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업로드 2주 이내인 자료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3원적 사유구조- 원효 『기신론』 주석과 이익의 『사칠신편』을 중심으로 (A Ternary Structure of Thought: - Focusing on the Wonhyo's Commentary on the Treatise on Awakening of Mahāyāna Faith and the New Treatise on the Four-Seven Debates by Sungho)

5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1 최종저작일 2019.03
52P 미리보기
3원적 사유구조- 원효 『기신론』 주석과 이익의 『사칠신편』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37호 / 295 ~ 346페이지
    · 저자명 : 이규완

    초록

    이원적 대립과 모순의 극복을 위해 매개하는 제3의 영역은 양극이 매개하고 화해하는 접점인 동시에 다원적 분화가 촉발되는 분기점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원적 대립의 해소를 모색하였던 동아시아불교와 조선성리학의 지적성찰에서, 특히 서로를 배제하는(mutually exclusive) 양 극단을 배제하고 양자를 포괄하는(both A and B) 제3의 중간지대를 설정하는 3원론적 사유방식의 전개과정을 탐구한다. 『기신론』과 원효의 주석에서 일심(一心)의 일원적체계는 진여-생멸로 전개하고, 그것은 다시 체상용의 삼대(三大)를 통해 양극의 중첩지점이 설정된다. 본각의 진여상에서는 진여와 생멸, 체(體)와 상(相)이 중첩되면서, 여래장과 알라야식성이 중층적인 원융을 이룬다. 조선성리학의 사칠논쟁에서 성호의 『사칠신편』은 발생적 측면에서 리기이원적 체계(퇴계)와 기일원적체계(율곡)를 제3영역의 확보를 통해 통합하고자 한다. 성호는 순수하게 리발(理發)에 의해 발생하는 형이상의 사단을 인정하는 동시에, 기(氣)의 발현에 의한 ‘청명순수한 감정,’ ‘도심을 따르는 인심’이라는 특수한 영역을 인정하여, 칠정에 사단을 포함시키는 율곡학파의 입장을 절충한다.
    원효와 성호는 공통적으로 종파적 입장에 경도되지 않고, 대립하는 주장들의 장점을 취하고 상대의 입각점을 통해 문제점을 보강하는 방식을 취한다. 『기신론』에서 본각(本覺)이나 ‘자체의 상(相)’은 진여 자체(體)와 동일시할 수는 없지만, 그것과 구분되거나 분리되지 않는다. 기발(氣發)의 ‘청명한 감정’과 ‘도심을 따르는 인심’은 결코 도심(道心)과 동일시될 수는 없지만, 내용적으로는 차이가 없다. 이같은 개념적 장치들은 양극의 모순을 집약하고 제3의 영역으로 분화하지만, 이 제3의 영역에서 모순은 더욱 정교한 미분의 형태로 드러난다. 따라서 모순적 대립개념을 화해시키려는 노력은 정밀하고 복잡한 지적탐색에도 불구하고, 또 다른 모순으로 떨어지거나, 실패한 해명의 봉합으로 마무리되기 쉽다. 이 논문에서는 이원적 분열을 극복하고 제3의 접점을 모색하는 원효와 성호의 지적탐색의 경로를 추적해 본다.

    영어초록

    The ternary territory where the contradictions and conflicts of dualism converge is also the topos of both that the dualistic bifurcation is mediated and that the pluralistic proliferation is triggered. I probe in this paper into the ternary system of thoughts that sets aside the third mediate place of 'both A and B' in the mutually exclusive dualistic ontology, especially focusing on the Treatise on the Mahāyāna Faith and the New Treatise on the Four-Seven Debates. TMF and Commentaries by Wonhyo highlight the role of the Attribute Category among the Three Great Categories, allocating the special territory in the Arising-Ceasing Aspect which uphold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chness and the Arising-Ceasing Aspects at the same time. Here the Suchness and Arising-Ceasing Aspects, ti (體) and yong (用), and tathāgatagarbha and ālayavijñāna, are integrated in the realm of the ternary. Likewise, TFSD also sets aside a ternary territory in the realm of chi (氣) Arising, in which Toegye's theory of li (理) Arising and Yulgok's theory of chi Arising are combined. Sungho developed the idea of the third Pure Emotion in the chi realm following Yulgok but distinguishes it from the Pure Four Beginnings following Toegye's thesis. The Pure Emotion and the Human Mind Corresponding to Tao Mind guaranteed in the realm of the chi Arising stand itself as a ternary territory where the dual layers are overlapped. Wonhyo and Sungho share the same non-sectarian, taking merits even from opposite schools, attitudes towards their ancestral schools such as Yogācāra and Tathāgatagarbha (Wonhyo) and Toegye and Yulgok (Sungho) for instance. Wonhyo acknowledges that the Original Enlightenment cannot be distinguished from the Suchness Itself while it belongs to the realm of the Arising-Ceasing Aspects. The Human Mind following Tao Mind and the Pure Mind of Sungho are equalled to the Four Beginnings and the Tao Mind in essence even though they are affected by the chi of shape. This ternary territory resolves the stark confrontation of the extreme bipolarity but consequently embraces the contradiction in the form of contraction, creating more complicated and sophisticated debates on the focused subjects and notions. This paper traces the steps of this intellectual journey that Wonhyo and Sungho pursued in the Commentary of TMF and TFSD respective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