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친환경적 국내 꽃축제 개최방안 연구 -관광산업 목적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co-friendly Flower Festival in Korea: Focusing on the Purpose of the Tourism Industry)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1 최종저작일 2023.08
28P 미리보기
친환경적 국내 꽃축제 개최방안 연구 -관광산업 목적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 49권 / 49호 / 65 ~ 92페이지
    · 저자명 : 우미나, 손수연

    초록

    우리나라의 지역축제는 1995년 실시된 지방자치제의 영향으로 급속한 양적 성장을 이루었다. 2023년 개최했거나예정인 국내 지역축제는 1,129개이며, 이 중 꽃을 주제로 하는 축제는 173개로 전체 지역축제의 약 15%를 차지하고 있다. 2023년 코로나19로 인한 규제가 완화되면서 개최된 국내 꽃축제 <진해군항제>의 경우 10일간 450만 명의방문객이 다녀간 것으로 집계되었다. 이처럼 관광산업 목적의 지역 꽃축제는 많은 관람객을 유치하고 있으며 향후에도 활성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긍정적 흐름에도 불구하고 현재 개최되는 꽃축제는 발생하는 탄소와 쓰레기등 환경 문제에 취약해 미래지향적 축제가 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볼 수 있다. 꽃축제 주최 측에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수치를 공개하지 않았지만, 방문객의 수로 미루어볼 때 다량의 쓰레기와 탄소가 배출되었을 것으로 예측된다. 이 같은 관점에서 대부분의 국내 꽃축제는 일회용품을 남용하는 환경 문제에 둔감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연구는 친환경적 접근을 통해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꽃축제의 가능성을 찾아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먼저 국내단행본과 학술연구, 통계자료 등을 이용한 문헌 연구를 통해 식물의 기능과 가치를 찾아보았다. 또한 일부 꽃축제운영 기관 및 협회가 모니터링 한 축제 쓰레기 배출량 통계자료를 사용하였다. 이때 연구 대상의 범위는 한국의 꽃축제로 한정하였으며, 친환경 꽃축제를 위한 사례로 해외의 두 가지 꽃축제와 국내의 순천만에서 개최되는 꽃축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현재 개최 중인 국내 꽃축제는 방문객의 증가와 사회적인 관심에도 불구하고 친환경적인요소가 많이 결여된 것으로 나타났다. 자연 속에서 다수의 방문객을 맞이하는 꽃축제의 경우 친환경적 인식이 더강하게 요구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현재 주최 측이나 방문객 양측 모두 꽃축제 참여를 오락의 일부로 인식할뿐 이와 관련한 환경적인 접근이나 노력은 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됐다. 친환경 꽃축제 개최를 위해서는 첫째, 꽃축제 관련 프로그램 개발과 둘째, 축제 주최 측과 방문객의 인식변화 두 가지 측면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꽃축제프로그램은 녹지 증가와 환경 개선을 위한 실천적 프로그램과 꽃축제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는 교육적인 프로그램두 가지로 나눠 볼 수 있다. 탄소 저감과 녹지 증가를 실현하는 실천적 프로그램은 친환경적인 방향으로 꽃축제를발전시킬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꽃축제를 개최하는 대부분의 주최 지자체나 기관 등에서 탄소배출과 쓰레기의 정량적인 지표를 보여주지 않는 것은 개선되어야 할 부분이다. 또한 많은 방문객이 꽃축제를 단순히 여가의 대상으로 인식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인간의 유희를 위해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 자연환경과 관련된 시대적 흐름이다. 꽃축제가 미래세대로 이어지는 지속 가능한 형태의 콘텐츠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실천적 행동과 교육에 따른 인식변화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한다. 전 세계적으로 환경에 관한 관심과 중요성이 대두되는상황에서 그에 적합한 환경친화적 꽃축제 개최에 관한 관심이 계속되어야 할 시점이라 생각한다.

    영어초록

    Local festivals in Korea achieved rapid quantitative growth due to the influence of the local autonomy system in 1995. There are 1,129 local festivals in Korea that have been held or are scheduled to be held in 2023, of which 173 are flower-themed festivals, accounting for about 15% of all local festivals. In the case of the domestic flower festival “Jinhae Gunhangje Festival,” which was held in 2023 as regulations caused by COVID-19 were eased, 4.5 million visitors visited for 10 days. As such, the local flower festival for the purpose of the tourism industry is attracting many visitors and is expected to be activated in the future. Despite this positive trend, the currently held flower festival is vulnerable to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carbon and waste, so there is a limit to becoming a future-oriented festival. Although the flower festival organizers did not disclose specific figures on this, considering the number of visitors, it is expected that a large amount of trash and carbon were emitted. From this point of view, most domestic flower festivals are insensitive to environmental problems that abuse disposable produ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possibility of a flower festival where humans and nature coexist through an eco-friendly approach. First, the function and value of plants were foun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using domestic books, academic research, and statistical data. In addition, statistics on festival waste emissions monitored by some flower festival operating institutions and associations were used. At this time, the scope of the study was limited to Korean flower festivals, and as an example for eco-friendly flower festivals, we focused on two overseas flower festivals and flower festivals held in Suncheonman Bay in Korea. Despite the increase in visitors and social interest, the domestic flower festival currently being held lacks many eco-friendly elements. In the case of flower festivals that welcome a large number of visitors in nature, it is thought that eco-friendly awareness will be more strongly required.
    However, both organizers and visitors currently recognize participation in the flower festival as part of entertainment and do not make environmental approaches or efforts in this regard. In order to hold an eco-friendly flower festival, two aspects are required: first, developing programs related to the flower festival, and second, changing the perception of the festival organizers and visitors. Flower festival programs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practical programs to increase green areas and improve the environment, and educational programs to raise awareness of flower festivals. I think practical programs that realize carbon reduction and green space increase can develop flower festivals in an eco-friendly direction. However, the fact that most host local governments and institutions that hold flower festivals do not show quantitative indicators of carbon emissions and waste is something that needs to be improved. It was also found that many visitors perceive the flower festival as simply an object of leisure. It is the trend of the times related to the natural environment that the environment should not be negatively affected for human play. In order for the flower festival to develop into a sustainable form of content that leads to future generations, it is judged that changes in perception through practical action and education are necessary. At a time when interest and importance in the environment are emerging around the world, I think it is time for interest in holding an environmentally friendly flower festival suitable for it to continu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