they understand the composition differently on the basis of the same structure of contrastive thinking, thereby differentiating the ethical emphasis in daily life. Toegye’s thinking confirms the universal basis for ethical achievement by proving the same starting point, while Yulgok’s thinking sets the same destination and concretizes the necessity of efforts for ethical achieve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철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