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파트 브랜드와 패션 브랜드의 친환경 이미지 형성에 관한 비교분석 - 이미지 전략에 있어 색채 활용 연구 - (A Comparative Analysis on Color Strategies of Housing and Fashion Brands Pursuing Environmentally-Friendly Brand Image)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1 최종저작일 2010.11
10P 미리보기
아파트 브랜드와 패션 브랜드의 친환경 이미지 형성에 관한 비교분석 - 이미지 전략에 있어 색채 활용 연구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포럼 / 29호 / 45 ~ 54페이지
    · 저자명 : 전유미, 김선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인간 생활의 기본요소인 의복과 주거 관련 기업들이 친환경성을 추구하는 시장변화에 대응하여 어떻게 자사 브랜드들에 친환경 이미지를 구축하고 있는지 살펴보는데 있다. 특히 친환경 브랜드 이미지를 위하여 활용하고 있는 색채 전략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동일한 사회문화적 당면과제가 각기 다른 분야에서 어떻게 해결되어 나가고 있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2000년부터 현재까지 친환경성을 추구하고 있는 아파트와 패션 브랜드들을 각각 선정하고, 그들의 시각홍보자료와 제품 외관 색채를 분석하였다. 분석도구로는 IRI색채연구소의 이미지 스케일을 사용하였으며, 한국문화에서 보편적으로 통용되는 색 이미지를 분석의 근거로 하였다. 비교 분석한 결과, 두 분야 모두 시각홍보 자료에는 자연을 상징하는 색상인 초록색을 메시지 전달에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제품의 색상 기획은 각 분야 및 상품의 고유 특성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아파트 브랜드들은 외관에 친환경 자재를 사용하였음을 홍보하는 것보다 자연 연상 색상을 사용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며, 패션 브랜드들은 색채 기획을 통한 메시지 전달보다는 인체에 직접적으로 닿는 소재를 친환경적인 소재로 사용하고 이를 어필하는 것에 집중하므로 자연을 연상시키는 색을 필수적으로 선호하지 않는 차이점을 보였다.

    영어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ategies of housing and fashion business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necessity of life to see how they have established environmentally friendly corporate images in today's market pursuing greener values. This study has focused on comparative analysis on those brands' color strategies in order to understand how this sociocultural and live issue has been dealt with in different fields. In pursuance of this goal, proper research objects were selected among diverse brands which have claimed to support eco-friendly values in their business, and the colors shown on visual PR materials and products were analysed. As analysis tools, IRI image scales and color images commonly used in Korean culture were utilized.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both fields were generally using green as a symbol of nature on the visual materials for the purpose of communicating eco-friendly brand images. However, the colors for products indic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roperties of each field and commodity. Housing brands were more concentrating on making use of colors stimulating strong associations with nature rather than promoting the fact that they used environmentally friendly materials on their exterior of the apartment. On the other hand, fashion brands were placing emphasis on the use of eco-friedly materials which can affect the human body while being contacted with skin. Fashion labels were making an effort to advertise their materials and less focusing on using colors reminding their customers of nature. Accordingly, the color plans for the clothes seemed to follow color trends of the targeted season or reveal the original colors from raw materials and natural dy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포럼”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6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