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 쇼소인 소장 적칠관목주자와 그 내부 유물에 대한 연구 (A Research into the Red-Lacquered Zelkova Wood Cabinet and Its Contents Housed at the Shosoin Repository in Japan)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1 최종저작일 2014.03
18P 미리보기
일본 쇼소인 소장 적칠관목주자와 그 내부 유물에 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 수록지 정보 : 조형디자인연구 / 17권 / 1호 / 31 ~ 48페이지
    · 저자명 : 전해운

    초록

    일본 도다이지(東大寺) 쇼소인(正倉院)의 『국가진보장(國家珍寶帳)』에는 <적칠관목주자(赤漆欟木厨子), 옻칠장>를 백제 의자왕(義慈王, 재위기간 641~660)이 일본의 후지하라 가마타리(藤原鎌足)에게 전했고 기록되어 있다. 이 <적칠관목주자, 이하 ‘제2주자’라 칭한다>에 들어 있었던 내부 유물(일본학계에서는 대개 ‘納物’로 칭한다)인 <목화자단기국(木畵紫檀棊局), 이하 ‘목화바둑판’이라 칭한다>, <발루기자(撥鏤棊子), 이하 ‘발루바둑알’이라 칭한다> 등의 유래에 대해서도 같은 기록이 전한다. 또한 그 『국가진보장』기록에는 천무천황(天武天皇)의 <적칠관목주자, 이하 ‘제1주자’라 칭한다>도 있는데, 이 <제1주자>의 내부 유물으로는 <발루척(撥鏤尺), 상아자> 등이 있다.
    이렇게 ‘<제2주자>와 그 내부 유물들을 백제 의자왕이 일본에 전해주었다’는 명백한 기록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본 학계에서는 ‘<제1주자>를 포함하여 <제2주자>와 그 내부 유물들의 제작국이 백제가 아니고 중국 당(唐)나라’라고 오랫동안 일관되게 주장해 오다가, 근래에는 그중 일부는 일본 혹은 한국에서 제작했을 가능성 있다는 발표를 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1, 2주자>와 그 내부 유물의 상징성과 제작기법을 분석하고, 또한 역사 기록을 통해 7세기 당시 일본 내부의 정치상황과 백제, 신라, 고구려, 당(唐) 등의 국제정세를 고찰하여, 백제가 <제1,2주자>와 그 내부 유물을 모두 제작하여 일본에 하사하였다는 것을 밝히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 dedicatory records of the Shosoin Repository at the Todaiji Buddhist Temple in Nara show that King Uija of Baekje (reign: 641–660 CE) had given a red-lacquered zelkova wood cabinet to Fujiwara no Kamatari of Japan. The same records also reveal the origin of the wood-inlaid rosewood go board and ivory go game pieces with bachiru decoration stored within the aforementioned red-lacquered zelkova wood cabinet (hereinafter “Cabinet 2”). Also in the dedicatory records is an entry for Emperor Tenmu’s red-lacquered zelkova wood cabinet (hereinafter “Cabinet 1”), which stored an ivory ruler with bachiru decoration.
    Even though these are indisputable official records verifying that King Uija had given Cabinet 2 and its contents to Japan, the academic community in Japan has asserted consistently for a long period that both Cabinet 2 and Cabinet 1 and their contents were not crafted in Baekje, but that they were crafted in Tang China and afterward sent to Japan. Recently, however, members of this academic community have announced that the aforementioned artifacts may have been produced in either Japan or Korea.
    This research examines: symbolic significance of the contents within Cabinet 1 and Cabinet 2 and methods of producing those artifacts; internal politics of 7th century Japan and political tides affecting Baekje, Silla, and Goguryeo, and Tang China during that period. Through such examination, this research intends to reveal that Baekje had produced Cabinet 1 and Cabinet 2 and their contents and had given them to Jap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