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동주택 실외 놀이 공간 계획의 친환경적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nvironment-friendly Evaluation of Outdoor Play Space Planning in Apartment Housing)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1 최종저작일 2017.08
10P 미리보기
공동주택 실외 놀이 공간 계획의 친환경적 평가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2권 / 4호 / 39 ~ 48페이지
    · 저자명 : 마현, 어성신, 김지현, 황연숙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공동주택 실외 놀이 공간은 다양한 커뮤니티가 일어나고 이용 빈도가 가장 높은 공간으로 거주자의 건강 과 쾌적성 향상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따라 환경보호와 에너지 절약을 위한 친환경적 요소가 적용된 실외 놀이 공간에 대한 관 심이 확대되어지면서 환경과 조화를 이루고 환경을 배려하는 친환경 실외 놀이 공간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단지 내 실외 놀이 공간의 질 향상과 개선을 위해 실외 놀이 공간에 나타난 친환경적 계획요소를 평가하여 이를 토대로 향후 공 동주택 실외 놀이 공간의 친환경적 계획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조사대상으로는 서울시 에 위치한 공동주택 실외 놀이 공간 7곳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현장조사를 통한 사례분석으로 진행되었다. 친환경에 관한 선행연구 및 친환경 인증 제도를 바탕으로 추출된 친환경 요소를 통해 실외 놀이 공간의 친환경 평가를 위한 체크리스트를 작성 하고 조사대상에 직접 방문하여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는 공동주택 실외 놀이 공간의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고 이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놀이 공간의 친환경적 요소를 평가하였으며 친환경적 요소를 토지이용 및 교통, 생태환경, 에너지 및 환경부하 감소 부문으로 분류하였다. 첫째, 대부분의 사례에서 기존 자연지형을 활용한 놀이 공간의 조성이 계획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놀이 공간으로 접근하기 위한 자전거도로와 보행자 전용도로의 사용에 있어서는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공녹화기법 적용의 경우 측면녹화나 입면녹화의 형태로 조성되어 있는 반면에 녹지축 형성에 대한 고려는 미 흡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수자원 절약을 위한 우수부하 감소에 대해서는 비교적 양호한 편으로 나타났지만 우수활용에 여 부에 대한 계획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으며, 에너지 이용 및 쓰레기 처리공간에 대해서도 다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놀이 공간 계획시 놀이 공간의 보행자 전용도로와 자전거도로를 분리시켜 아동들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기존의 자연형 녹지를 활용한 녹지축 조성과 더불어 다양한 생태조경을 통해 자연 친환적인 놀이 공간 계획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우수활용 시스템을 통한 수자원 절약과 에너지 시스템을 설치하여 자원절약 방안을 도입하고, 주변의 경치와 어우러지는 태양광 조명시설과 청결성 유지를 위한 분리수거형 쓰레기 처리공간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향후 이를 근거로 하여 친환경적 실외 놀이 공간의 디자인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에 대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Outdoor play spaces are often the most frequently used public spaces in apartment housing, and places where various communities are formed and residents' health and comfort can be improved. This interest in outdoor play spaces, combined with growing emphasis on environment-friendly materials and energy conservation, has expanded the necessity of developing outdoor play spaces that are in harmony with and protective of the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environment-friendly elements relevant to outdoor play spaces to improve the quality of outdoor play spaces within apartment complexes, and, based on the results, to provide baseline data related to environment-friendly planning measures for future apartment housing outdoor play spaces. (Method) This study targeted seven apartment housing outdoor play spaces located in Seoul and conducted a case analysis through on-site survey. Environment-friendly elements were extracted from preceding environment-friendly research and the environment-friendly certificate system, and, based on the elements, a checklist was made for environment-friendly evaluation of outdoor play spaces. Then, on-site surveys were performed at the seven target spaces using the checklist. (Results) This study, which evaluated seven play spaces and classified the environmental elements of land use, traffic, ecological environment, energy, and environmental load, found that apartment housing outdoor play spacing houses appeared to have inadequately considered the environment in their planning stages. First, although plans for play spaces utilizing the existing natural terrain were established in most cases, some had problems in the use of bike lanes and exclusive pedestrian roads near and directed toward the play space. Second, with respect to the artificial greening technique, side greening and facade greening were well applied, but the axis of the green belt was insufficiently considered. Third, although the systems for both rainwater load reduction for water resource conservation and trash and garbage disposal turned out to be relatively favorable, there was no plan for the use of rainwater, and the energy use and garbage disposal spaces were not sufficiently considered. (Conclusions) When play spaces are planned, a primary goal should be to promote children's safety. This includes creating separate bike lanes and pedestrian roads towards play space. It also requires more attention paid to environment-friendly materials in the play space, including creating the green axis using the existing green belt as well as various types of ecology. Sustainability must also be an important consideration. Plans for outdoor play spaces should include water and energy conservation measures through rainwater use systems, water resource conservation systems, energy systems, and solar-powered lighting and recycling-type garbage disposals in harmony with adjacent landscapes to maintain cleanliness. In the future, follow-up studies should be conducted on the specific measures to utilize the study results as guidelines for the design of environment-friendly outdoor play spac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3 오전